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emory6 HBM3E 메모리 세계 최초로 양산하는 SK하이닉스 우리나라 반도체 부문에서 삼성전자에 이어 만년 2등이었던 SK하이닉스의 약진이 눈부십니다. SK하이닉스가 AI용 고성능 메모리로 각광받고 있는 HBM3E를 세계 최초로 양산, 3월 말부터 제품 공급을 시작합니다. HBM(High Bandwidth Memory) 메모리는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제품으로 1세대(HBM)-2세대(HBM2)-3세대(HBM2E)-4세대(HBM3)-5세대(HBM3E) 순으로 개발된 바 있습니다. SK하이닉스의 HBM3E 메모리는 초당 최대 1.18TB(테라바이트)의 데이터를 처리하며 수많은 AI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다중 연결(Multi-connection)하는 식으로 반도체 패키지가 구성되는 AI 분야에서 특히 각광받고 있습니다. .. #주변기기/#메모리#저장장치#보안 2024. 3. 19. 36GB HBM3E 12H D램 업계 최초로 개발한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36GB 용량의 HBM3E 12H D램을 업계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이번에 개발한 36GB HBM3E 12H D램은 24Gb D램 칩을 TSV(Through-Silicon Via; 실리콘 관통 전극) 기술로 12단까지 적층한 제품으로, 업계 최대 용량인 36GB HBM3E 12H를 구현했습니다. 초당 최대 1,280GB의 대역폭과 현존 최대 용량인 36GB을 제공해 성능과 용량 모두 전작인 HBM3(4세대 HBM) 8H(8단 적층) 제품 대비 50% 이상 개선된 HBM3E 12H는 Advanced TC NCF(Thermal Compression Non Conductive Film; 열압착 비전도성 접착 필름) 기술로 12H 제품을 8H 제품과 동일한 높이로 구현, HBM 패키지 규격을 만족시켰.. #주변기기/#메모리#저장장치#보안 2024. 2. 27. 키오시아(KIOXIA), 세계 최대 2TB 용량 마이크로SDXC 메모리 카드 양산 키오시아(KIOXIA)가 세계 최초로 2TB 용량의 마이크로SDXC 카드를 양산하는데 성공했습니다. 도시바에서 출발한 플래시 메모리 전문기업 키오시아가 양산하게 된 EXCERIA PLUS G2 2TB 마이크로SDXC 카드는 최대 100MB/s의 읽기 속도와 최대 90MB/s의 쓰기 속도를 자랑합니다. UHS 스피드 클래스 3(U3), 애플리케이션 클래스 1(A1) 및 비디오 속도 클래스 30(V30)을 지원합니다. 키오시아는 BiCS FLASH 3D 플래시 메모리와 자체 설계한 컨트롤러 등을 활용, microSDXC 규격 상의 최대 두께인 0.8mm를 유지하면서 16개의 1테라비트 3D 플래시 메모리를 적층하여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었습니다. 참고로 SD 협회의 SDXC 제원은 10년 넘게 최대 2TB.. #주변기기/#메모리#저장장치#보안 2023. 12. 22. SK하이닉스, 가장 빠른 LPDDR5T 디램 세계 첫 상용화 SK하이닉스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LPDDR5T DRAM을 처음으로 상용화합니다. SK하이닉스는 9.6Gbps의 전송속도를 자랑하는 현존 최고속 모바일용 D램인 LPDDR5T(Low Power Double Data Rate 5 Turbo)의 16GB 패키지를 오늘(11월 13일)부터 고객사에 공급합니다. LPDDR5T는 무엇? LPDDR5T는 Low Power Double Data Rate 5 Turbo의 약자입니다. LPDDR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용 제품에 들어가는 D램 규격인데 휴대기기에 쓰기 좋도록 전력 소모 최소화를 위해 저전압 동작 특성을 갖고 있어 일반 제품군인 DDR 앞에 에 LP(Low Power)가 붙습니다. 최신 표준은 LPDDR 7세대(5X)로 1-2-3-4-4X-5-5X 순.. #CPU#GPU#RAM 2023. 11. 13. 스마트폰에 2GB RAM이 필요할까? 스마트폰의 기능과 성능이 향상되면서 그 제원에 대한 관심도 무척 뜨겁습니다. 특히 비슷한 등급의 제품이 많이 있는 안드로이드 계열에서 많이 드러나죠. 이는 비슷한 OS와 최적화 수준이라면 AP의 종류나 클럭 주파수, GPU에 따라 대부분 성능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AP의 경우, 싱글코어 시대에 1GHz를 돌파하고 듀얼코어를 넘어 이제는 쿼드코어 시대에 접어들고 있습니다.그런데 AP나 GPU 말고도 요즘 또 한가지 화제가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RAM(Random Access Memory)이죠. 지난 5월 4일 발표한 LG전자의 옵티머스 LTE2가 2GB RAM을 갖고 나온 것이 제법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죠. 그동안 싱글코어 스마트폰에는 256~512MB RAM, 듀얼코어 스마트폰..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2. 5. 11. 클라우드는 기록이다 - 에버노트 에버노트는 아는 사람들은 아는 메모용 소프트웨어다. 글이나 사진, 소리까지도 기록하는 기능을 가진, 이러한 종류의 소프트웨어는 쉅게 구할 수 있지만 에버노트는 좀 특별하다. 현재 쓸 수 있는 거의 모든 플랫폼에서 동일하게 쓸 수 있고 작성한 데이터를 어디서든 공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에버노트를 만든 에버노트에서 한국을 방문했다. 그리고 에버노트에 관한 여러가지 이야기를 펼쳐놓았다. 에버노트는 기록이다 에버노트의 핵심은 기록(capture everything)이라 할 수 있다.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내용을 기록하는데 에버노트는 주력하고 있다. PC에서도 맥에서도 스마트폰에서도 태블릿에서도 이용자는 에버노트를 이용하여 원하는 내용을 기록할 수 있다. 자신의 생각이나 들은 이야기를 글자로, 사진으로, 소..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1. 8.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