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V51 LG webOS 이어 삼성 타이젠 TV도 글로벌 TV 플랫폼으로 간다 애플의 iOS, 구글의 안드로이드, 삼성의 타이젠?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삼성전자 스마트TV에는 OS로 타이젠(Tizen)이 들어있습니다. 타이젠은 삼성전자가 주도하여 개발하는 리눅스 기반의 OS로 2012년 처음 나왔죠. 초반에는 삼성에서도 제법 힘을 기울여 타이젠을 탑재한 Z 시리즈 스마트폰도 나왔지만 곧 단종되었고 NX300, NX1 등 스마트 카메라에도 쓰였습니다만 역시 삼성이 카메라 사업을 끝내면서 단종되었습니다. 그나마 모바일 디바이스 가운데에는 기어 시리즈와 이름이 바뀐 갤럭시 워치가 쓰고 있었습니다만 갤럭시 워치4 출시와 함께 Wear OS Powered by Samsung이라는 기존 구글 Wear OS와의 통합이 이뤄지며 타이젠은 빠졌습니다. 그렇다고 타이젠이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닙니다..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22. 10. 12. 휘었다 폈다 마음대로, LG 올레드 TV 플렉스 벤더블 TV 발표 며칠 전 라지온에서는 커세어가 화면을 휘었다 폈다 하는 벤더블(bendable) 모니터, XENEON FLEX 45WQHD240 OLED 게이밍 모니터를 소개해드린 바 있습니다. 2022.08.26 - 모니터를 휘었다 폈다? 커세어, 세계 최초 벤더블 모니터 XENEON 45WQHD240 발표 모니터를 휘었다 폈다? 커세어, 세계 최초 벤더블 모니터 XENEON 45WQHD240 발표 세상에는 21대 9 모니터도 많고 휘어져서 나온 커브드 모니터도 많습니다. 아직은 평면이 대세지만 새로운 커브드 디스플레이도 괜찮다는 분들도 있죠. 반대로 커브드보다는 평평한 화면을 선호 lazion.com 소개하면서 패널이 LG 디스플레이 제품인데 왜 LG전자로 먼저 나오지 않았나 아쉬워하기도 했었습니다만, 역시나 LG전..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22. 8. 31. 삼성TV 안에 게임기가? 삼성 게이밍 허브 서비스 시작 삼성전자가 6월 30일부터 자사의 2022년형 스마트 TV와 스마트 모니터를 통해 삼성 게이밍 허브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삼성 게이밍 허브는 삼성전자가 자사 스마트TV와 스마트 모니터를 통해 제공하는 스트리밍 게임 플랫폼 연동 서비스입니다. 다음과 같은 타사의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군요. - 마이크로소프트 엑스박스 게임 패스(Xbox Game Pass) - 엔비디아 지포스나우(GeForce NOW) - 구글 스타디아(Stadia) - 유토믹(Utomik) 연내에는 아마존 루나(Amazon Luna)도 지원할 예정입니다만, 이용 가능한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는 나라에 따라 다른지라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엑스박스 게임 패스와 엔비디아 지포스나우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물론 가입은.. #게임#VR#교육 2022. 7. 1. 롤러블 TV가 온다! LG 시그니처 올레드 R, 드디어 언팩 그동안 TV 업계는 수없이 많은 변화를 겪어왔습니다. 흑백에서 컬러로, 브라운관에서 평면으로, LCD에서 OLED(올레드)로 화면은 바뀌었고, 그 와중에 더 크고 더 얇은 화면을 만들어 내기 위해 지금도 변화와 혁신의 과정에 있습니다. 경쟁은 격화되어 예전에는 가정에서 상상하기 힘든 65인치 이상의 TV 가격도 많이 저렴해졌고 70인치를 넘어 80인치 제품까지 대중화를 향해 박차를 가하고 있지요. 또 한편으론 TV 자체의 폼 팩터에 대한 이야기가 빠질 수 없습니다. 10년 전, 20년 전의 TV와 비교하여 훨씬 얇고 커지긴 했지만 그 차제의 한계에서 TV는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기본적으로 TV는 화면 크기만한 넓은 공간을 차지해야 했고 그 공간은 TV 시청 유무와 무관하게 사용할 수 없는 죽은 공간이 ..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20. 10. 17. 실시간 TV와 VR을 동시에 보는 EBS의 오션킹 - 연기된 오션킹 방영이 2020년 3월 26일 오후 8시에 진행됩니다. - 오션킹 방영이 연기되었습니다. EBS 측에 따르면 기술보완 및 콘텐츠 질 향상을 위해서 라고 합니다. 추후 방송 일정이 잡히는대로 이곳에도 알려드리겠습니다. --------------------------- 요즘은 펭수의 소속사로 유명하지만 EBS는 말 그대로 교육방송으로 언제나 조용히 우리나라의 교육의 한 축을 담당하며 배움을 원하는 많은 이들에게 꾸준하게 도움을 주고 있는 곳이죠. 그런데 이번 크리스마스를 맞아 12월 24일 오후 8시, EBS1을 통해 제법 눈에 띄는 프로그램을 방송합니다. 그 이름은 바로 오션킹(Ocean King)입니다. 뭔가 한국적인 영어 이름 짓기이긴 한데, 수십억년 전 바다 속 각양각색의 생명체들는.. #게임#VR#교육 2019. 12. 23. LG 올레드(OLED)와 QLED 기술 비교, 진정한 8K TV는? LG전자가 이번에 디스플레이 기술설명회라는, 다소 생소한 행사를 열었습니다. 이 행사의 주제는 LG전자의 올레드(OLED) 기술 기반의 올레드 TV와 경쟁사인 ㅅ사의 QLED 기술 기반 TV의 비교를 기술적으로, 그리고 체험으로 풀어보는 것과 동시에 최근 출시된 8K TV의 진정한 의미와 기준을 소개하는 자리였습니다. 그런데 이런 행사는 사실 우리나라에서는 그리 없던 일이긴 합니다. 굳이 생각해 보면 3D TV가 한참 나오던 시절인 2011년, 편광 필름을 붙인 방식과 셔터글래스 안경을 쓰는 방식으로 나뉘었던 두 회사의 제품을 비교했던 시연회가 이번과 가장 비슷하겠군요. 2011/04/20 - 3D TV, 어떤 방식이 좋을까? 이 날 행사의 목적도 제법 명확했습니다. 보통 사람들이 잘 모르거나 하나하나 ..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9. 9. 26. 인공지능으로 영리해진 2019년 LG올레드TV AI ThinQ TV하면 늘 제일 먼저 떠오르는 LG전자가 2019년에도 어김없이 새로운 TV 제품군을 들고 나왔습니다. 아주 오래 전 금성사 샛별 텔레비전 때부터 지금까지 우리나라 TV 시장을 이끌었던 LG전자가 올해는 어떤 제품으로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으려고 준비했는지 지금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올해 초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CES 2019 행사는 LG 올레드TV가 독무대라 할 정도로 큰 인기를 모았습니다. 우선 가장 눈에 띄었던 이른 바 롤러블 TV라고도 불리는 LG 시그니처 올레드TV R은 CES 혁신상을 비롯한 85개 상을 수상했고 LG 올레드TV 전체로는 무려 121개의 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런 대단한 실적을 올린 중심에는 역시 LG의 올레드 패널이 자리잡고 있죠. 기존의 LCD/LED TV와는 달리 픽셀..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9. 3. 11. 인공지능 ThinQ와 결합한 2018 LG 올레드 TV 광복 후 우리나라는 숨가쁜 경제 성장 속에서 많은 발전을 이뤄왔습니다. 가전 제품 분야 또한 마찬가지인데요, 전세계 TV 업계의 1, 2위가 모두 루우리나라 기업이라는 사실은 무척 고무적이죠. 세계 속의 TV 트렌드를 이끄는 우리나라 기업 LG전자가 2018년 새 TV 제품군을 발표했습니다. LG전자는 많은 나라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말 그대로 세계 속의 LG TV라는 점은 아무도 부정하지 못하겠죠. 특히 LG전자의 브랜드 파워가 막강한 미국에서는 더욱 큰 활약을 보이고 있습니다. 1~7위를 싹쓸이 하다뇨, 농담같지만 사실입니다. 판매 면에서도 OLED 패널을 이용한 TV의 판매량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OLED 패널의 수율이나 잔상 문제 때문에 의구심을 나았지만 상황은 이제 달..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8. 3. 7. POOQ 실시간TV로 더 강해진 우노큐브 G1 세상에는 스마트 TV가 무척 많지만 이를 잘 활용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TV란 것이 2~3년에 한번씩 바꾸는게 아닌 지라 한번 사고 난 다음 몇년 지나면 구형 소프트웨어만 남아있기 때문에 현 세대에 걸맞는 고화질 콘텐츠를 다루기에는 부적합하게 되기 일쑤이기 때문이죠. 그런 경우 우리는 스마트 TV를 구입해도 얼마 후에는 아예 그 기능을 안 쓰게 되거나 TV에서 스마트 부분이 빠진 모델을 구입하기까지 합니다만, 이럴 때 가장 좋은 대안은 역시 셋톱박스가 아닐까 합니다. 그 가운데에서도 오늘은 이동통신에서의 알뜰폰처럼 TV에서의 알뜰TV를 지향하는 우노큐브 G1입니다. 우노큐브 G1, POOQ 실시간 TV와 만나다 우노큐브라고 하면 기억나시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작년 12월, 우노..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7. 6. 24. 2017년 월페이퍼 OLED와 나노셀로 날아오르는 LG TV LG전자가 요즘 TV 사업에서 잘 나가고 있다는 소식은 관심이 있는 분들은 다 알고 계실 겁니다. 몇년 전 3D TV를 내세웠을 떄에는 그다지 큰 활약을 보이지 못했고 현 시점에서 보면 잘못된 방향 선택으로 판명되었습니다만, UHD 시대에서 과감하게 OLED 방식을 채택하면서 경쟁사들과의 격차를 벌이고 있습니다. 특히 경쟁이 심한 중저가 시장 뿐만 아니라 고급 TV 시장에서도 상당한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소식도 있습니다. 그런 LG전자가 이번에 2017년형 TV 신제품을 갖고 소비자를 찾아왔습니다. OLED, 벽걸이가 아니라 벽지가 되다 올해의 신제품에서 가장 눈길을 끈 제품은 바로 이 제품이죠. LG 시그니처 W 시리즈입입니다. 현재 65형은 출하 중이고 사진에서 보시는 77형은 상반기 중 출시 예정..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7. 3. 1. 푹(pooq)과 손잡고 강해진 셋톱TV 우노큐브 G1 여러분은 스마트TV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어떤 분은 TV의 미래를 제시하는 존재라고 보는가 하면 또 다른 분은 그저 TV의 가격을 올리기 위한 핑계로 보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후자의 경우는 스마트TV 등장 초창기에 무척 심해서 최근에는 중국에서 생산되어 세계로 판매되는 저가 TV의 경우 스마트TV 부분이 축소되거나 아예 떼고 나오는 경우도 많을 정도로 그런데 스마트TV에 대한 제 생각은 좀 더 단순합니다. 세상에는 좋은 스마트TV가 있고 나쁜 스마트TV가 있는데, 좋은 스마트TV는 더 쉽고 편하게 다양한 콘텐츠를 보여주는 존재라는 거죠. 그런 의미에서 이번에 셋톱TV 우노큐브 G1의 세력 확장(?)은 눈여겨 봐줄 필요가 있습니다. 우노큐브(UNOCUBE) G1? 더 나아가기 전..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6. 12. 22. 2015년 LG TV가 한 말, 했어야 하는 말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다른 업계도 마찬가지긴 하지만 끊임없이 소비자의 주의를 환기시켜야 하는 것은 TV 업계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몇년 전 그 용어는 평면 TV였고, 디지털 TV였고, LED TV였고, 3D TV였고, 스마트 TV였습니다.대략 2년전부터는 OLED와 함께 UHD 또는 4K라는 말이 나오기 시작했고 작년에는 커브드가 나왔고 이제 2015년이 되었습니다. TV를 통해 LG전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더 좋아진 화면 현재 LG전자는 OLED와 함께 LED TV를 함께 밀고 있는 상황입니다. 두 제품 모두 커브드 패널을 제공하고 있고 OLED의 경우 지난해 5종에서 올해는 10여종으로 모델을 늘렸습니다. LED 부문에서는 퀀텀닷 필름을 도입, 색재현율을 높인 제품군을 내세우며 슈퍼 울..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5. 2. 27.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