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컬럼122 대한민국은 왜 윈도폰에 관심이 없을까?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폰(Windows Phone)은 한때 스마트폰 시장을 점령했던 윈도 모바일의 후계자로 만든 야심작입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 이름이 아까울 정도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죠. 아이폰과 안드로이드와는 달리 한참동안의 공백기 후에 시장에 진출한데다가 한국 등 다른 나라에 대한 현지화가 늦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런 윈도폰도 이제 망고 업데이트를 통해 한국 등 나머지 나라에 대한 지원도 시작합니다. 그 시기는 대략 9~10월 정도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몇가지 논란은 존재하지만 여하튼간데 한국 사람들도 윈도폰을 써볼 수 있는 길이 반쯤 열린 셈입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윈도폰에 대해 그다지 관심이 없는 것 같습니다. 무관심한 소비자들 우선 일반인들에게 있어서 어떤 OS를 쓰느냐는 사실 관..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7. 29. 갤럭시탭 10.1 출시, 그 의미를 키워드 네개로 말하다 드디어 갤럭시탭 10.1이 대한민국에 정식 출시되었다. 갤럭시탭 10.1은 두번째로 나오는 갤럭시탭일 뿐만 아니라 앞으로 나올 갤럭시탭 X.Y 시리즈의 선발주자이기도 하다는 면에서 특히 제조사인 삼성전자에게는 큰 의미를 갖고 있다. 하지만 갤럭시탭 10.1의 존재와 그 영향력이 삼성전자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 허니컴(Honeycomb) 갤럭시탭 10.1이 현재 태블릿 시장에서 가지는 가장 큰 의미는 역시 안드로이드의 태블릿 버전인 3.1 허니컴을 채택한, 본격적인 모델이라는 것이다. 삼성의 전작인 갤럭시탭(SHW-M180 시리즈)은 7인치에 스마트폰용 안드로이드 OS를 집어넣은 애매한 제품이었고, 사실상의 허니컴 레퍼런스 태블릿인 모토로라 XOOM도 있지만 플랫폼 등장 초기라는 면에서 어려운 상황.. #작은PC/#태블릿#e북리더 2011. 7. 25. 태블릿 시대, 그 요금제는 어떻게 고를까? 애플의 아이패드 1, 2와 모토로라 XOOM, 삼성전자의 갤럭시탭 10.1이 출시되면서 태블릿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들고 다니는 제품이니만큼 어디서나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는 점이 무척 중요한 문제인데 태블릿을 처음 접하거나 스마트폰의 무선 데이터 이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자신에게 맞는 데이터 요금제를 고르기가 쉽지 않다. 이에 이 글에서는 새로 나온 태블릿들을 위해 마련된 이동통신 3사의 요금제를 살펴보고 그 특징 또한 알아보고자 한다. 태블릿이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구분한다면 크게 세 종류로 나뉠 수 있다. 1. 3G 데이터 전용 기종 : 태블릿 전용 요금제 3G 데이터만 이용하는 경우 각 이동통신사에서 마련한 태블릿 전용 요금제를 이용하면 된다. 음성 통화 없이 3..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7. 21. 대한민국 블랙베리 사용자들에게 기쁨 준 하나엔뱅크 하나은행에서 새로운 스마트폰 뱅킹 애플리케이션을 하나 발표했습니다. 요즘같은 시대에 스마트폰 뱅킹을 하나 만드는게 뭐 그리 대단한 일이냐고 하시겠지만 이번 이야기는 좀 다르죠. 바로 블랙베리 스마트폰용 모바일 뱅킹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아시다시피 한국의 블랙베리 사용자들은 극심한 소프트웨어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폰이 유행하기 전에는 그럭저럭 잘 썼습니다만, 요즘은 풍족한 애플리케이션의 혜택을 누리고 있는 타 기종들에 비하여 블랙베리 사용자들은 정말 우울한 나날을 보내고 있죠. 기본 내장 지도 앱은 한국 지도는 나오지 않아서 구글 지도를 꽁수를 발휘해서 설치해야 하고 작년부터 나온다던 카카오톡은 여전히 보이지 않는데다가 아이폰과 아이패드 사용자도 쓸 수 있는 티맵 내비게이션도 블랙베..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7. 19. ARM과 x86, 윈도8 태블릿에서 맞붙는다. 요즘 ARM(Advanced RISC Machine)의 기세는 정말 대단합니다. IT 업계의 두 거두인 인텔과 마이크로소프트를 긴장시킬 정도로 말이죠. 스마트폰과 태블릿 열풍 속에서 애플의 아이폰/아이패드나 삼성의 갤럭시 시리즈 등 거의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ARM 기반 프로세서를 채용하는 등 주위에서 보는 대부분의 스마트폰들이 ARM 아키텍처를 라이센스해서 만든 프로세서를 탑재했습니다. 이렇게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만나 물오른 ARM은 특이한 사업방식을 갖고 있습니다. 직접 프로세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프로세서의 디자인만 하고 거기서 나온 아키텍처를 다른 회사에 라이센스를 해주는 것이죠. 삼성, TI, NVIDIA, 프리스케일, 퀄컴 등 다양한 회사에서 다양한 모델로 ARM 아키텍처 기반의 프로세서들이 .. #CPU#GPU#RAM 2011. 7. 7. 대한민국에서 윈도폰7이 성공하려면 해결할 세가지 스마트폰 시대가 오면서 기존에 이 분야에서 별 두각을 나타내지 않았던 애플과 구글이 각각 아이폰과 안드로이드로 엄청난 성공을 거두고 전면에 나선 반면, PDA라는 이름으로 시장을 지배하던 팜과 마이크로소프트는 반대로 위축되어 버렸습니다. 이렇게 된 데는 시대의 흐름에 적응하지 못한 탓이 컸죠. 특히 팜이 먼저 몰락한 상태에서 나름대로 노키아, 블랙베리와 함께 스마트폰 시장을 이끌고 있었던 마이크로소프트는 아이폰과 안드로이드의 등장에 윈도 모바일 플랫폼을 아예 포기해 버렸습니다. 즉 윈도 모바일은 버전 6.5에서 더 이상 개발되지 않고 끝난다는 것이죠. 새로운 플랫폼은 이전의 윈도 모바일과는 전혀 호환되지 않는 별개의 플랫폼인 셈입니다. 기존 사용자들의 배신감은 컸지만 그래도 기존 윈도 모바일 플랫폼의 한..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6. 21. 애플 iMessage, 모바일 메신저 전쟁을 불러올까? 지난 6월 6일 WWCD 2011 행사에서 애플의 iOS 5가 발표되었습니다. 한 회사에서 만든 기기에서만 쓰이는 플랫폼임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적인 관심을 불러모으고 있는 것은 역시 그동안 애플이 아이폰, 아이패드 등에서 보여줬던 발전과 혁신 때문이겠죠. 이번 iOS5에서는 200개나 되는 새로운 기능들이 덧붙여졌다고 합니다만, 그 가운데에서도 iMessage를 눈여겨 보신 분이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통신이 가능한 기기에서 메시지 도구는 따로 말할 필요도 없이 중요합니다. 한때 PC 플랫폼에서 진행되었던 메신저 전쟁을 기억하시는 분도 계실텐데 그만큼 사람들의 생활에 밀착한 존재였기 때문이죠. 이는 음성 통화가 기본으로 쓰이는 휴대폰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굳이 말로 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비싼 음성 통화료를..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1. 6. 17. 퀄컴 스냅드래곤 프로세서, 이렇게 진화한다 퀄컴의 스냅드래곤은 스마트폰 시대를 맞이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그 이름을 알린 브랜드다. 싱글 코어 계열에서는 1GHz 프로세서를 빠른 시기에 출시하여 성공적인 데뷔를 했지만 듀얼 코어 계열에서는 다소 느린 행보를 보여서 엔비디아의 테그라2나 삼성의 엑시노스에 뒤지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던 퀄컴도 이제 듀얼 코어 프로세서를 출시하기 시작했고 국내에만 해도 팬택 스카이의 베가 레이서, HTC의 센세이션이 퀄컴의 듀얼 코어 프로세서를 가지고 그 모습을 드러냈다. 이 새로운 스냅드래곤 프로세서는 과연 어떤 제품인지, 그리고 퀄컴의 새로운 스냅드래곤들은 어떤 것이 준비되어 있는지 이야기 해보도록 하자. 성공적인 프로세서였던 퀄컴 스냅드래곤 퀄컴이 본격적으로 모바일 기기용 프로세서 시장에 도전한 스냅드래곤.. #CPU#GPU#RAM 2011. 5. 27. 키봇으로 미래의 아이용 로봇을 상상하다 네편에 걸쳐 살펴봤던 KT에서 나온 교육용 로봇인 키봇. 오늘은 그 마지막 이야기로 키봇으로 상상해 보는, 미래의 키봇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2011/05/04 - 한살 아가에게 키봇은 어떤 존재였을까? 2011/04/29 - 아이를 위한 다기능 로봇, Kibot 리뷰 - 3부. 엔터테인먼트와 화상전화 2011/04/28 - 교육과 IT의 만남, 아동용 로봇 키봇의 교육 기능 2011/04/21 - 교육과 IT가 만난 귀여운 로봇, 키봇 디자인 살펴보기 ■ 함께 놀기 키봇을 처음 봤을 때 처음 느꼈던 것은 귀여운 디자인이긴 한데, 너무 심심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었죠. 그런데 정작 제 한살 아기와 만나게 하니 난리가 났습니다. 움직이지 않았을 때는 물론이고 소리를 내며 움직이자 엄청난 열광에 빠.. #게임#VR#교육 2011. 5. 20. 넥서스S 한국 출시 2개월, 그 의미와 전망 넥서스S가 우리나라에 정식으로 출시된지도 이제 벌써 2개월이 다 되어간다. 구글의 의뢰에 따라 삼성전자가 제조한 넥서스S는 우리나라에 SK텔레콤과 KT로 출시되면서 한국인들에게 최초로 안드로이드 2.3, 진저브레드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 스마트폰이기도 하다. 1GHz 허밍버드 프로세서에 4인치의 슈퍼 AMOLED 터치스크린과 16GB의 넉넉한 내장 메모리를 가진 넥서스S. 이 제품을 그저 단순한 하나의 스마트폰 기계로 보면 요즘처럼 듀얼 코어 스마트폰이 나오는 있는 상황에서 그다지 대단할 것이 없다고 생각할 수 있도 있겠지만 여러가지 면에서 이 넥서스S가 가지는 의미는 결코 적지 않다. 구글 순정 안드로이드 폰의 위력을 보여주다 넥서스S를 써본 이들이라면 대부분 느끼는 것이 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4. 22. 3D TV, 어떤 방식이 좋을까? 요즘 가전제품들 가운데 유난히 신문에 많이 나오는 이야기가 있다. 바로 LG전자와 삼성전자의 3D TV 방식에 대한 논란이다. 세계 1위 TV 제조업체인 삼성전자는 양쪽의 셔터가 깜빡이며 화면을 보여줌으로써 3D를 구현하는 셔터글래스 방식을, 역시 세계 3위의 TV 제조업체인 LG전자는 편광 필름을 TV에 입히고 편광 안경을 통해 양쪽 눈에 다른 영상을 보여줘 3D를 구현하는 FPR 방식의 3D TV를 출시하고 있다. 장단점이 뚜렷한 두가지 3D 방식 우선 삼성전자의 셔터글래스 방식은 작년에 3D TV를 본격적으로 출시하면서 대중에게 알려졌다. 이 방식은 안경에 달린 셔터가 주기적으로 열리고 닫힐 때마다 TV쪽에서 서로 다른 한 화면 분의 데이터를 교대로 보여줌으로써 3D를 구현한다. 화면이 가진 데이터..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1. 4. 20. 모토로라 XOOM, 태블릿 전쟁의 최전선에 서다 모토로라에서 지난 3월 30일, 안드로이드 3.0 기반의 태블릿인 XOOM을 대한민국에 공식 발표했습니다. SK텔레콤에서 4월 중순 경에 출시하는 바로 그 제품이죠. 엔비디아의 테그라2 1GHz 듀얼 코어 프로세서에 10.1인치 1280x800 해상도의 터치스크린 패널, 730g의 무게를 가진 이 제품은 모토로라가 한국 시장에 내놓는 첫 태블릿이면서 참으로 많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2011/04/02 - 모토로라의 첫 태블릿 XOOM, 미리 보는 현장 리뷰 최초의 허니컴 안드로이드 태블릿 XOOM이라는 태블릿이 가진 가장 중요한 의미는 역시 세계 최초로 등장한 안드로이드 3.0, 흔히 Honeycomb이라 불리는 태블릿용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제품이라는 점입니다. 이미 갤럭시 탭이나 아이덴티티 탭 등 .. #작은PC/#태블릿#e북리더 2011. 3. 31. 이전 1 2 3 4 5 6 7 8 ···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