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셋톱박스가 당신의 TV를 스마트하게 만들어 드립니다

늑돌이 2012. 5. 22.
반응형
요즘 TV 분야에서 화두가 되는 단어들 중에서 굵직한 것으로 ‘스마트 TV’가 있습니다.
이 스마트 TV란 기존과 같이 방송국에서 내보내는 채널만 시청자들에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좀 더 많은 일들을 할 수 있는 제품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TV 화면을 통해 인터넷 서핑을 한다거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겠죠. 더 똑똑해진 TV랄까요?

이 스마트 TV를 내부적으로 살펴보면 기존의 TV에 이른 바 스마트함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결합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스마트 TV는 소비자에게 다가갈 때의 모습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삼성전자나 LG전자와 같은 기존 TV 제조사들이 만드는 일체형 스마트 TV를 들 수 있겠죠. 아직까지는 가전 매장 등지에서 가장 흔하게 만날 수 있고 제조사에서 홍보도 많이 하고 있어 보통 이용자들에게는 가장 익숙할 것입니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TV의 화질이나 기본적인 품질 면에서는 전통적인 제조사가 가지는 TV 에 대한 노하우가 있기 때문에 충분히 믿음직스럽습니다만, 반대로 ‘스마트’한 면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품질은 담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TV 제조사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도 강한 면을 보이지는 않기 때문이죠.

그래서 각 제조사들은 자체 개발한 것이 아닌 다른 회사의 TV 플랫폼을 들여다 쓰기도 합니다. 이렇게 쓰이는 경우의 대표적인 예로 Google TV가 있습니다.
이 구글 TV는 스마트 TV를 위한 개방형 플랫폼으로 TV가 달라도 스마트 TV를 활용하는 방식은 모두 동일해집니다. 새로 배울 필요가 없는 거죠. TV의 명가 소니와 자체 플랫폼을 가진 삼성과 LG까지도 Google TV를 활용한 제품을 내놓고 있습니다.


스마트 TV의 구성 가운데 마지막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셋톱박스를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여기서 ‘셋톱박스(SetTopBox)’란 근래에 새로 나온 특별한 기기가 아니라 지금도 IP TV나 케이블 TV 시청자들이 이용하는 것으로 TV 수신을 위해 별도로 달아놓은 상자 형태의 장치를 뜻합니다.
기존의 셋톱박스는 공급회사가 제공하는 TV 프로그램을 올바르게 수신하는 역할만 수행했습니다만 근래에 나온 셋톱박스는 그 이상의 역할을 합니다. 스마트 TV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부분은 기존 TV에 맡기고 ‘스마트’함을 표현하는 모든 것을 셋톱박스가 떠맡는 방식이죠. 셋톱박스도 이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을 만큼 예전보다 성능이 좋아졌습니다.

셋톱박스로 스마트 TV를 구현하는 대표적인 예가 바로 애플 TV입니다. 99달러의 싼 가격으로 판매되는 애플 TV는 아직 제약이 있긴 하지만 애플의 아이튠즈나 스토어들을 잘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애플 TV 말고도 로지텍이나 다음 커뮤니케이션에서 만드는 스마트 TV용 셋톱박스도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기존의 TV 제조사와 화질 면에서 경쟁하기를 멈추고 ‘스마트’함, 그리고 저렴한 가격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로지텍은 Google TV를, 다음 TV는 다음 TV 플러스라는 자체 플랫폼을 탑재했습니다. XBOX로 세계 가정용 게임기 시장 2위를 차지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또한 셋톱박스로 XBOX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 중입니다.


이렇게 스마트 TV가 방식에 따라 갈리니 소비자 입장에서는 좀 혼란스러울 수도 있겠죠.


기존에 쓸만한 TV가 없이 새로 TV를 구입하는 경우라면 첫 번째로 언급한 제조사가 만든 일체형 스마트 TV가 편할 수 있습니다. 해당 TV에 대해 속속들이 알고 있는 제조사가 직접 만들었으니 만큼 가진 기능을 최대한 쓸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다만 앞에서 이야기했듯 스마트 TV의 플랫폼 측면에서는 전문 플랫폼에 비해 떨어질 가능성이 높죠. 특히 1년 단위로 새 TV 모델이 나오게 되면 옛 모델에서는 새 것에서 되는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문제도 생깁니다.

Google TV와 같은 개방형 플랫폼을 채용한 스마트 TV를 쓰게 되면 이러한 문제에서 좀 더 자유로울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소수의 제조사를 제외하고는 전통의 TV 회사들은 자체 스마트 TV 플랫폼에 집중하고 있어 다양한 모델을 보기 힘듭니다.

그래서 소비자 입장에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셋톱박스 기반의 스마트 TV가 아닐까 합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TV는 한번 사고 나서는 몇 년 동안 쉽게 바뀌지 않는 존재라는 점을 감안하면 새로운 스마트 TV 모델이 나올 때마다 구입하는 것은 아무래도 무리겠죠. 반면에 셋톱박스에 스마트 TV 플랫폼을 담고 기존의 TV에 연결하여 쓰게 되어 일단 스마트 TV에 입문하는데 드는 비용이 훨씬 적게 들 뿐 아니라 나중에 다른 TV를 구입해도 이전과 같은 사용 환경을 그대로 쓸 수 있습니다.
셋톱박스의 제조사가 살아있는 한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 또한 지속적으로 지원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의 경우 구 모델이라 더 이상의 지원이 안 돼서 새로운 셋톱박스 모델을 구입해야 한다 해도 비용 면에서 TV를 교체하는 것보다는 훨씬 부담이 적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스마트 TV를 셋톱박스로 구현하는 방식에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우선 셋톱박스 사업자가 콘텐츠를 모을 수 있는가가 중요한 관건이겠죠. 설령 충분한 콘텐츠를 모아 대량 보급에 성공하는 경우에도 회선 사업자가 데이터 트래픽 사용량을 문제삼고 추가 비용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이미 KT가 기존 스마트 TV 제조사들에게 그런 요구를 한 바 있죠. 그 밖에 기존 TV 관련 업계으로부터의 유무형의 차별도 쉽게 무시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TV 셋톱박스는 가장 저렴하게 스마트 TV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는 측면에서 그 발전 가능성은 주목할만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어떤 방식이 스마트 TV의 대세를 차지할 지는 몰라도 확실한 것은 여러분들이 쓰고 있는, 또는 앞으로 쓸 TV 대부분이 스마트해질 것이라는 점이죠. 이번 기회에 독자 분들도 ‘스마트’한 TV에 관심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요?



* 이 글은 와이즈유저 wiseuser.go.kr에 기고했던 글을 고쳐서 올린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