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88 LG webOS 이어 삼성 타이젠 TV도 글로벌 TV 플랫폼으로 간다 애플의 iOS, 구글의 안드로이드, 삼성의 타이젠?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삼성전자 스마트TV에는 OS로 타이젠(Tizen)이 들어있습니다. 타이젠은 삼성전자가 주도하여 개발하는 리눅스 기반의 OS로 2012년 처음 나왔죠. 초반에는 삼성에서도 제법 힘을 기울여 타이젠을 탑재한 Z 시리즈 스마트폰도 나왔지만 곧 단종되었고 NX300, NX1 등 스마트 카메라에도 쓰였습니다만 역시 삼성이 카메라 사업을 끝내면서 단종되었습니다. 그나마 모바일 디바이스 가운데에는 기어 시리즈와 이름이 바뀐 갤럭시 워치가 쓰고 있었습니다만 갤럭시 워치4 출시와 함께 Wear OS Powered by Samsung이라는 기존 구글 Wear OS와의 통합이 이뤄지며 타이젠은 빠졌습니다. 그렇다고 타이젠이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닙니다..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22. 10. 12. 휘었다 폈다 마음대로, LG 올레드 TV 플렉스 벤더블 TV 발표 며칠 전 라지온에서는 커세어가 화면을 휘었다 폈다 하는 벤더블(bendable) 모니터, XENEON FLEX 45WQHD240 OLED 게이밍 모니터를 소개해드린 바 있습니다. 2022.08.26 - 모니터를 휘었다 폈다? 커세어, 세계 최초 벤더블 모니터 XENEON 45WQHD240 발표 모니터를 휘었다 폈다? 커세어, 세계 최초 벤더블 모니터 XENEON 45WQHD240 발표 세상에는 21대 9 모니터도 많고 휘어져서 나온 커브드 모니터도 많습니다. 아직은 평면이 대세지만 새로운 커브드 디스플레이도 괜찮다는 분들도 있죠. 반대로 커브드보다는 평평한 화면을 선호 lazion.com 소개하면서 패널이 LG 디스플레이 제품인데 왜 LG전자로 먼저 나오지 않았나 아쉬워하기도 했었습니다만, 역시나 LG전..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22. 8. 31. 모니터를 휘었다 폈다? 커세어, 세계 최초 벤더블 모니터 XENEON 45WQHD240 발표 세상에는 21대 9 모니터도 많고 휘어져서 나온 커브드 모니터도 많습니다. 아직은 평면이 대세지만 새로운 커브드 디스플레이도 괜찮다는 분들도 있죠. 반대로 커브드보다는 평평한 화면을 선호하는 분들도 여전히 적지 않고요. 그런데 이 분들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휘었다 펴졌다 하는 모니터가 나왔습니다. 고급형 PC 주변기기 제조업체로 유명한 커세어에서 세계 최초로 화면을 휘었다 폈다 할 수 있는 벤더블(bendable) 모니터 XENEON FLEX 45WQHD240 OLED 게이밍 모니터를 발표했습니다. 커세어 측에 따르면 이 제품은 LG 디스플레이와 손잡고 W-OLED 기술을 채용하여 평평한 화면부터 최대 800R 곡률을 가진 휘어진 화면으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다고 하네요. 물론 이런 휘어지는 능력을 ..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22. 8. 26. 모니터를 갖고 다니겠다면? LG 리베로 LG전자에서 또 독특한 제품을 내놓았습니다. 그동안 수없이 만들어왔던 27형 모니터에 QHD(2560×1440) 해상도에 색 영역 표준인 sRGB를 99% 충족하는 IPS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건 여느 제품과 비슷한 부분입니다만, 이 녀석은 여기서 좀 더 나아갑니다. 오늘자로 정식 출시한 LG 리베로 모니터(제품명: 27BQ70QC)는 갖고 다니면서 쓰는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특히 이동과 휴대성, 그리고 공간 활용에 촛점을 맞췄네요. LG 리베로는 갖고 다니다가 위 사진에 나온 것처럼 전용 악세사리를 이용하여 파티션에 걸어쓸 수도 있고 들고 다닐 때 손잡이 역할을 하던 일체형 스탠드로 본체 만으로 세워놓을 수 있습니다. 이때 각도는 5/10도까지 기울일 수(tilt) 있다네요. 본체에는 마이크가 달린 탈..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22. 7. 18. 롤러블 TV가 온다! LG 시그니처 올레드 R, 드디어 언팩 그동안 TV 업계는 수없이 많은 변화를 겪어왔습니다. 흑백에서 컬러로, 브라운관에서 평면으로, LCD에서 OLED(올레드)로 화면은 바뀌었고, 그 와중에 더 크고 더 얇은 화면을 만들어 내기 위해 지금도 변화와 혁신의 과정에 있습니다. 경쟁은 격화되어 예전에는 가정에서 상상하기 힘든 65인치 이상의 TV 가격도 많이 저렴해졌고 70인치를 넘어 80인치 제품까지 대중화를 향해 박차를 가하고 있지요. 또 한편으론 TV 자체의 폼 팩터에 대한 이야기가 빠질 수 없습니다. 10년 전, 20년 전의 TV와 비교하여 훨씬 얇고 커지긴 했지만 그 차제의 한계에서 TV는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기본적으로 TV는 화면 크기만한 넓은 공간을 차지해야 했고 그 공간은 TV 시청 유무와 무관하게 사용할 수 없는 죽은 공간이 ..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20. 10. 17. 가성비(?!) 단초점 4K 프로젝터, LG 시네빔 HU85LA는 누구에게 필요할까? 집 안에서 편안하게 영화관처럼 커다란 화면으로 영상을 보고 싶은 이들에게 가정용 프로젝터만큼 적절한 제품은 아직 없는 것 같습니다. 물론 재산이 많은 분들이라면 영화관까지 꾸미실 수 있겠지만 보통 사람들에게 수천만원대 가격의 제품은 그림 속의 떡이죠. 어느 정도 감당 가능한 가격에 가능한 가장 큰 화면을 원한다면 프로젝터가 제격입니다. 거기에 덧붙여 설치의 용이성와 공간 절약까지 생각한다면 단초점 프로젝터가 좋겠죠. 화질은 4K까지 지원하고 HDR 규격도 지켜주면 좋을 겁니다. 편리한 에코시스템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한다면 스마트 TV 부럽지 않겠죠. 그리고 오늘 리뷰할 제품이 바로 그런 조건을 만족시키는 LG 시네빔 레이저 4K 프로젝터 HU85LA입니다. 겉 : 거실에 어울리는 스피커 또는 사운드바..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20. 5. 13. 스탠드가 정말 탐나는 LG 울트라파인 에르고 모니터 비록 세상이 OLED와 같은 자발광소자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넘어가고 있습니다만, 특히 컴퓨터 세계에서 여전히 IPS 패널의 영향력은 건재합니다. 수많은 모니터가 여전히 IPS 패널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는 노트북도 마찬가지입니다. 우연찮게도 글쓴이의 노트북에 달린 패널 또한 IPS 방식입니다. 그리고 최고 수준의 IPS 기술로 모니터를 만드는 회사 가운데에는 LG전자가 있습니다. 그 LG전자가 이번 CES 2020을 맞이하여 새로운 모니터 3종을 발표했습니다. 그 이름은 LG 울트라기어, LG 울트라와이드, LG 울트라파인 에르고입니다. LG 울트라기어(27GN950)는 당연히 27인치 게이밍 모니터로 최대 160Hz 고주사율, 1ms 응답속도의 나노 IPS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으며 VESA 디스플..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9. 12. 21. LG 올레드(OLED)와 QLED 기술 비교, 진정한 8K TV는? LG전자가 이번에 디스플레이 기술설명회라는, 다소 생소한 행사를 열었습니다. 이 행사의 주제는 LG전자의 올레드(OLED) 기술 기반의 올레드 TV와 경쟁사인 ㅅ사의 QLED 기술 기반 TV의 비교를 기술적으로, 그리고 체험으로 풀어보는 것과 동시에 최근 출시된 8K TV의 진정한 의미와 기준을 소개하는 자리였습니다. 그런데 이런 행사는 사실 우리나라에서는 그리 없던 일이긴 합니다. 굳이 생각해 보면 3D TV가 한참 나오던 시절인 2011년, 편광 필름을 붙인 방식과 셔터글래스 안경을 쓰는 방식으로 나뉘었던 두 회사의 제품을 비교했던 시연회가 이번과 가장 비슷하겠군요. 2011/04/20 - 3D TV, 어떤 방식이 좋을까? 이 날 행사의 목적도 제법 명확했습니다. 보통 사람들이 잘 모르거나 하나하나 ..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9. 9. 26. 2019년 지금, LG 올레드(OLED) TV를 사야 하는 세가지 이유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가 판을 치는 2019년에도 여전히 '무엇을 본다'라고 생각하면 TV를 제일 먼저 떠올리게 됩니다. N스크린이라는 이름으로 기존에는 TV나 극장에서 보던 영상 콘텐츠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보게 되었지만 TV 또한 발전을 거쳐 여전히 강력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TV 시장 또한 미국, 그 다음에는 일본 제조사가 세계를 누비던 과거와는 달리 지금은 한국의 TV 제조사가 세계 시장을 좌우하고 있으며 그 뒤를 중국 업체들이 따라오는 모양새입니다. 실제로 대한민국 TV 시장 또한 품질과 서비스 환경을 내세우는 국내 제조사와 낮은 가격을 내세우는 중국 OEM 제품군들이 차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덕분에 소비자들은 예전보다 다양해진 선택 ..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9. 9. 18. 인공지능으로 영리해진 2019년 LG올레드TV AI ThinQ TV하면 늘 제일 먼저 떠오르는 LG전자가 2019년에도 어김없이 새로운 TV 제품군을 들고 나왔습니다. 아주 오래 전 금성사 샛별 텔레비전 때부터 지금까지 우리나라 TV 시장을 이끌었던 LG전자가 올해는 어떤 제품으로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으려고 준비했는지 지금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올해 초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CES 2019 행사는 LG 올레드TV가 독무대라 할 정도로 큰 인기를 모았습니다. 우선 가장 눈에 띄었던 이른 바 롤러블 TV라고도 불리는 LG 시그니처 올레드TV R은 CES 혁신상을 비롯한 85개 상을 수상했고 LG 올레드TV 전체로는 무려 121개의 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런 대단한 실적을 올린 중심에는 역시 LG의 올레드 패널이 자리잡고 있죠. 기존의 LCD/LED TV와는 달리 픽셀..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9. 3. 11. 인공지능 ThinQ와 결합한 2018 LG 올레드 TV 광복 후 우리나라는 숨가쁜 경제 성장 속에서 많은 발전을 이뤄왔습니다. 가전 제품 분야 또한 마찬가지인데요, 전세계 TV 업계의 1, 2위가 모두 루우리나라 기업이라는 사실은 무척 고무적이죠. 세계 속의 TV 트렌드를 이끄는 우리나라 기업 LG전자가 2018년 새 TV 제품군을 발표했습니다. LG전자는 많은 나라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말 그대로 세계 속의 LG TV라는 점은 아무도 부정하지 못하겠죠. 특히 LG전자의 브랜드 파워가 막강한 미국에서는 더욱 큰 활약을 보이고 있습니다. 1~7위를 싹쓸이 하다뇨, 농담같지만 사실입니다. 판매 면에서도 OLED 패널을 이용한 TV의 판매량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OLED 패널의 수율이나 잔상 문제 때문에 의구심을 나았지만 상황은 이제 달..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8. 3. 7. MS 무선 디스플레이 어댑터 V2와 엑스박스원 X1 컨트롤러, 어디에 쓰는 물건일까? 지난 글에 이어 이번 편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무선 디스플레이어 어댑터 V2와 엑스박스원 X1 컨트롤러라는, 어울릴 듯 하면서도 어색한 두 제품의 패키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기본적인 설치 과정은 지난 글에서 다뤘으니 이번 편은 제목에 나온대로 활용에 관한 이야기다. 2018/01/17 - 마이크로소프트 Wireless Display Adaptor V2와 XBOX One X1 컨트롤러가 만나면? 무선 디스플레이 어댑터와 게임패드의 조합은 얼핏 보면 안 어울릴 것 같긴 하다. 하지만 지난 글에서 살펴보았듯이 가장 쉽게 활용 가능한 방법이 있다. 바로 스마트폰 게임을 더 큰 화면에서 보며 즐기는 것. 게임을 게임답게 엑스박스 원 X1 컨트롤러를 스마트폰에 연결하면 안드로이드 용으로 나온 몇몇 타이틀을 ..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8. 1. 26.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