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GT11 LG U+는 한국 이동통신 판도에 변화를 줄 수 있을까? 우리나라도 이제 본격적으로 4세대 이동통신인 LTE 서비스가 공급되고 있습니다. 7월말 기준으로 이미 LTE로만 871만명이라는 어마어마한 가입자 수를 달성한 대한민국의 이통 3사는 이제 거의 전체 이동통신 사용자의 15% 가까운 비율이 LTE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LTE로 이동전화 서비스를 시작한 것이 작년 9월인 것을 생각해 보면 세계에서도 유래없는 빠른 속도로 3G->4G로의 전환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죠. 그런 와중에 확실히 튀는 이동통신사 한군데가 있습니다. 바로 LG U+죠. LTE에서는 앞서가라 아시다시피 LG U+는 PCS 3사 가운데 하나로 설립되었지만 신세기통신이 SK텔레콤으로, 한솔PCS가 KT로 합병되면서 만년 3위 사업자가 된 상태였습니다. 여러 모로 노력을 했었지만 1위.. #인터넷#IT#미디어 2012. 8. 20. 옵티머스 마하, LG U+의 구세주가 될 수 있을까? 스마트폰이 엄청난 인기를 얻었던 2010년이었지만 3개 이동통신사 가운데 유독 그 바람에서 비껴있었던 곳이 있었다. 바로 LG U+. 스마트폰 시장에서 고전한 LG U+ 각각 갤럭시S와 아이폰을 앞세우고 엄청난 마케팅을 해댄 SK텔레콤과 KT와는 달리 던 LG U+는 파워콤, 데이콤 등과 합병하면서 대단한 변신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했지만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못하고 특히 스마트폰 시대에 와서는 맥을 못추는 모습이었다. LG텔레콤 시절 이미 OZ라는 실용적인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런칭한지라 스마트폰 시대에 과연 어떤 모습을 보일지도 은근히 기대했던 터인데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 그렇게 된 데에는 LG U+를 위한 적당한 스마트폰이 없었다는 것에 가장 큰 원인이 있을 것이다. 옵티머스Q가 있긴 했지만 출시..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0. 12. 27. 휴대폰도 보험에 들 수 있다? 이통사들의 휴대폰 보험 서비스들 살펴보기 이제는 정말 많은 사람들이 휴대폰을 쓰는 세상이 되었다. 덕분에 휴대폰은 단순히 문명의 이기가 아니라 하나의 문화로까지 받아들여질 정도가 되었으며, 특히 청소년들 가운데에는 직접적인 대화보다는 휴대폰 문자로 이야기를 나누는게 더 편하게 여기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이렇게 생활문화에 영향을 끼칠 정도로 휴대폰이 광범위하게 공급된 배경에는 물론 그 자체의 편리함이 가장 큰 이유겠지만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면 초기에는 큰 돈을 들이지 않아도 휴대폰을 구입할 수 있고 정해진 기간동안 할부로 기기 값을 납부하는 방식이라는 점 또한 중요할 것이다. 초기 부담이 적으면 보다 쉽게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볼 때 가계에 조금씩 부담이 가긴 하지만 정기적으로 일을 해서 수입이 있다면 할부로 기기 값을 납부하는..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0. 7. 14. MAXX를 스마트하게 만드는 오즈 앱 많은 이들이 MAXX의 가장 큰 특징으로 스냅드래곤을 비롯한 막강한 '스펙'을 말하지만 실제로 맥스를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그렇지만은 않다. 사람이란 쉽게 익숙해지는 존재인지라 스냅드래곤의 막강한 성능에 놀라는 것은 잠깐이고 어느새 공기같이 당연한 것으로 여기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오늘 소개해드릴 오즈 앱은 맥스를 사용하면서 늘 가깝게 느끼게 되는 존재라는 점이 다르다. 어떤 면에서 오즈 앱은 전화 통화나 문자 등 기본 기능 다음으로 많이 쓰게 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오즈 앱이 유용한 면이 많은 점 또한 사실이다. 이쯤에서 눈치채셨겠지만 맥스가 스마트폰과 비교되는 이유가 바로 오늘의 주제인 오즈 앱(OZ App) 때문이다. 오즈 앱은 아이폰이나 옴니아 등의 스마트폰에서 보던 앱들과 마찬가..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0. 4. 3. 고화질 동영상으로 MAXX의 스냅드래곤 성능을 느껴보자 LG전자의 MAXX(LU-9400; 이하 맥스)가 나왔을 때 특히 얼리어답터들의 관심을 사로잡은 것은 국내 최초로 스냅드래곤이라는 프로세서를, 그것도 스마트폰이 아닌 일반 휴대폰에 채용한 사실이다. 앞의 글에서도 잠깐 이야기했지만 스냅드래곤은 CDMA 방식을 우리나라와 함께 만든 퀄컴에서 스마트폰용으로 만든 1GHz라는 높은 클럭의 고성능 프로세서다. ARM Coretex A8 아키텍쳐에 기반을 두고 만들어졌으며 그 빠른 처리속도로 인해 LG전자의 eXpo, 구글폰으로 알려진 넥서스 원이나 HTC의 HD2 등 다양한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스마트북인 레노버 스카이라이트에도 채용된 바 있다. 이번에 등장한 MAXX 또한 스냅드래곤 프로세서의 탑재로 인한 고성능을 누리고 있다. 이는 UI의 반응이나 오즈 앱의..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0. 3. 29. LG MAXX가 특별한 세가지 이유 지난 3월 2일, LG전자가 오랫동안 준비해온 휴대폰인 MAXX(LG-LU9400)가 드디어 선을 보였다. LG텔레콤 전용으로 선보인 이 제품은 지금까지 나왔던 휴대폰과는 뭔가 다르다고 한다. 그렇지 않아도 스마트폰 열풍 속에서 일반 휴대폰 쪽은 한풀 죽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MAXX(이하 맥스)는 현재 소비자들에게 제법 괜찮은 반응이 나오고 있다. 과연 맥스는 지금까지의 휴대폰과 뭐가 그리 다르길래 이런 반응이 나오는 것일까? 늑돌이의 맥스 리뷰 첫번째 주제가 바로 그것이었다. 1. 강력한 성능, 1GHz의 스냅드래곤(snapdragon) 채용 1GHz CPU를 채택했다는 이야기는 현재 LG전자 측에서 a맥스를 홍보하면서 가장 많이 강조하고 있는 부분으로 맥스에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한번 정도 들어..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0. 3. 23. MAXX와 OZ App으로 즐겨보는 Daum tv팟 작년 하반기부터 우리나라는 스마트폰 열풍에 휩싸이고 있다. 스마트폰은 기본 기능 말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할 뿐만 아니라 쉽게 무선망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성이 무척 뛰어나기 때문이다. 특히 인터넷 시대에 걸맞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많아지고 데이터 요금 정액제가 확산됨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의 활용성은 더욱 중요시되었다.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말해두자. 우리나라에서 진작부터 무선 네트워크와 어플리케이션을 중요시 했던 이동통신사가 있다. 그것은 바로 OZ 라는 브랜드로 유명한 LG텔레콤(현재는 3사 합병으로 통합LG텔레콤이라 불린다)이다. 월 6000원에 무려 1GB라는, 지금 봐도 파격적인 무선 데이터 요금제를 제공함으로써 당시 나왔던 OZ 서비스를 지원하는 LG텔레콤 휴대폰들의 무..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0. 3. 9. OZ 알짜정액요금제, 이렇게 진화하면 어떨까? 지난번 글을 통해 OZ 알짜정액요금제에 대한 대략적인 소개를 마쳤다. 이번 편은 이 요금제가 정말 쓸만한 좋은 것인지 살펴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2009/12/10 - 실속과 절약, OZ 알짜정액요금제 구경하기 이 분야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다 아시겠지만 OZ 알짜정액요금제와 비슷한 것이 다른 이동통신사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다. SK텔레콤에서는 데이터존프리135, KT의 경우 쇼데이터완전자유라고 불리고 있는 요금제가 바로 그들이다. 1개월 기준 SK텔레콤의 경우 13500원, KT의 경우 10000원인 이들 서비스는 설정된 페이지 안에서 무선데이터요금을 추가로 받지 않고 콘텐츠는 정보이용료없이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하다. 다만 이 페이지를 벗어났을 때는 SK텔레콤의 경우 100MB, KT의 경우 10..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09. 12. 21. 실속과 절약, OZ 알짜정액요금제 구경하기 3사 가운데 일찌감치 가장 바람직한 휴대폰용 무선 데이터 요금제를 마련하고 운영해왔던 LG텔레콤의 OZ 브랜드에 대해서는 이미 알만한 분들은 다 알고 계실 거다. 아이폰과 함께 시작된 스마트폰 열풍이 불기 한참 전부터 LG텔레콤은 홀로 사용자가 납득할만한 가격으로 무선 데이터 시장을 키워왔다. 여기에는 6000원에 무려 1GB의 데이터를 쓸 수 있는 OZ 무한자유요금제가 가장 대표격이겠지만, 오늘 여러분께 소개해드릴 것은 여기서 조금 더 확장된 OZ 알짜정액요금제다. 그게 과연 무엇인지 지금부터 알아보자. OZ 알짜정액요금제란? OZ 알짜정액요금제는 위 요금표에서 볼 수 있듯이 무한자유요금제에서 조금 더 확장된 형태다. 무한자유요금제의 특징을 그대로 가진 상태에서 30만원 상당의 벨, 필링, 게임, 애니..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09. 12. 10. 예약판매 들어간 OZ 옴니아 요금제, 아이폰과 비교하면? LG텔레콤의 OZ 옴니아(SPH-M7350)가 예약판매를 시작했습니다. 오늘 오후 3시부터 시작되는 예약판매는 17일까지 진행됩니다. 아이폰이 불러온 바람과 함께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예전부터 실속있는 무선 데이터 요금제를 자랑했던 LG텔레콤인 만큼 OZ 옴니아에 대한 기대도 매우 컸죠. 특히 OZ 옴니아는 국내 최초로 윈도우 모바일 6.5를 탑재했다는 장점도 갖고 있습니다. OZ 옴니아는 2년 약정을 기본으로 위와 같은 요금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월 4만5천원을 부담하는 경우 기기값으로 24만원을 내면 되고 월 8만5천원을 낸다면 기기는 그냥 받을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역시 KT가 내놓은 아이폰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가 눈에 띕니다. 참고로 기본료의 경우 부가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부..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09. 12. 9. 삼성의 슬림 스마트폰 MITS 4650 리뷰 - 1. 겉 순서 삼성의 슬림 스마트폰 MITS 4650 리뷰 - 1. 겉 삼성의 슬림 스마트폰 MITS 4650 리뷰 - 2. 속 (上) 삼성의 슬림 스마트폰 MITS 4650 리뷰 - 3. 속 (中) 삼성의 슬림 스마트폰 MITS 4650 리뷰 - 4. 속 (下) 및 결론 우리나라에서 PDA폰, 요즘은 스마트폰이라고 불리는 제품군은 참으로 험난한 길을 걸어왔습니다. 미국과 일본 등에서는 PDA라는 제품군의 생명이 끝나자 곧바로 스마트폰이 이어받았지만 우리나라에서 PDA 제품군, 또는 스마트폰 제품군이란 특별한 업무용으로 계약되어 판매되기 전에는 그리 수지맞는 부문은 아니었습니다. 그렇게 된 이유에는 스마트폰(또는 PDA폰. 이 글에서는 스마트폰으로 통일) 자체의 불안정성이 첫번째가 될 것입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에..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07. 11.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