반응형 컬럼122 블랙리스트 제도, 대한민국 휴대폰 시장의 족쇄를 풀어줄까? 2012년 5월, 드디어 우리나라에도 휴대폰 블랙리스트(개방형 IMEI) 제도가 도입된다. '블랙리스트' 하면 뭔가 어둡고 음침한 느낌이 들기 때문에 뭔가 안 좋아지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 것이다. 하지만 휴대폰에서의 블랙리스트 제도는 그리 나쁜 것이 아니다. 전세계에 존재하는 휴대폰에는 IMEI라는 다른 기기끼리는 겹치지 않게 되어있는 고유번호가 있다. 이 번호 가운데 사용할 수 있는 것만 모아서 목록으로 관리, 이동통신사에서 이 목록에 없는 휴대폰은 아예 망에 접속할 수 없게 만드는 방식이 '화이트리스트(whitelist)이며, 반대로 사용할 수 없는, 도난 등으로 문제가 된 번호만 목록으로 관리하여 이 목록에 있는 휴대폰을 접속할 수 없게 하는 방식을 '블랙리스트(blacklist)' 제도라고 ..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2. 1. 3. 지키는 인텔, 그 방패가 된 울트라북 PC와 서버 시장에서는 승승장구하던 세계 최대의 반도체 기업인 인텔이 유독 힘을 못 쓰는 분야가 있습니다. 바로 스마트폰과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기기 시장이죠. 이 분야에서 인텔은 ARM 계열의 프로세서가 활개를 치고 있는 상황을 말 그대로 그저 바라보고만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 와중에 인텔이 울트라북이라는 새로운 규격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노트북 PC 제조업체들이 대부분 참여했고, 국내외적으로 대대적으로 홍보를 진행 중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주 12월 14일에 기자들과 블로거들을 대상으로 각각 행사를 가졌죠. 울트라북(UltraBook)은 무엇? 울트라북은 지난 글에서도 다룬 바 있듯이, 2011/12/01 - 기지개를 펴는 인텔 울트라북(Ultrabook) 매우 얇고 가벼우며 부팅 및 재기동이 빠.. #작은PC/#노트북PC 2011. 12. 23. LTE, 보통 사람은 이해할 수 없는 세가지 화려한 수식어란 수식어는 다 달고 4세대 이동통신인 LTE가 출발한지도 벌써 4개월이 지났습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를 통해 벌써 80만이 넘는 사용자가 LTE로 넘어가고 LTE를 아직 도입하지 않은 KT는 LTE 서비스를 위한 대역을 확보하기 위해 2G 서비스를 조기 종료하려다 법원에 의해 중지당하기도 했습니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이통 3사는 모두 함께 손을 잡고 젖과 꿀이 흐르는 LTE 나라로 달려가고 있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통 사람들이 3G에서 LTE로 넘어가기에는 아직 이해가 안 되는 몇가지가 있습니다. 지금부터 살펴보죠. 1. 3G보다 기술은 좋아졌는데 요금제는 더 나빠져? 분명 3세대 이동통신인 WCDMA보다 기술은 좋아졌다고 하는데 이용 요금은 더 비싸졌습니다. 현재의 LTE는..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12. 9. WiFi 인터넷 전화에 바라는 세가지 라지온에서는 지금까지 몇건의 포스트를 통해 olleh WiFi Call을 중심으로 WiFi 인터넷 전화의 편리성과 실제 사용에 대해 살펴본 바 있다. 2011/10/07 - 스마트폰 WiFi 전화로 통신비를 아낀다 2011/09/30 - WiFi가 살린 인터넷 전화, 다음은 모바일로 간다 2011/07/26 - 아이폰과 KT 인터넷 전화가 만나면? - olleh WiFi Call 아이폰 버전 리뷰 2011/07/21 - 인터넷 전화와 휴대폰의 우아한 만남, olleh WiFi Call 그럼 이쯤에서 앞으로의 WiFi 인터넷 전화에 대해 생각해 볼 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 WiFi 인터넷 전화는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 편리한 사용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편리함이다. 다른 것이 아무리 잘 되어있어도 불편..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10. 14. WiFi가 살린 인터넷 전화, 다음은 모바일로 간다 인터넷의 등장은 사람들에게 참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다 주었다.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으로 대표되는, 전세계의 국경을 넘나들며 수많은 정보를 접하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몇몇 나라의 민주화가 앞당겨졌다고 할 정도로 그 파급력은 상당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이 '국경없는' 망이 기존의 통신 수단을 대체할 수 있음을 사람들이 알게 되는 것도 시간 문제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 통화다. 물론 화상회의도 가능하긴 하지만 이미 많은 이들에게 익숙한 전화를 인터넷 회선을 매개체로 하여 디지털 신호화된 목소리를 주고받는 인터넷 전화는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에게도 그럴 듯해 보였다. 더구나 인터넷을 이용하기 때문에 국내 통화나 국제 통화..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1. 9. 30. 스마트폰, HD 디스플레이 전쟁 벌어지나 다아이폰과 안드로이드의 등장 이후 휴대폰 시장의 대세가 스마트폰으로 넘어가면서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져가고 있습니다. 특히 모바일 분야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PC처럼 성능과 기능을 따지는 경우가 많아졌는데, 덕분에 프로세서는 듀얼코어를 넘어서 벌써 쿼드코어를 눈 앞에 두고 있으며 RAM 또한 1GB에 도달한지 오래죠. 여기서 또 하나 빠질 수 없는 요소로 디스플레이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디스플레이의 명암비나 밝기, 색 재현도를 중심으로 한 품질, 그리고 이어서 화면을 더 크게 만들기 경쟁으로 가다가 요즘 새롭게 드러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해상도를 높이는 경쟁이죠. 그동안 한국에 출시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들은 대부분 WVGA급 해상도를 고수했습니다. 480x800으로 대표되는 이 해상도는 3.7~4...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9. 26. SK텔레콤의 4G LTE, 그 현황과 전망 CDMA라는 디지털 방식의 휴대폰을 쓰게된지도 얼마 안된 것 같은데, 벌써 4세대의 LTE라는 이동통신 서비스가 대한민국에 등장했다. 3G가 처음 등장했을 때보다는 다소 약한 반응이긴 하지만 조금씩 대중에게도 알려지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알파벳으로 된 영어 약자 세글자가 등장한다. LTE? LTE란 Long Term Evolution의 약자로 4세대 이동통신 방식 가운데 하나다. 다운로드 37Mbps, 업로드 18Mbps에 달하는 빠른 속도를 자랑하여 차후에는 최대 다운로드 151Mbps, 업로드 74Mbps에 달할 것으로 보이고 있다. 단순히 전송속도가 빨라진 것 뿐만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에서 길어진 대기시간도 줄어들어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네트워크 액션 게임 등을 구동하는데 적합하다. 물론 LTE만 ..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1. 9. 23. 안드로이드 고화질 동영상 재생에서 꼭 해결할 문제 스마트폰에 듀얼코어 프로세서와 고성능 GPU가 도입되면서 이른 바 풀HD인 1080p 급의 해상도를 가진 동영상의 재생 여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로 1080p 동영상을 촬영하는게 가능해진 건 듀얼 코어 스마트폰에서는 이미 평범(?)한 이야기죠. 그러나 재생 면에서 볼 때 1080p 급 동영상 파일 감상이 가능은 하지만 아직 완벽하지는 않은 편입니다. 이는 같은 1080p 급 영상이라 해도 형식과 비트레이트에 따라 재생에 걸리는 부하가 다르기 때문이죠. 특히 많은 부하가 걸리는 H.264의 High Profile로 인코딩된 1080p 동영상을 무리없이 재생해 내는 기기는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하지만 워낙 하드웨어의 발전 속도가 빨라 이를 달성하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여겨지..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9. 20. 스티브 잡스가 애플에게 남긴 것 스티브 잡스가 애플의 CEO를 그만 둡니다. 애플은 오늘 스티브 잡스의 사임 소식을 공식적으로 발표했습니다. CEO 자리는 COO(Chief Operating Officer)였던 Tim Cook이 맡게 됩니다. 무엇이든 영원할 수는 없는 것이지만 이로써 한 시대가 끝나는 셈입니다. 애플을 만들고, 애플을 곤경에 빠뜨리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 애플을 전후무후한 번영으로 이끌어낸 이야기는 여러 편의 영화로 만들어도 충분히 흥미진진할 것 같습니다. Tim Cook이 앞으로 어떤 애플을 보여줄지는 몰라도 잡스의 애플과는 다르겠죠. 애플은 1996년에 다시 잡스가 돌아온 이후 참으로 많은 것들을 얻었습니다. 중요한 것만 살펴봐도, - 최초의 본격적인 디지털 뮤직 스토어인 iTunes Music Store - MP3.. #인터넷#IT#미디어 2011. 8. 25. 윈도폰은 스마트폰 시대의 MSX일까? 혹시 어릴 적부터 PC를 다뤄보신 적이 있는 분들이라면 8비트 시절에 꽤 유명했던 MSX를 기억하실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애플 II 플러스 복제기종, 삼성전자의 SPC-1000과 함께 8비트 PC 시장을 이끌어갔던 존재죠. 추억의 가정용 컴퓨터 표준 규격, MSX MSX는 MicroSoft eXtended의 약자로 마이크로소프트와 아스키 사의 협력으로 만들어진 가정용 컴퓨터를 위한 표준 규격입니다. MSX 로고를 달고 있으면 주변기기나 소프트웨어 모두 호환해서 쓸 수 있다는 개념을 모토로 출발했죠. 당시 서로 다른 기종끼리는 소프트웨어/하드웨어가 전혀 호환되지 않았으며 심지어는 같은 회사 제품끼리도 호환이 되지 않는 경우가 다분했습니다. 이렇게 호환성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지 않았던 시절에 MSX..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8. 23. 구글의 모토로라 모빌러티 인수, 그 절묘한 한수 구글이 바로 어제인 15일자로 한가지 소식을 발표했습니다. 125억달러라는 금액으로 모토로라 모빌러티를 인수했다는 내용이죠. 안드로이드의 성장과 그늘 2008년 10월 첫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HTC Dream G1이 등장한 후 현재도 엄청난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애플의 아이폰이 스마트폰으로 가는 길을 열어놨다면 구글의 안드로이드는 애플이 아닌 많은 제조사들도 스마트폰의 대열에 끼어들 수 있게 해주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덕분에 2011년 6월 기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전체 스마트폰 시장 가운데 48%를 차지하는 기염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면에 문제도 생기고 있습니다. 바로 특허 관련 문제죠. 안드로이드에 들어간 기술에 대해 자사의 특허를 이유로 고소하는 경우가 생기고 있습니다. 애플의..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8. 16. 옵티머스 마하는 LG 유플러스의 레퍼런스 폰? LG전자의 옵티머스 마하는 현재 시장에서 그리 주목받지 못하는 제품입니다. 싱글 코어 OMAP 3630 1GHz 프로세서에 3.8인치 480x800 해상도의 디스플레이를 가진 이 제품은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여전히 쓸만한 성능을 가지고 있긴 합니다만 듀얼코어 프로세서와 4인치 이상의 스크린이 판을 치는 요즘 스마트폰 세상에 그리 대단할 게 없는 제품이 되었죠. 더구나 이 옵티머스 마하는 나온지 한달만에 후속작인 듀얼코어 프로세서에 4인치 IPS 디스플레이를 달고 나온 옵티머스 2X에 묻혀서 그렇게 많이 알려지지도 못했고. 뒤이어 나온 옵티머스 블랙과 빅이 마하와 거의 비슷한 제원에 더 크고 밝은 4/4.3인치의 노바 디스플레이를 달고 나와 플랫폼 면에서의 차별성도 애매해졌습니다. 하지만 옵티머스 마하는 그..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8. 2.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