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88 2012년, LG의 3D TV는 어떻게 스마트해지고 있을까? 그동안 LG전자는 3D라는 키워드로 톡톡히 재미를 보고 있습니다. 과감하게 셔터식을 버리고 보다 자유롭고 편하게 3D를 감상할 수 있는 FPR 방식의 3D TV를 채택하고 대대적으로 그 장점을 홍보했죠. 저렴한 안경 가격과 편안한 착용감 등 FPR 방식의 장점은 대중에게 매우 직접적으로 와닿았고 자연스럽게 3D = LG TV라는 공식을 그 마음 속에 새겨넣는데 성공했습니다. 물론 경쟁사들의 TV 또한 안 팔리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3D에서는 LG전자에게 한수 접고 넘어가는 모양새가 된 것이죠. 자, 그럼 3D는 그렇다치고 최신 TV의 또 한가지 키워드인 'SMART'는 어떨까요? 이 부분은 반대로 LG전자가 아직 밀리고 있는 분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즘은 조금씩 변화가 보이고 있죠. LG전자의 ..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2. 8. 7. IPS와 AMOLED, 모바일 디스플레이로 비교해보면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성공으로 모바일 기기에서 디스플레이의 중요성은 갈수록 더해지고 있습니다.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화면의 크기, 시야각, 미려함이 모두 중요한데 각 제조사에서는 이들 디스플레이의 특징을 제품 홍보 전면에 내세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제품 뒤에 붙는 ~HD, ~AMOLED 등이나 화면 크기를 그대로 제품 모델 명에 넣어버리는게 그 예입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이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첨병에는 국내의 두개 기업이 전면에 서 있습니다. 바로 LG 디스플레이와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죠. 이른 바 레티나(Retina) 디스플레이로 유명한 IPS 방식의 패널 가운데 가장 유명한 업체는 LG 디스플레이고 AMOLED로 가장 유명한 업체는 SMD 입니다. 그리고 가장 최신 디스플레이 기술을 도입한 옵티머..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2. 6. 1. 셋톱박스가 당신의 TV를 스마트하게 만들어 드립니다 요즘 TV 분야에서 화두가 되는 단어들 중에서 굵직한 것으로 ‘스마트 TV’가 있습니다. 이 스마트 TV란 기존과 같이 방송국에서 내보내는 채널만 시청자들에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좀 더 많은 일들을 할 수 있는 제품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TV 화면을 통해 인터넷 서핑을 한다거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겠죠. 더 똑똑해진 TV랄까요? 이 스마트 TV를 내부적으로 살펴보면 기존의 TV에 이른 바 스마트함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결합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스마트 TV는 소비자에게 다가갈 때의 모습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삼성전자나 LG전자와 같은 기존 TV 제조사들이 만드는 일체형 스마트 TV를 들 수 있겠죠. 아직까지는 가전 매장 등지..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2. 5. 22. 모습을 드러낸 Daum TV, 그 핵심 여섯가지 우리나라 2위의 포털 서비스 업체인 다음이 TV를 내놓았습니다. 아니, 보통 사람의 눈에는 TV로 보이지 않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다음이 내놓은 것은 화면을 쏴주는 장치이지,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커다란 화면을 가진 장치는 아니니까 말이죠. Daum TV? Daum TV+? 이번에 다음이 발표한 것은 두가지입니다. 하나는 플랫폼인 Daum TV, 또 하나는 하드웨어인 Daum TV+죠. Daum TV는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하여 다음에서 만든 독자적인 스마트 TV 플랫폼의 이름이자 이를 만든 회사 이름이기도 합니다. 플랫폼으로서의 Daum TV의 위치는 구글 TV와도 비슷하다고 보면 되는게, 다른 회사의 TV 제품에도 탑재가능함을 밝히고 있습니다. 그리고 Daum TV+는 다음 TV 플랫폼을 최초로 구현한..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2. 4. 26. 3D로 독주한다 - LG 시네마 3D 월드 페스티벌 2012 요즘 LG전자 하면 생각나는 단어로 '3D'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삼성전자와의 3D TV 경쟁에서 FPR 방식으로 사실상 승리한 이후 LG전자는 좋은 기세를 타고 있습니다. 2011/07/04 - 3D 입체영상을 보통 PC에서도? LG 3D 모니터 D2342 리뷰 2012/01/26 - LG TV로 보는 2012년 TV 세가지 대세 2012/03/09 - 2세대 3D 스마트폰, LG 옵티머스 3D 큐브의 핵심 다섯가지 2012/03/09 - 3D와 결합한 올인원 PC - LG V300 리뷰 디자인에서도 올해 2012년에 들어와서는 괄목할만한 진화를 한 TV는 물론이고, 올인원 PC와 노트북도 3D를 도입했죠. 가장 작은 크기를 가진 스마트폰 분야에서도 옵티머스 3D의 후속작인 옵티머스 3D 큐브를 출시..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2. 4. 2. 스마트에코와 모바일로 무장한 2012년 벤큐 프로젝터 BenQ 벤큐라는 브랜드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계시는지 모르겠다. 2001년 생긴 대만의 이 브랜드는 LCD 모니터, 디지털 프로젝터, 노트북 PC, 올인원 PC, 디지털 카메라, LCD TV, 휴대폰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며 1억1천8백만 달러의 자본금에 45개국에 1300명 이상의 직원을 가진 거대 회사다. 특히 전체 프로젝터 시장에서는 2위, DLP 프로젝터 분야에서는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번에 새로운 프로젝터를 대한민국 시장에 들고 왔다. 그런데 그들이 내세우는 키워드가 흥미롭다. 1. 똑똑한 절약 : 스마트에코 원유 값의 폭등에 따라 에너지 절약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저기서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 그리고 벤큐가 세계 1위를 차지하는 DLP 프로젝터의 전력 소모량 또한 만만치 않다...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2. 1. 27. LG TV로 보는 2012년 TV 세가지 대세 LG전자 TV 부문에게 2011년은 기억할만한 한해였습니다. 재작년부터 대세가 되기 시작한 3D라는 키워드에서 FPR 방식으로 경쟁사들을 압도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한편으로는 3D가 아닌 디자인이나 스마트TV 등 다른 부문에서의 기대치 또한 높아졌기 때문에 이에 부응해야 한다는 부담 또한 늘어난 상태였습니다. 그렇게 기대와 부담이 교차한 2012년의 LG전자 신제품 TV에 대해 관심이 모였던 것 또한 당연한 일이죠. 그리고 공개된 LG전자의 새로운 TV들. 과연 어땠을까요? 드디어 OLED 경쟁사가 스마트폰을 통해 AM OLED를 알렸습니다만, 더 큰 크기의 화면이라는 측면에서 OLED 방식의 디스플레이는 아직 갈 길이 많이 남아있었습니다. 소니를 비롯해 다양한 제조사들이 OLED TV를 선보이긴 했습니..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2. 1. 26. 3억대의 홈씨어터를 감상하려면 : 뱅앤올룹슨 매장 탐방기 - 1부. 홈씨어터 편 혹시 여러분은 뱅앤올룹슨이라는 브랜드를 아시는지 모르겠습니다. Bang&Olufson 또는 B&O라고 알려져있는 이 브랜드는 고급 AV 기기를 만드는 덴마크의 회사입니다. 2012/01/31 - 뱅앤올룹슨 매장 탐방기 - 2부. 오디오 편 이 회사의 역사는 꽤나 오래됐습니다. 처음 설립된 것은 1925년의 일로, 피터 뱅(Peter Boas Bang)과 스벤드 올룹슨(Svend Olufsen)이 세웠습니다. 그래서 Bang & Olufson이 된 것이죠. 이들의 첫 작품은 교류 전기를 이용한 라디오였고 그 이후에도 다양한 음악/영상 기기를 만들어왔죠. 이들의 모토는 '정직한 음악적 재현'입니다. 원음에 필요 이상으로 집착하지 않고 듣는 이의 입장에서 편안한 소리를 들려준다고 할까요? 이러한 특징에 대해서..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2. 1. 18. 3D 입체영상을 보통 PC에서 즐기는 LG 3D 모니터 D2342 리뷰 : 활용편 FPR 방식의 LG전자 3D 모니터 D2342의 리뷰 두번째 시간이다. 이번 편은 말 그대로 3D를 체험하는 시간이 되겠다. 그런데 잠깐. D2342에서 3D를 체험하려면 소프트웨어가 한가지 필요하다. 2011/07/04 - 3D 입체영상을 보통 PC에서도? LG 3D 모니터 D2342 리뷰 - 1부. 겉 3D 체험의 핵심 엔진 - TriDef 3D 거의 주인공 격이라 볼 수 있는 바로 TriDef 3D 소프트웨어다. 이 프로그램은 Dynamic Digital Depth(이하 DDD) 사에서 만든 3D 구현 소프트웨어로, 크게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갖고 있다. - 3D 영상 재생 - 3D 사진 감상 - 2D->3D 실시간 변환 3D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PC에서도 3D 화상을 감상할 수 있게 하..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1. 7. 12. 3D 입체영상을 보통 PC에서도? LG 3D 모니터 D2342 리뷰 - 겉 편 LG전자는 요사이 모처럼 TV 분야에서 미소를 짓고 있습니다. 시네마3D TV가 워낙 잘 나가고 있기 때문이죠. 그 여세를 몰아 LG전자는 3D라는 키워드를 전방위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2011/05/18 - WIS 2011에서 만난 LG전자 - 3D로 세계 정복? 옵티머스 3D와 3D 디스플레이의 잔치 스마트폰 분야에서는 옵티머스 3D가 곧 SK텔레콤을 통해 나올 예정이고, PC로도 3이미 꽤 오래 전부터 3D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는 XNOTE 3D 시리즈를 발매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소개해드릴 제품이 바로 데스크탑 PC까지 세를 확장하고자 하는 LG전자의 야망(?)을 보여주는 3D 모니터 D2342 입니다. 2011/07/12 - 3D 입체영상을 보통 PC에서 즐기는 LG 3D 모니터 D2..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1. 7. 4. 3D TV, 어떤 방식이 좋을까? 요즘 가전제품들 가운데 유난히 신문에 많이 나오는 이야기가 있다. 바로 LG전자와 삼성전자의 3D TV 방식에 대한 논란이다. 세계 1위 TV 제조업체인 삼성전자는 양쪽의 셔터가 깜빡이며 화면을 보여줌으로써 3D를 구현하는 셔터글래스 방식을, 역시 세계 3위의 TV 제조업체인 LG전자는 편광 필름을 TV에 입히고 편광 안경을 통해 양쪽 눈에 다른 영상을 보여줘 3D를 구현하는 FPR 방식의 3D TV를 출시하고 있다. 장단점이 뚜렷한 두가지 3D 방식 우선 삼성전자의 셔터글래스 방식은 작년에 3D TV를 본격적으로 출시하면서 대중에게 알려졌다. 이 방식은 안경에 달린 셔터가 주기적으로 열리고 닫힐 때마다 TV쪽에서 서로 다른 한 화면 분의 데이터를 교대로 보여줌으로써 3D를 구현한다. 화면이 가진 데이터..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1. 4. 20. 3DTV의 현재와 미래 - 3D World Forum & Showcase 2010 행사를 돌아보고 영화 아바타의 전세계적인 히트 이후로 영상 세계는 3D 환경으로 급속도로 바뀌어가고 있다. 아직 완전한 디지털 방송도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너무 빨리 가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들도 있지만 방송국이나 극장가, 영화계, 게임계까지 3D 영상으로의 변화는 멈출 줄을 모른다. TV 업계 또한 마찬가지다. 디지털 시대가 오면서 HDTV나 LED TV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하는 중에도 3D 영상물에 대해서 많은 제조사들이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가전업계 1, 2위인 삼성전자나 LG전자 또한 매우 빠르게 3D TV 시대를 선언하고 제품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그런 면에서 이번에 전자신문 주최로 코엑스에서 열린 3D World Forum & Showcase 2010 행사는 이들의 움직임을 한꺼번에 볼 ..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0. 4. 16. 이전 1 ··· 4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