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능15 Vega LTE EX, 그 성능과 LTE 전송속도를 살펴보니 팬택 스카이가 LG유플러스 사용자를 위해 내놓은 베가 LTE EX 리뷰 두번째 시간이다. 지난 글에 이어 이번에는 베가 LTE EX의 LTE 전송속도, 그리고 전체적인 성능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지난 글이 감성 쪽에 가깝다면 이번 글은 이성적인 면이 강조될 듯 하다. 그래도 최대한 쉽게 가보자. 2012/02/14 - Vega LTE EX, 그 다섯가지 유혹 베가 LTE EX와 LG 유플러스의 LTE의 만남, 얼마만큼 빠른가? 이른 바 4세대 이동통신이라는 LTE 시대를 맞이하여 이통3사 가운데 유난히 빛을 보는 곳이 있다. 바로 LG 유플러스. 3G 시대에는 WCDMA보다 훨씬 느린 EVDO rev.b로 겨우 버티고 있었지만 속도차가 적지 않았기에 불만인 사용자가 많았던 만큼, LTE 시대가 오면서 가..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2. 2. 15. 작고 가벼워진 갤럭시 탭 8.9 LTE, 10.1에서 달라진 점은? 갤럭시탭 8.9 LTE가 발표되었습니다. 갤럭시탭 7인치 모델과 10.1인치에 이어 공개된 이 모델은 전작들에 비하면 비교적 조용히 출시된 셈이죠. 그도 그럴 것이 이미 해외에는 출시된지 오래고 크기는 작지만 디자인도 10.1과 비슷합니다. 우리나라에도 KT의 스마트 홈패드라는 WiFi 버전이 나왔으니 이미 좀 김이 샌 셈입니다. 2011/10/30 - 쉬운 스마트로 간다 - KT 스마트홈 패드 그럼에도 불구하고 갤럭시탭 8.9 LTE의 존재가 무시할만한 건 아닙니다. 지금부터 살펴보죠. 갤럭시탭 8.9 LTE는 이번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까지 이통3사 모두를 통해 출시됩니다. 특히 아직 LTE를 시작하지 않은 KT도 포함된 것은 조만간 시작한다는 것이겠죠. 화면 해상도는 같지만 크기가 8.9..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1. 11. 30. 넥서스S, 그 성능도 레퍼런스 급일까? 넥서스S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레퍼런스 폰(GED; Google Experience Device)으로 가장 먼저 새로운 버전의 안드로이드가 적용된다. 그리고 구글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한 최소한의 애플리케이션들만 들어가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사나 제조사의 애플리케이션은 빠져 있다는 특징도 있다. 위 두가지 사항은 넥서스S가 GED로서 가지는 특징이자 매력이기도 한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서 갖춰야 하는 기본기에 가장 충실하다고 봐도 좋겠다. 여기에 4인치의 슈퍼 AMOLED 화면과 커브드 디스플레이의 곡선이 보여주는 독특한 디자인 또한 넥서스S를 그저 레퍼런스 스마트폰이 아닌, 나름의 매력을 가진 제품으로 보이게 한다. 그런데 넥서스S를 성능 면에서는 바라보면 어떨까? 넥서스S가 GED로 나왔다는 것은 구글이..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4. 14. 모토로라 아트릭스 리뷰 2부 - qHD 디스플레이와 폭풍 벤치마크 모토토라의 듀얼코어 스마트폰 아트릭스의 두번째 리뷰 시간이다. 오늘은 아트릭스가 가진 스마트폰 가운데 유일한 특징, qHD 해상도의 디스플레이와 아트릭스의 성능을 다양한 벤치마크을 통해서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다. 2011/03/04 - 모토로라 아트릭스 발표회 - 아트릭스, 스마트폰 그 이상이 되다 2011/03/22 - 아트릭스 하나로 통한다 - 듀얼코어 스마트폰 아트릭스 리뷰 1부. 디자인과 기본 아트릭스의 qHD 해상도 아시겠지만 아트릭스에는 qHD(540x960) 해상도가 채택된 최초의 스마트폰이다. qHD란 Quarter HD의 약자로, 1920x1080의 1/4 해상도라는 뜻이다. 덕분에 기존에 많은 안드로이드폰들이 채택했던 WVGA(480x800) 해상도에 비해 35% 더 미려해졌..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3. 23. 옵티머스 마하, 성능과 멀티미디어 살펴보기 이번 편은 지난 글에서 다루지 못한 옵티머스 마하의 성능과 기능을 살펴보는 시간이다. 지난 편을 쓸 때에는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아직 진행되지 않아 성능에 대한 제대로 된 테스트를 미뤄뒀는데 드디어 업그레이드 된 펌웨어를 가진 마하를 가지고 여러분께 이야기를 할 수 있게 되었다. 2011/01/19 - LG U+ 사용자만을 위한 스마트폰 옵티머스 마하 리뷰 - 1부. 상자를 열다 ■ 성능 벤치마크 마하의 가장 큰 특징 가운데 하나는 TI사의 OMAP 3630 프로세서를 채용했다는 점이다. 같은 1GHz인 스냅드래곤에 비해서 내부 아키텍처가 더 진보했기 때문에 속도 면에서 많은 향상을 보이는 프로세서로, '마하'라는 브랜드가 붙은 이유는 이 프로세서의 채용에서 기인하다고 봐도 좋을 것이다. 과연 어느 정도의..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1. 28. 옵티머스 2X, 직접 느껴보는 듀얼코어의 성능 이번에 SK텔레콤으로 출시되는 LG전자의 옵티머스 2X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뭐니뭐니해도 스마트폰 최초로 듀얼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했다는데 있을 것이다. 엔비디아의 테그라2 프로세서의 강력한 힘은 지난 리뷰에서도 벤치마크 프로그램들을 통해 간단하게 살펴본 바 있긴 하지만 일반 사용자에게는 그런 벤치마크 프로그램의 높은 점수보다는 체감으로 느껴지는 성능이 더 중요한 법이다. 2011/01/18 - 옵티머스 2X, 스마트폰 최강자에 어울리나 그래서 이번 리뷰의 주제는 직접 느낄 수 있는 옵티머스 2X의 성능이 되겠다. 제일 먼저 살펴볼 부분은 가장 기본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조작 부분. 전의 CES 글에서도 확인한 바 있지만 2011/01/07 - CES에 등장한 LG 옵티머스 2X와 옵티머스..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1. 27. MID의 자존심, 빌립 N5 리뷰 - 2부. 속 유경테크놀로지스의 MID인 빌립 N5의 참으로 늦어진 리뷰, 두번째 시간이다. 2010/07/31 - 디자인의 MID, 빌립 N5 리뷰 - 1부. 겉 ■ 입력 도구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빌립 N5는 기본적으로는 유경테크놀로지스 최초의 MID인 빌립 S5의 발전형이라고 봐도 좋을 정도다.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은 물론, 윈도 기반 제품으로 마우스와 키보드를 기본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있어야 편하게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키보드와 함께 광터치 마우스와 마우스 버튼 두개를 제품 양 끝에 배치하였다. 광터치 마우스에서 클릭이 안 되서 아쉽긴 하지만 양손으로 들고 쓸 때는 무척 편안하다. 지하철 등에서 서있는 상태에서 원하는 내용을 보고자 할 때 특히 좋다. 책상 같은 곳에 내려놓고 쓸 때도 숙달된 다음에.. #작은PC 2011. 1. 5. 멀티터치 태블릿 빌립 S10 블레이드 리뷰 - 2부. 멀티터치, 기능과 성능 늑돌이의 사정으로 인해 늦어졌던 S10 블레이드 리뷰 두번째 시간이다. 기다리셨던 분들께 사과드리며 바로 본문으로 들어가겠다. S10 블레이드의 정체성을 정의하려면 두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 바로 태블릿과 미니노트북이다. 아톰 Z530 CPU와 US15W 칩셋, 노트북과 같은 키보드와 터치패드에 스위블 가능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채용함으로써 그 두가지 성격을 다 가지게 된 이 제품, 속은 어떤지 그러한 특성을 되새기며 지금부터 살펴보자. 2010/07/30 - 멀티터치 태블릿 빌립 S10 블레이드 리뷰 - 1부. 겉(개봉기와 외형) ■ OS와 소프트웨어 S10 블레이드에는 윈도7 홈 프리미엄과 기존의 빌립 시리즈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들이 모두 함께 들어있다. 동영상을 담당하는 빌립플레이어와 .. #작은PC 2010. 8. 25. 더 세련된 MID, 엠북 비즈 리뷰 - 2부. 기능과 성능 오늘은 1부에 이어 UMID가 새로 내놓은 MID, 엠북 비즈의 속을 살펴보는 시간이다. 자, 시작해 보자. 화면 엠북 비즈의 화면은 엠북 전작을 비롯하여 많은 UMPC와 MID에 쓰이는 4.8인치의 1024x600 터치스크린 화면이다. 멀티터치는 되지 않지만 그래도 화면 밝기나 터치 감도 면에서 좋은 편이다. 전작에 비해 특히 화면 각도가 훨씬 넓게 벌어져서 특히 서서 쓸 때 무척 편해졌다. 입력도구 엠북 비즈의 키보드는 전작인 엠북에 쓰인 키보드와 동일하다. 풀사이즈보다는 한참 작지만 엄지손 타이핑에는 별 문제가 없는 수준으로 엠북 동호인 가운데 1분에 650타를 친 경우도 있다. 이번 엠북 비즈에서 추가된 입력도구로 광센서 마우스가 있다. 화면 베젤 오른쪽에 자리잡은 광센서 마우스는 마우스 등 포인.. #작은PC 2010. 1. 15. 전자사전같은 PC, UMID의 엠북 M1 리뷰 - 2부. 속 오늘은 유엠아이디의 엠북 리뷰 두번째 시간이다. 겉을 위주로 살펴봤던 지난 편과는 달리 겉에서 볼 수 없는 속 부분을 다뤄보는 시간이다. 특히 CPU 1.1GHz 모델과 CPU 1.33GHz인 M1-434KWA 모델의 성능과 배터리 지속시간을 비교한 내용도 있으니 궁금하신 분은 꼭 보시기 바란다.■ 화면과 터치스크린엠북의 화면은 와이브레인 B1이나 빌립 S5에서 채용한 것과 같은 1024x600 해상도의 터치스크린 액정으로 삼성전자의 제품이다. 화질 면에서는 좋은 편. 하지만 엠북에는 광터치 마우스나 터치패드, 포인팅 스틱 같은 별도의 포인팅 디바이스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작업을 키보드가 아니면 터치스크린으로 작업해야 하는데 4.8인치의 1024x600이라는 고해상도 덕분에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결.. #작은PC 2009. 3. 6. 이것이 MID! 빌립 S5 리뷰 - 2부. 성능 오늘은 빌립 S5 리뷰 두번째 편, 성능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이다. 빌립 S5의 머리를 담당하는 것은 바로 인텔의 아톰 Z520 1.33GHz다. 보통 넷북 제품군에 쓰이는 아톰 N 시리즈와는 다른 종류로, 클럭대비 속도는 비슷하지만 보다 저전력에다가 더 작게 만들어져 있다. 이 CPU 아톰 Z520의 짝은 폴스보(Poulsbo)라고도 불리우는 US15W 칩셋이다. 아톰 Z 시리즈는 이 US15W 칩셋과 결함함으로서 작지만 당당하게 PC로서 기능해 나간다. 이 칩셋 또한 넷북 제품군에 쓰이는 945GSE 칩셋보다 훨씬 작고 저전력화되어있다. 하지만 이들의 조합이 만들어 내는 성능은 사실 그다지 좋은 편은 못 된다. 아톰 프로세서는 기본적으로 같은 인텔의 코어 시리즈는 물론 셀러론이나 펜티엄 시리즈에 비.. #작은PC 2009. 2. 19. 아름답고 강한 소니 노트북 바이오 TT-16LN 리뷰 - 2부. 속 (기능/성능 및 결론) 오늘은 소니 코리아의 바이오 TT-16LN 리뷰 두번째 시간이다. 겉을 보면서 디자인에 감탄했던 지난 편에 이어 오늘은 속 이야기를 하는 시간이다. 즉, 바이오 TT의 기능과 성능, 그리고 제품에 대한 종합적인 결론을 내리는 시간이다. 아름답고 강한 소니 노트북 VAIO TT-16LN 리뷰 - 1부. 겉 아름답고 강한 소니 노트북 VAIO TT-16LN 리뷰 - 2부. 속 (기능/성능 및 결론) 시작하기 전에 바이오 TT-16LN의 기본 제원을 일단 살펴보고 지나가자. 아래 제원은 뒤에서 종종 언급하게 될 것이다. 바이오 TT-16LN 기본 제원 - CPU : 인텔 코어2 듀오 SU9400 1.4GHz - 화면 : 11.1인치 1366x768 해상도의 클리어 브라이트 LCD - 칩셋 : 인텔 GS45 익.. #작은PC 2008. 11. 25.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