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ull HD7 현장에서 만나 본 갤럭시 S4의 풀HD AMOLED 스크린 지난주 목요일의 미디어데이를 통해 대한민국에 첫 선을 보인 갤럭시 S4, 오늘은 그 디스플레이를 만나 본 이야기를 풀어볼까 합니다. 전통적으로 AMOLED를 내세웠던 삼성전자의 갤럭시S는 이후 나오는 매 시리즈 별로 가장 최신의 AMOLED 스크린을 탑재하고 나왔죠. 이는 갤럭시 S4에서도 예외는 아닙니다. HD SUPER AMOLED를 내세웠던 갤럭시 노트2에 이어 이번 갤럭시 S4는 풀HD SUPER AMOLED라는 타이틀을 달고 나왔습니다. 드디어 모바일 기기용 AMOLED도 1920x1080의 풀HD 해상도를 갖고 나온 셈이죠. 그것도 5인치(12.67cm)의 화면에 우겨넣어버렸습니다. 아시다시피 국내에서 5인치 이하의 디스플레이 가운데 풀HD 해상도를 구현한 것은 갤럭시 S4가 처음이죠. 결과적..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3. 4. 29. 갤럭시 S4의 새로운 AMOLED 스크린, 그 진화의 핵심은 무엇?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플래그쉽 모델인 갤럭시 S 시리즈에는 언제나 그 시점에서 가능한 최신의 하드웨어가 적용되는 전통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에서도 최고 성능의 프로세서와 함께 AMOLED 화면은 갤럭시 S 시리즈를 상징하는 핵심이었죠. 그런 기대에 걸맞게 이번 갤럭시 S4에서 새로운 AMOLED 스크린이 채용되었습니다. Galaxy S 시리즈와 AMOLED 갤럭시 S 시리즈하면 디스플레이 쪽은 언제나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가 채용되는 것이 전통이었습니다. 특히 그 시점에서 적용 가능한 최첨단의 AMOLED 스크린이 갤럭시 S 시리즈의 얼굴을 맡았던 것이죠. 이 갤럭시 S 시리즈에 들어가는 AMOLED는 작년 7월 삼성 디스플레이와 삼성 모..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3. 4. 19. LG 울트라북 Z360이 풀HD를 만난 이유 울트라북이 과연 어떤 것이냐에 대해 여러가지 정의가 있겠지만 보통의 대중 위주로 생각한다면 얇고 가볍고 세련된 디자인을 자랑하지만 충분히 실용적인 성능을 가진 노트북 정도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덕분에 위축된다고 하는 요즘의 PC 시장에서는 상당한 인기를 끌었죠.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전체 노트북 시장에서 2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할 정도였습니다. 승승장구하는 울트라북 같지만 이 녀석에게도 궁극적인 라이벌이 있죠. 울트라북의 상대는 누구? PC 플랫폼의 양대 축의 하나인 인텔이 요즘 가장 많이 신경쓰는 상대 중 하나는 바로 ARM 프로세서를 이용하는 아이패드나 안드로이드 태블릿일 것입니다. 스마트폰과는 달리 PC 시장과 겹치는 부분이 많거든요. 특히 가정을 위한 엔트리급이나 간단한 사무 용도 면.. #작은PC/#노트북PC 2013. 2. 22. CES 2013 핫이슈 정리 #1 - 디스플레이는 탈평면, 고해상도로 간다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올해도 어김없이 CES(Consumer Electric Show) 행사가 열렸습니다. 모바일을 전문으로 하는 MWC나 같은 소비자 대상이라도 다른 색깔을 가진 IFA와는 또 다르죠. 특히 연초에 진행되는 행사인 만큼 올 한해의 트렌드를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CES의 중요성은 결코 낮춰볼 수 없습니다. 그런 차원에서 라지온에서는 2013년 CES에서 보여진 여러가지 제품과 기술, 서비스를 정리하여 여러분께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로 꼽은 주제는 디스플레이입니다. 평범한 평면은 사절, 휘어진다 배불뚝이 브라운관에서 PDP, LCD의 평면 패널로 바뀐 지가 엊그제 같은데 세상은 돌고 도는지 화면이 다시 휘게 되었습니다. 다만 이번에는 브라운관과는 달리 안쪽으로 휘는 것이죠. L..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3. 1. 11. 에이수스의 울트라북은 고해상도로 간다 울트라북 제품군이 상당한 성공을 거두면서 많은 PC 제조사들이 이 분야에 열과 성의를 다 하고 있습니다. 넷북의 등장과 함께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렸던 에이수스 또한 여기서 예외는 아닌데요, 울트라북이 인텔이 만들어낸 규격이라는 문제가 있습니다. 인텔이 주도하기 때문에 홍보나 보급에는 큰 도움이 되지만 거꾸로 이야기하면 아무 제조사나 그 규격에 맞추기만 하면 만들 수 있다는 이야기죠. 제조사들의 고민도 여기에 있습니다. 하지만 에이수스는 나름대로의 해법을 갖고 있었습니다. 에이수스만의 특징은 고해상도, 그리고 배터리 에이수스의 울트라북은 스스로 젠북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서구권에서 ZEN은 선(禪)을 발음하는 말이죠. 울트라북이 그랬듯 기존의 노트북과는 좀 다르게 불리고 싶은 에이수스의 마음이.. #작은PC/#노트북PC 2012. 8. 2. 안드로이드 고화질 동영상 재생에서 꼭 해결할 문제 스마트폰에 듀얼코어 프로세서와 고성능 GPU가 도입되면서 이른 바 풀HD인 1080p 급의 해상도를 가진 동영상의 재생 여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로 1080p 동영상을 촬영하는게 가능해진 건 듀얼 코어 스마트폰에서는 이미 평범(?)한 이야기죠. 그러나 재생 면에서 볼 때 1080p 급 동영상 파일 감상이 가능은 하지만 아직 완벽하지는 않은 편입니다. 이는 같은 1080p 급 영상이라 해도 형식과 비트레이트에 따라 재생에 걸리는 부하가 다르기 때문이죠. 특히 많은 부하가 걸리는 H.264의 High Profile로 인코딩된 1080p 동영상을 무리없이 재생해 내는 기기는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하지만 워낙 하드웨어의 발전 속도가 빨라 이를 달성하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여겨지..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9. 20. 풀HD를 책상 위로 - BTC 정보통신 제우스 7000 리뷰 순서 풀HD를 책상 위로 - BTC 정보통신 제우스 7000 리뷰 XBOX 360과 제우스 7000 풀HD 모니터의 만남 TN 대 S-IPS 패널 - 제우스 7000 시리즈를 통한 비교 모든 디지털 기기에는 출력을 위한 장치가 존재하고, 그 가운데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바로 화면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화면 장치인 TV를 비롯해 PC나 여러 가지 계측기기의 모니터가 그 예입니다. 사람들은 TV 화면 앞에, PC의 모니터 앞에, 프로젝터 앞에 모이는 것처럼 어딜 가도 사람들은 화면을 중심으로 자리를 차지합니다. 그만큼사람들은 보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그러한 화면의 세상에도 이제 변화의 바람이 불어오고 있습니다. 평면TV와 DVD의 도입이 엊그제 같은데 세상은 더 좋은 것을 원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바..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07. 10. 2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