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udio51 21세기의 턴테이블, 소니 PS-HX500 소니를 사랑하는 마니아들에게 그 이유를 물어보면 빠지지 않고 나오는 것으로 남들이 안 하는 일을 저지른다... 는게 있습니다. 물론 대중화되고 상업성이 증명된 분야에서도 많은 제품을 내놓습니다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모험적으로 시장에 진출하는 경우가 종종 있죠. 그리고 그냥 하는게 아니라 현 시점에 걸맞는 최신 기술을 동원하여 만들어 나옵니다. 물론 그게 상업적으로 성공하느냐 그렇지 않느냐는 별개의 문제입니다만, 대량생산-대량판매를 추구하는 현재의 제조업, 그것도 대기업에서는 참으로 보기 드문 현상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런 소니가 이번에 또 한번 일(!)을 저질렀습니다. 2016년, 21세기가 된지 17년째인 지금 전축으로도 부르는 턴테이블, PS-HX500을 내놓은 것이죠. 과연 어떤 소니다움이 담겨있.. #오디오#헤드폰#이어폰 2016. 10. 12. KOBA 2016에서 만난 젠하이저 최신 무선 마이크로폰 시스템 1945년에 설립된 전통있는 독일의 오디오 기업인 젠하이저(SENNHEISER)는 국내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주로 헤드폰과 이어폰으로 알려져 있지만 음향 분야에서 조금 일해 보신 분들이라면 이에 못지 않게 마이크 쪽도 대단한 실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실 겁니다. 그래서 라지온에서는 KOBA(국제방송음향조명기기전시회) 2016 행사에서 마이크로 보통 말하는 젠하이저의 마이크로폰 제품군을 만나고 왔습니다. 젠하이저 뿐만 아니라 노이만(NEUMANN)의 제품들도 함께 했던 그 자리, 지금부터 살펴볼까요? KOBA 행사장은 무척 많은 사람들로 붐비고 있었습니다. 여기서는 잘 안 보이지만, 이렇게 보면 입구에만 꽤 많은 사람들이 모여있는 것을 알 수 있죠. 들어가 봅니다. 역시 안에도 많습니다. 발디딜 틈.. #오디오#헤드폰#이어폰 2016. 6. 1. 소니의 HRA 무선 오디오 h.ear 3종, 5가지 색과 LDAC 지원으로 화려하게 등장 소니 제품 가운데 은근히 인기가 많은 분야가 바로 헤드폰과 이어폰입니다. 특히 헤드폰 가운데 MDR-1 계열은 음질과 디자인, 휴대성 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으며 국내에서 엄청나게 팔려나갔죠. 하지만 이제 시대가 바뀌고 있습니다. 바로 유선에서 무선으로 말이죠. 그리고 시대는 무선에서도 고음질을 원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무겁거나 디자인이 나빠져도 안 됩니다. 그에 대한 소니의 답이 여기 있습니다. 처음부터 블루투스 이야기를 하는 거 보니 역시 대세는 무선입니다. 작년 10월에 처음 선보였던 h.ear 시리즈는 유선이었죠. 하지만 이번 제품은 모두 무선, 아니 정확히 말하면 유무선 겸용으로 나옵니다. 왼쪽부터 잡음 제거(noise cancelling) 기능을 가진 무선 헤드폰 h.ear on wire.. #오디오#헤드폰#이어폰 2016. 4. 7. 객체 기반 오디오 DTS:X가 야마하를 만나면? 좋은 소리를 듣고자 하는 분이 원하는 것은 대부분 비슷합니다. 원래 그대로의 소리를 듣고 싶은 것이죠. 그런 실제와 같은 현장감을 원하는 분들을 위해 다양한 장비와 기술이 발전해 왔는게, 그 중에서도 최첨단을 걷고 있는 DTS가 DTS:X라는 새로운 기술을 갖고 왔습니다. 그래서 찾아가 봤습니다. 그 장소는 바로 2016 서울국제오디오쇼였죠. 다양한 오디오 관련 업체들이 모여서 자신의 실력을 선보이는 곳입니다. 많은 업체와 관람객들이 모여있던 행사였습니다. 국내 오디오 마니아들이 은근히 많다더니 평일임에도 제법 북적이더군요. 이런 행사들도 진행 중이었습니다만, 제 목적은 역시 야마하와 DTS:X가 함께 진행하는 3D 서라운드 세미나였습니다. 저야 초청을 받았지만 다른 분들은 예약을 했는데 꽉 차고 대기 .. #오디오#헤드폰#이어폰 2016. 4. 1. 고음질 UHQ 블루투스, 삼성 레벨 유 프로(LEVEL U PRO) 선없이 쓸 수 있는 블루투스 헤드셋이 보편화되면서 많은 오디오 마니아들이 고민에 빠진 부분이 있습니다. 음질을 위해 유선 제품을 쓸 것이냐, 편리한 무선 제품을 쓸 것이냐는 고민이죠. 그도 그럴 것이 초창기 블루투스 헤드셋은 MP3 파일보다도 못한 음질을 들려준데다가 배터리 소모도 심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제는 기술의 발전으로 그런 문제들이 많이 해결되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블루투스 헤드셋이면서도 고음질 오디오를 지향하는 제품군까지 생겨났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리는 삼성전자의 새로운 레벨 U 프로(LEVEL U PRO)가 바로 그런 최신 제품 가운데 하나입니다. 기어 서클과 레벨 유에 이어 나온 삼성전자의 넥밴드형 무선 블루투스 헤드셋인 레벨 유 프로, 어떤 제품인지 살펴볼까요? 2015/07/29 .. #오디오#헤드폰#이어폰 2016. 1. 11. 삼성 레벨 링크, 오디오에 무선의 자유를 주러 왔다 지난 3월, 삼성전자가 스페인의 삼성 언팩 행사에서 발표한 것은 갤럭시 S6 시리즈 뿐만이 아니다. 새로운 액세서리들도 발표했다. 이렇게 많은 제품가운데에는 물론 갤럭시 S6 시리즈를 위한 액세서리가 가장 많지만 그 가운데에서도 갤럭시 S6만이 아닌 보다 다양한 제품을 위해서 나온 것들도 있다. 이 사진에서야 작게 보이지만 더 크게 보면, 바로 이 제품, 레벨 링크(LEVEL Link)다. 이 레벨 링크는 삼성전자의 오디오 리시버 브랜드인 레벨 시리즈 가운데 하나인데, 직접 소리를 들려주는 역할을 했던 기존 제품과 달리 이 제품은 블루투스 트랜스미터를 표방하고 있다. 즉, 블루투스 연결 기능이 없는 유선 오디오에 연결하여 블루투스 기술을 구현, 무선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바로 이 제품이.. #오디오#헤드폰#이어폰 2015. 5. 12. 오디오테크니카의 새로운 헤드폰 ATH-MSR7과 이어폰 ATH-CKB 시리즈 일본의 음향기기 전문브랜드인 오디오테크니카에서 새로운 라인업을 발표했습니다. 아웃도어 모니터링 헤드폰인 ATH-MSR7과 캐주얼 BA 이어폰인 ATH-CKB 시리즈입니다. 우선 ATH-MSR7입니다. 45mm 트루모션 드라이버가 들어갔습니다. 응답시간을 향상시키고 사운드 왜곡을 줄여 고해상도 사운드를 들려주도록 만들어졌다고 하는군요. 일본 쪽에서 많이 쓰이는 Hi Res Audio 로고가 눈에 띕니다. 색상은 블랙 및 브라운 두가지로 나오는데 한정판으로 레드 컬러도 함께 나옵니다. 특히 레드 컬러는 실제로 보면 꽤나 독특합니다. 일본 애니메이션 건담에 나오는 샤아의 빨강이라는 느낌이랄까요. 음질은 괜찮은 느낌입니다. 시연회장에서만 들었기에 아무래도 한계는 있지만 특별한 왜곡없이 전체적으로 잘 들려주는 편.. #오디오#헤드폰#이어폰 2014. 12. 10. 보스의 프리미엄 사운드바, 시네메이트 130 보스(BOSE)는 꽤나 취향을 타는 오디오 메이커입니다. 어떤 분은 매우 좋아하고 어떤 분은 그다지 관심을 갖지 않죠.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멋진 디자인과 색상으로 무장한 새로운 신진 브랜드들이 더 인기를 끄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보스의 오랜 역사만큼 특유의 매력이 있다는 것 또한 사실이죠. 그리고 보스 또한 꾸준하게 변화를 꾀해 왔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리는 사운드바 또한 그런 변화의 결과물입니다. 바로 시네메이트(CineMate) 130입니다. 이번에 새로 소개된 시네메이트 시리즈는 가장 보급형인 15부터 130까지 세 종류가 나왔습니다. 가격대는 위에 적혀있는 대로지요. 아마도 이들의 가장 큰 차이점은 역시 그 핵심인 사운드바에 있다고 봐야 하겠죠. 시리즈 숫자가 작아질 수록 사운드바는 .. #오디오#헤드폰#이어폰 2014. 11. 12. 고급 시장으로 전진하는 소니 헤드폰과 이어폰, MDR-Z7과 신제품들 소니는 영상 부문에서는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지만 오디오 부문에서는 워크맨의 후광 때문일까요? 특별히 헤드폰과 이어폰 부문에서 유명했습니다. 이미 수년 전 단종된 제품들 중에서도 여전히 명품이라는 기억을 가진 존재들이 있을 정도였죠. 하지만 디지털 시대가 오면서 소니의 헤드폰과 이어폰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졌습니다. 음악을 재생하는 기기가 오디오에서 MP3 플레이어, 그리고 스마트폰으로 넘어가면서 대거 신규 브랜드들이 진입하면서 소니는 한 발 물러서 있었습니다. 그런 상황을 바꾼 것은 역시 이 제품이었다고 봐야겠죠. 소니 MDR-1R은 정말 줄기차게 팔려나가면서 소니의 헤드폰을 다시금 되돌아보게 만듭니다. 적당한 가격에 적당한 무게, 디자인까지 갖춘 이 제품은 소니 헤드폰 사업의 부활을 알리는 신호탄.. #오디오#헤드폰#이어폰 2014. 10. 22. 삼성의 프리미엄 블루투스 헤드셋 레벨 오버(EO-AG900) 직접 들어보니 이제 곧 추운 겨울입니다. 슬슬 따뜻하게 귀를 감싸주면서도 마음도 데워줄 좋은 음악을 들려줄 헤드폰 하나 마련할 때가 된 것이죠.그래서 라지온에서는 삼성전자가 올해 내놓은 오디오 라인업인 LEVEL 브랜드 가운데 LEVEL OVER 헤드셋을 만나봤습니다. 올해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열린 MWC에서 대중에게 첫 선을 보인 삼성의 레벨 오디오 제품군은 헤드셋인 레벨 온과 레벨 오버, 이어폰인 레벨 인, 휴대용 스피커인 레벨 박스로 나뉩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레벨 오버는 이 가운데 가장 높은 가격을 자랑하는 최고급 제품입니다. 아무튼 그 레벨 오버를 지금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상자를 여니 떡~ 하니 까만 파우치가 보입니다. 제법 크지요. 휴대를 더 강조한 모델로 나온 레벨 온과는 달리 레벨 오버는 더 크더라도.. #오디오#헤드폰#이어폰 2014. 10. 12. 쿼드비트를 넘어서는 LG의 GS100 하이파이 이어폰 LG의 G2를 시작으로 우리나라 스마트폰들 또한 24bit/192KHz의 하이파이 음원을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미 음질 면에서는 상당 수준 인정받으면서 MP3 플레이어를 시장에서 몰아낸 스마트폰인지라 하이파이 음원의 감상 또한 자연스러운 일이 되고 있죠. 그런데 한가지 문제는 바로 이어폰입니다. 그동안 번들 이어폰은 말 그대로 번들다운 성능을 보여주었죠. 아이폰 쪽은 나름 괜찮은 음질의 번들을 공급했지만 안드로이드 쪽은 몇몇 제품 빼고는 부족함이 많았죠. 그런데 LG전자의 옵티머스G에 쿼드비트 시리즈가 자사 번들되면서 안드로이드에도 가격대성능비가 좋은 이어폰의 시대가 열리기 시작했습니다. 이 쿼드비트 시리즈는 말 그대로 대란을 일으키며 LG전자 뿐만 아니라 타사의 스마트폰 이용자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 #오디오#헤드폰#이어폰 2013. 11. 17. 진짜배기가 왔다! 모습을 드러낸 소니의 고음질 HRA 헤드폰과 오디오 작년 아이리버의 AK100 플레이어의 등장과 함께 국내에도 흔히 스튜디오 음원이라고 이야기하는 24bit/192kHz 수준의 고음질 음원 감상이 늘고 있습니다. 이는 음원 재생 기기의 성능이 좋아지고 플래시 메모리의 용량이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더 낮아지는 기술 발전이 있었던 덕도 있었지만 MP3로 통칭하는 손실 압축 방식이 다수인 디지털 음원으로는 만족하지 못한 특별한 수요층이 있었기 때문이죠. 특히 올해 들어와 LG G2를 시작으로 갤럭시 노트3, 뷰3까지 모두 이 고음질 음원을 재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드디어 스마트폰이라는 주류 시장까지 침범해 왔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가만히 있을 소니가 아니죠. 소니의 고음질은 HRA다. 가끔씩 보통 사람에게는 정말 의미없다 할 정도의 높은 스펙으로 제품을.. #오디오#헤드폰#이어폰 2013. 11. 11.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