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갤럭시탭12 태블릿으로 배우다 - 삼성 러닝허브(Learning Hub) 태블릿이 처음 나왔을 때부터 이 제품은 업무 처리보다는 개인용으로, 특히 공부하는 용도로 잘 어울린다는 생각을 한 사람은 비단 글쓴이만은 아닐 겁니다. 입력할 내용이 많이 필요없어서 키보드가 없어도 되고 때론 TV가, 때론 사전이, 때론 인터넷 브라우저가, 때론 동영상 플레이어가, 때론 녹음기까지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할 수 있는 태블릿 PC들은 차세대 교과서/노트의 유력한 후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대한민국에서 태블릿 PC를 공부하는데 쓰는 경우는 많이 없습니다. 콘텐츠의 양과 질이 현 시점까지는 아직 전통적인 교재에 못 미치기 때문이죠. 그럼에도 도전하는 업체들이 끊이지 않습니다. 그 가운데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갤럭시 시리즈를 가지고 있는 삼성전자의 러닝허브입니다. 러닝허브(Learnin..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2. 4. 30. 삼성 갤럭시탭, ICS 일부 기능 담은 펌웨어 업그레이드 삼성전자 최초의 안드로이드 태블릿인 갤럭시탭(SHW-180 계열)의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제공됩니다. 이번 펌웨어는 좀 특이한게 삼성전자가 공식적으로 갤럭시탭에 안드로이드 4.0 ICS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겠다고 천명한 뒤에 나왔기 때문이죠. 이번에 추가된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얼굴인식기능(Face Unlock): 보안수준 낮음 - 동영상촬영 중 스냅샷 기능 추가 - 포토 에디터 기능 추가 보시면 아시겠지만 안드로이드 4.0 ICS의 기능이 일부 들어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해외 쪽에서는 이러한 업데이트는 밸류팩(Value Pack)이라 부르는데, 마치 ICS로의 업그레이드를 못해주는 대신 고객의 마음을 위로하기 위해서 나온 듯 합니다. 하지만 삼성의 터치위즈 UI 4.0은 제외되었습니다. 참고로.. #작은PC/#태블릿#e북리더 2012. 4. 25. KT 스마트홈 패드로 즐겨보는 Olleh TV now 스마트홈 패드는 어디까지나 가정에서의 쓰임새를 전제로 만들어진 제품이다. 그러면 대부분의 가정에 꼭 갖춰져 있는 제품은 무엇이 있을까? 냉장고나 가스렌지 같은 주방가전 제품이야 스마트홈 패드로 대체할 수 없겠지만, 거실의 중심에 놓여있는 TV라면 어떨까? 스마트홈 패드, TV를 노리다 스마트홈 패드는 태블릿 PC이며, 태블릿 PC의 가장 큰 특징은 화면이 가장 넓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점이 될 것이다. 화면으로 보고 화면을 터치하면서 이용하게 만들어진 것이 스마트홈 패드다. 그렇게 화면이 중심인 만큼 영상을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물론 스마트홈 패드에는 DMB가 내장되어 있지만 굳이 DMB 정도를 이야기 하려고 이 글을 쓸 필요는 없을 것이다. Olleh TV now 유선 인터넷을 이용한 KT의.. #작은PC/#태블릿#e북리더 2012. 1. 12. KT 스마트홈 패드, 라이프자키와 해피패밀리 서비스를 살펴보면 KT 스마트홈 패드 리뷰 그 두번째 시간이다. 스마트홈 패드의 하드웨어는 사실 기존의 테그라2 기반의 갤럭시탭 10.1과 거의 비슷하다. 물론 같은 기능과 성능에 더 작게 나와 훨씬 편하지만. 2011/12/30 - 가정용 태블릿, KT 스마트홈 패드 기본기 살펴보면 스마트홈 패드를 다른 갤럭시탭과 다르게 만들어주는 것은 바로 그 안에 들어있는 콘텐츠라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스마트홈 패드의 간판이라 할 수 있는 두개의 앱을 먼저 소개한다. 우선 라이프자키. LifeJockey라는 단어는 다들 짐작하시겠지만 DJ의 Disc Jockey에서 따온 말이다. 라이프자키는 삶의 자키라는 뜻인데, 그만큼 다양한 콘텐츠가 모여있다. 우선 들어갈 때 이렇게 사용자의 얼굴을 분석하여 서비스에 반영한다. 현재는 연령 .. #작은PC/#태블릿#e북리더 2012. 1. 6. 가정용 태블릿, KT 스마트홈 패드 기본기 살펴보면 애플 아이패드의 등장과 함께 태블릿의 대중화가 시작되었지만 정작 보통의 소비자들에게 태블릿은 아직 먼 존재입니다. 미국만 해도 아이패드 중심으로만 시장이 이뤄지고 있을 뿐 아직 콘텐츠나 UI 면에서 다소 부족한 안드로이드 태블릿의 경우에는 큰 인기를 얻지 못하고 있죠. 그런 상황은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로, 태블릿의 본격적인 대중화는 내년으로 미뤄진 상태입니다. 그런 와중에 태블릿의 문제가 하드웨어보다는 콘텐츠에 있다고 판단하고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소비자들에게 다가간 제품이 있습니다. 바로 KT의 스마트홈 패드입니다. KT 스마트홈 패드 상자입니다. 보시다시피 그 정체는 삼성전자의 갤럭시탭 8.9 WiFi 버전입니다. 이미 우리나라에 갤럭시탭 10.1이 출시된 바 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죠. 갤럭.. #작은PC/#태블릿#e북리더 2011. 12. 30. 작고 가벼워진 갤럭시 탭 8.9 LTE, 10.1에서 달라진 점은? 갤럭시탭 8.9 LTE가 발표되었습니다. 갤럭시탭 7인치 모델과 10.1인치에 이어 공개된 이 모델은 전작들에 비하면 비교적 조용히 출시된 셈이죠. 그도 그럴 것이 이미 해외에는 출시된지 오래고 크기는 작지만 디자인도 10.1과 비슷합니다. 우리나라에도 KT의 스마트 홈패드라는 WiFi 버전이 나왔으니 이미 좀 김이 샌 셈입니다. 2011/10/30 - 쉬운 스마트로 간다 - KT 스마트홈 패드 그럼에도 불구하고 갤럭시탭 8.9 LTE의 존재가 무시할만한 건 아닙니다. 지금부터 살펴보죠. 갤럭시탭 8.9 LTE는 이번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까지 이통3사 모두를 통해 출시됩니다. 특히 아직 LTE를 시작하지 않은 KT도 포함된 것은 조만간 시작한다는 것이겠죠. 화면 해상도는 같지만 크기가 8.9..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1. 11. 30. 쉬운 스마트로 간다 - KT 스마트홈 패드 그동안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태블릿도 많이 나오면서 예전과 다른 '스마트'한 기기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습니다. 이는 10~20대 등 새로운 것에 민감하거나 그 필요성을 느끼는 30대를 중심으로 그 영향이 퍼져나갔지만 40~50대 등 좀 더 높은 연령층도 예외는 아니었죠. 특히 고급 휴대폰 시장을 스마트폰이 대체해 버리면서 굳이 스마트폰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게 되는 경우가 생겼습니다. 기왕 샀으니 활용해보자... 라고 하지만 많은 40~50대 연령층 분들은 그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사실 이 분들이 원하는 건 그리 많지 않지만 그것조차도 써보려면 공부할게 너무 많은데다 제대로 가르쳐주는 곳도 쉽게 찾기 힘든게 현실이죠. 그 와중에 KT에서 새로운 제품에 대한 발표행사를 가졌습니다. 그 .. #작은PC/#태블릿#e북리더 2011. 10. 30. 갤럭시탭 10.1 출시, 그 의미를 키워드 네개로 말하다 드디어 갤럭시탭 10.1이 대한민국에 정식 출시되었다. 갤럭시탭 10.1은 두번째로 나오는 갤럭시탭일 뿐만 아니라 앞으로 나올 갤럭시탭 X.Y 시리즈의 선발주자이기도 하다는 면에서 특히 제조사인 삼성전자에게는 큰 의미를 갖고 있다. 하지만 갤럭시탭 10.1의 존재와 그 영향력이 삼성전자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 허니컴(Honeycomb) 갤럭시탭 10.1이 현재 태블릿 시장에서 가지는 가장 큰 의미는 역시 안드로이드의 태블릿 버전인 3.1 허니컴을 채택한, 본격적인 모델이라는 것이다. 삼성의 전작인 갤럭시탭(SHW-M180 시리즈)은 7인치에 스마트폰용 안드로이드 OS를 집어넣은 애매한 제품이었고, 사실상의 허니컴 레퍼런스 태블릿인 모토로라 XOOM도 있지만 플랫폼 등장 초기라는 면에서 어려운 상황.. #작은PC/#태블릿#e북리더 2011. 7. 25. 태블릿 시대, 그 요금제는 어떻게 고를까? 애플의 아이패드 1, 2와 모토로라 XOOM, 삼성전자의 갤럭시탭 10.1이 출시되면서 태블릿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들고 다니는 제품이니만큼 어디서나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는 점이 무척 중요한 문제인데 태블릿을 처음 접하거나 스마트폰의 무선 데이터 이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자신에게 맞는 데이터 요금제를 고르기가 쉽지 않다. 이에 이 글에서는 새로 나온 태블릿들을 위해 마련된 이동통신 3사의 요금제를 살펴보고 그 특징 또한 알아보고자 한다. 태블릿이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구분한다면 크게 세 종류로 나뉠 수 있다. 1. 3G 데이터 전용 기종 : 태블릿 전용 요금제 3G 데이터만 이용하는 경우 각 이동통신사에서 마련한 태블릿 전용 요금제를 이용하면 된다. 음성 통화 없이 3..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7. 21. 9000mAh의 보조 배터리, 룩소 VTB-09 요즘처럼 모바일 기기 천국인 세상에서 배터리는 중요한 요소다. 스마트폰이건 태블릿이건 배터리 지속시간이 너무 짧으면 사용자들에게 외면받는다. 모바일 기기의 핵심적인 특징인 휴대성을 좌우하기 때문인데, 그래도 한계가 있는 것이 배터리 용량이 늘어나면 무게도 늘어나기 때문에 적당한 수준의 배터리 양을 결정하는 것은 그 제품의 특징을 잘 분석한 다음 결정할 부분이다. 하지만 스마트폰 같은 제품은 기본적으로 가장 많이 가지고 다닌다는 특성 때문에 배터리의 용량에는 제약이 가장 많다. 그래서 우리나라에 나오는 대부분의 스마트폰들에는 두개 이상의 배터리가 기본으로 제공되지만 가끔씩 여분의 배터리를 안 갖고 다닐 때도 있고 모바일 기기가 두개 이상일 때에는 각각의 배터리를 챙기는 것도 무척 귀찮은 일이다. 그래서 언.. #주변기기/#배터리#전원 2011. 4. 27. 멀티코어 시대로 접어든 스마트폰과 태블릿, 어떻게 달라질까?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고 있는 Mobile World Congress 2011 행사에서 많은 업체들이 신제품을 쏟아내고 있으며 특히 이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분야에서 집중되어 있다. 작년 한해 갤럭시S로 큰 성공을 거둔 삼성전자에서는 갤럭시 S2와 갤럭시 탭 10.1을, 그동안 스마트폰 시장에서 고전하던 LG전자는 옵티머스 3D와 2X와 태블릿인 옵티머스 패드를 발표한 바 있다. 이 밖에도 모토로라의 Atrix나 Xoom, HP가 미리 발표한 태블릿, 터치패드도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바로 CPU에 듀얼코어를 채용했다는 점이다. 엔비디아의 테그라2를 시작으로 삼성전자의 엑시노스 4 시리즈, 퀄컴의 새로운 스냅드래곤은 듀얼코어와 쿼드코어까지 내세우고 있을 정도로 모바일 세계에도 다양한 멀티 코어 프로세서..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2. 15. 안드로이드 스마트폰-태블릿에 무선 블루투스 키보드 연결하기 키보드를 스마트폰이나 PDA, 태블릿 등에 연결하고 싶어하는 이들에게 있어서 블루투스(bluetooth)의 존재는 무척 쓸모있는 존재다. 작게 나오는 까닭에 별다른 확장 단자가 없고, 설령 있다 해도 활용에 제한이 있는 모바일 기기들에게 있어서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블루투스 키보드는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고마운 존재이며,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다양한 기기에서 공통적으로 쓸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렇지 않아도 비싼 액세사리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도 한다. 덕분에 윈도 모바일 기반 제품들은 물론,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도 블루투스 키보드가 연결 가능해 보다 편하게 문자 입력을 원하는 이들에게 큰 도움을 줬다. 하지만 스마트폰 시장의 한축을 형성하기 시작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사정이 달랐다. 보통의 블루..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0. 12. 2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