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TE38 당연한게 이제야? SK텔레콤, 5G폰에서 LTE 요금제 허용-그 반대도 가능 그동안 5G폰에서 LTE 요금제를 쓸 수 없었던 규제가 이제야 풀리나 봅니다. SK텔레콤은 오늘 11월 23일부터 5G/LTE 단말기 상관없이 원하는 요금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을 풀었습니다. 5G폰으로 5G 요금제 뿐만 아니라 LTE 요금제도 얼마든지 골라서 쓸 수 있게 된 것이죠. 반대로 LTE폰 또한 원한다면 5G 요금제를 쓸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존에는 5G 스마트폰으로 LTE 요금제를 쓰려면 몇 단계 절차에 따라 유심 기기변경을 하거나, 통신사에서 나온 제품이 아닌 자급제 5G 단말기를 사야했습니다. 이제는 안 그래도 되는 것이죠. 5G/LTE 요금제 이용, 어떻게 바뀌나? 이번 정책 변경 이후로는 5G/LTE 단말 종류에 관계없이 5G/LTE 요금제 이용이 가능합니다. LTE 단말 이용자..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23. 11. 23. 노트북 안에 LTE 있다! 에이서 원 13과 kt LTE의 만남 우리나라의 이동통신망은 매우 뛰어난 편이지만, 정작 이의 활용도는 휴대폰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 이유에는 PC에서 쓰기 위해 별도로 장비를 써야 했던 탓이 크죠. 만일 WiFi처럼 LTE 통신 모듈이 노트북 PC에 기본으로 들어가 있다면 상황은 달랐을 겁니다. 이동통신사는 이런 컴퓨팅 디바이스의 무선 데이터 사용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 편이었습니다만,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등장 이후 조금씩 전향적으로 변해 나갔습니다. 보다 다양한 요금제와 함께 데이터 용량 또한 늘어났죠. 하지만 아직까지는 외장형 모뎀이나 휴대용 라우터, 스마트폰을 통한 테더링 등을 쓰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리고 오늘 에이서가 kt와 손잡고 LTE 모뎀을 내장한 노트북 Acer One 13을 내놓았습니다. 오늘의 주인공 에이서의.. #작은PC/#노트북PC 2017. 11. 17. 2016년 대한민국 이동통신, 보통 사람들이 알면 좋을 변화 세가지 어느덧 2016년 병신년(丙申年)도 벌써 두달째입니다. 하루가 바쁘게 달라지는 이동통신 세상인데다가 성격 급한 사람들도 많이 사는 대한민국이니 올해에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은 당연하겠죠. 그래서 라지온에서는 2016년 대한민국 이동통신 시장에서 일어날 변화 가운데 업계나 전문가가 아닌,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보통 사람들도 알아두면 좋을 만한 이야기를 세가지만 뽑아서 정리해 봤습니다. 1. 단통법 개선 지난 2014년 10월 1일부터 시행 중인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이하 단통법)'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가지 논란이 있었습니다. 이동통신사가 이른 바 스팟 방식이라고 하여 특정 시점에 특정 고객에게만 할인 혜택을 주는 것이 아닌 모든 고객에게 공개적으로 공평하게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인터넷#IT#미디어 2016. 2. 15. LTE와 만난 휴대용 빔프로젝터, U+ LTE 빔 SPRO2+ TV나 모니터 등 디스플레이를 사려고 할 때 많은 이들이 염두에 두는 요소라고 한다면 화질을 우선 들 수 있겠지만 그에 못지 않게 꼽는 것으로 크기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더 큰 크기의 화면을 쓰고자 한다면 돈을 더 써야 하는게 정석이죠. 여기에 이동성까지 필요하다면 문제는 복잡해집니다. 하지만 약간의 제약만 감수한다면 또 하나의 대안이 있습니다. 바로 휴대용 빔프로젝터입니다. 렌즈를 통해 영상을 투사하는 빔 프로젝터는 비록 밝은 곳에서는 잘 안 보이고 화질 면에서도 원래의 디스플레이보다는 못하지만 그 방식 덕분에 제법 큰 화면을 즐길 수 있습니다. 어두운 곳에서 잘 보이기에 사무실이나 집 안을 영화관처럼 어둡게 만들어 영상에 집중하게 만드는 부가 효과도 있죠. 이러한 빔 프로젝터들은 몇년 전만 해도 수..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5. 10. 26. LG Gx로 써보는 실시간 통신형 내비게이션 U+ Navi LTE 우리나라 이동통신사에서는 각자 밀고 있는 실시간 내비게이션 앱이 있다. SK텔레콤에는 네이트 드라이브라는 이름으로도 유명했다가 난데없는 T 도배하기 캠페인으로 이름이 바뀐 T맵 내비게이션이 있고 KT에는 생각보다 쓸만한 올레내비가 있다. LG U+에도 하나 있다. 그 명성은 앞의 두 앱보다는 못하지만 U+ Navi라는 이름으로 서비스 중이다. U+ Navi에 LTE 시대가 오면서 이름에 LTE를 달고 3D 지도 도입 등 몇몇 변화가 있었지만 그 근본은 같다. 바로 맵피(mappy)의 후신이라는 것. 아마도 PDA 시절부터 내비게이션 깔아 쓰던 분들은 기억하실텐데 당시만 해도 지도의 완성도 면에서 아이나비와 함께 양대 거두로 있었지만 현대엠엔소프트에 인수되면서부터는 그 존재감이 희미해졌던 내비게이션이다. .. #자동차#드론#로봇#탈것 2014. 1. 22. 이통 3사, LTE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로 노리는 것은? LG U+를 시작으로 LTE에도 이른 바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시작했습니다. 뭐 관심있는 분들이야 다 한번씩 살펴보셨겠지만 이게 3G 시절의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와는 사뭇 다릅니다. '무제한'이라는 이름만 달고 있을 뿐 어디까지나 엄격한 제한이 걸려있는 요금제죠. 3개 이동통신사가 각각 '무제한 데이터'라는 미명 아래 요금제를 내놨지만 굉장히 비슷합니다. LG U+와 KT는 최소한 월 10만 4천 5백원의 요금을 내는 사람들에게만 가능합니다. SK텔레콤은 여기서 모자라 월 11만 9천 9백원 요금제에서만 되는군요. 점유율 1위 이동통신사의 자존심을 이런 데에서만 볼 수 있다는 건 안타까운 일입니다. 이런 비싼 요금제를 써도 '무제한'은 결코 아닙니다. 각 요금제에 딸린 기본 데이터 제공량에 더해 하..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3. 1. 30. LG U+는 한국 이동통신 판도에 변화를 줄 수 있을까? 우리나라도 이제 본격적으로 4세대 이동통신인 LTE 서비스가 공급되고 있습니다. 7월말 기준으로 이미 LTE로만 871만명이라는 어마어마한 가입자 수를 달성한 대한민국의 이통 3사는 이제 거의 전체 이동통신 사용자의 15% 가까운 비율이 LTE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LTE로 이동전화 서비스를 시작한 것이 작년 9월인 것을 생각해 보면 세계에서도 유래없는 빠른 속도로 3G->4G로의 전환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죠. 그런 와중에 확실히 튀는 이동통신사 한군데가 있습니다. 바로 LG U+죠. LTE에서는 앞서가라 아시다시피 LG U+는 PCS 3사 가운데 하나로 설립되었지만 신세기통신이 SK텔레콤으로, 한솔PCS가 KT로 합병되면서 만년 3위 사업자가 된 상태였습니다. 여러 모로 노력을 했었지만 1위.. #인터넷#IT#미디어 2012. 8. 20. 갤럭시 S3 출시 한달, Exynos 4 Quad 그 의미와 과제 삼성전자의 월드 베스트셀링 스마트폰인 갤럭시 S3가 우리나라 시장에 선보인지도 이제 한달이 넘었다. 이 갤럭시 S3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요소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제원 면에서 따져보자면 현재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유일무이하게 LTE를 탑재한 쿼드코어 스마트폰이라는 점을 빠뜨릴 수 없을 것이다. 한국의 갤럭시 S3 LTE : 전세계 유일의 QuadCore+LTE 스마트폰 본격적으로 쿼드코어 이야기를 하기 전에 먼저 해둘 이야기가 있다. 현재 LTE 스마트폰들은 갤럭시 S3 LTE를 제외하면 모두 퀄컴의 칩셋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에 나온 LTE 스마트폰 가운데 갤럭시 S3 LTE를 제외한 모든 기기들 또한 공통적으로 퀄컴의 스냅드래곤 S4나 S3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는 해외도 비슷한 상황이다. 삼성전..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2. 7. 27. SK텔레콤의 차별적인 4G LTE USIM 이동 이번에 LTE 공기기를 입수하여 시험하는 중에 기존의 3G 요금제와 서비스를 유지한 상태에서 LTE 단말기를 이용하기로 결정하고 이를 위해서 기존에 쓰던 USIM을 이동해서 쓰기로 했습니다. 참고로 SK텔레콤의 경우, 올해초까지만 해도 USIM 이동을 통해 LTE 단말기를 3G로 이용하는 것을 강제로 막아왔습니다만, 방송통신위원회는 LTE 단말기를 3G로 이용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고 막을 이유가 없다며 풀어줘야 한다고 했죠. 3G USIM, LTE 단말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 그래서 SK텔레콤은 올해 3월부터 3G->4G USIM 이동을 허용하게 되었습니다...만, 실제로 겪어보니 제대로 USIM 이동이 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불완전한 SK텔레콤 3G->4G USIM 이동 한차례의 S..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2. 7. 20. 옵티머스 LTE ICS 업그레이드 시작. 옵티머스 뷰와 태그, 프라다폰 3.0는 6월중 드디어 LG전자도 ICS 업그레이드를 제공합니다. 오늘 5월 30일자로 옵티머스 LTE에 대한 ICS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참고로 현 시점에서는 LG U+ 모델만 가능하며 PC에 연결하여 업그레이드를 시행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곳을 방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옵티머스 뷰와 옵티머스 LTE 태그, 프라다폰 3.0은 6월 중에 순차적으로 업그레이드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2012/03/13 - LG 옵티머스 뷰 개발자와의 뜨거운 20문 20답 옵티머스 뷰의 경우, 지난 인터뷰 내용을 봐서는 며칠 후, 그러니까 6월초까지는 가능할 것 같습니다. 위 보도자료 사진 또한 옵티머스 LTE보다 옵티머스 뷰가 더 앞에 있는 걸로 봐서는 말이죠. 아무튼 삼성전자에 이어 LG전자도 ICS 업그레이드를 제공합..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2. 5. 30. 퀄컴, 스냅드래곤으로 다시 한번 한국 시장 점령하나? 요 몇개월 동안 대한민국의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AP(Application Processor)는 한 종류, 퀄컴의 스냅드래곤 S3가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작년 9월 스마트폰을 위한 LTE 서비스가 시작된 이래 이동통신사에서는 갤럭시 넥서스나 옵티머스 3D 큐브, 아이폰4S 등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LTE를 지원하는 스마트폰만 출시했고 제조사 입장에서는 당시에 가능한 유일한 해결책인 퀄컴 칩을 탑재하여 나올 수 밖에 없었죠. 이는 퀄컴이 대주주로 있는 팬택이나 자체 AP가 없는 LG전자나 HTC, 심지어 엑시노스라는 좋은 AP를 갖고 있는 삼성전자 또한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이 시기에 나온 제품들은 옵티머스나 베가나 갤럭시나 모두 퀄컴 스냅드래곤 S3를 달고 나와야 했죠. 그전까지만 해.. #CPU#GPU#RAM 2012. 5. 10. 베가 레이서2, 스냅드래곤 S4와 고민과 배려를 담다 팬택 스카이는 이제 스마트폰 시장에 우뚝 섰습니다. 한때 회사가 위기에 처하기도 했지지만 과감한 결단으로 스마트폰 전문 기업으로 재탄생하고 내놓은 베가 시리즈와 이자르, 미라크 등 히트작들 덕분에 팬택은 현재 국내 휴대폰 시장에서 2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죠. 하지만 스마트폰 시장의 경쟁은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새 버전을 언제 탑재할 것인가, 새로운 칩셋은 언제 나오는가, 그 칩셋을 사용한 제품을 얼마나 빨리 내놓을 수 있는가 또한 제조사의 중요한 경쟁력이 되었죠. 퀄컴의 칩으로만 제품을 내놓은 팬택 또한 예외가 아닙니다. 그리고 팬택은 퀄컴의 최신 스냅드래곤 S4를 사용한 스마트폰을 최초로 내놓았습니다. 이 글의 주인공인 베가 레이서2 입니다. 베가 레이서2는 팬택 최초의 듀얼코어 스..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2. 5. 8.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