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amsung331 갤럭시 노트, 펜을 쓰는 세가지 동영상 삼성전자가 대한민국에도 갤럭시 노트를 내놓았습니다. 지난 9월의 IFA 2011 행사에서 첫 선을 보인 후 전자 펜을 활용한다는 특징에서 무척 많은 이들의 관심을 사고 있었던 제품이었죠. 11월 28일자로 우리나라에도 나왔습니다. 갤럭시 노트는 5.3인치의 SUPER AMOLED 디스플레이에 1280x800이라는 12인치 노트북이나 가질 접한 해상도를 가진 제품입니다. 처음 보면 이게 스마트폰인지 태블릿인지 알 수가 없을 정도죠. 국내에도 5인치 급 디스플레이를 가진 스트릭이나 베가 No.5같은 제품이 있었지만 5.3인치는 처음이고 1280x800 해상도를 가진 것도 처음입니다. 원래 해외판은 삼성전자의 AP인 엑시노스 1.4GHz를 쓰게 되어 있습니다만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전부 LTE 버전을 원했기 때..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11. 29. 삼성 YP-R2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즐기기 삼성전자의 MP3 플레이어, YP-R2 리뷰 세번째이자 마지막 시간이다. 이번에는 그동안 다루지 않았던 R2의 멀티미디어 관련 기능과 기타 내용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2011/10/17 - MP3는 살아있다, 삼성 YP-R2 개봉기 2011/10/22 - 삼성 YP-R2, MP3를 더 편하게 즐긴다 2011/10/31 - 삼성 YP-R2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즐기기 ■ 동영상 근래에 나오는 대부분의 풀터치스크린 기기가 그렇듯 이 제품 또한 다양한 코덱을 내장하고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자막 지원은 당연하다. 480p 수준의 XviD 영상은 물론, AVI, MP4, MKV, WMV, ASF, MOV 등 다양한 형식을 지원한다. 특히 720p의 60FPS 수준의 고화질 동영상까지도 재생할 수 있어 놀라웠..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10. 31. 삼성 YP-R2, MP3를 더 편하게 즐긴다 삼성전자의 MP3 플레이어인 YP-R2 리뷰, 두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글에서도 이야기했지만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세상을 지배하는 마당에 MP3 플레이어라는 한정된(...) 기능의 디지털 기기의 입지는 갈수록 좁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휴대한다는 측면에서는 비교하기 힘든 스마트폰의 존재 때문에 MP3 플레이어는 탄생 이후 그 어느 때보다도 존재감이 희미한 상태입니다. 그런 와중에도 MP3 플레이어를 좋아하는 이들이 많다는 데에는 가격적인 면도 있겠지만 간편함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이것 저것 고려해야 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대신 MP3 플레이어는 음악 재생을 그 가운데에 놓았기 때문이죠. 이번 편에서는 R2의 음악 재생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보고자 합니다. 2011/10/17 - MP3는 살아있다, 삼성 Y.. #오디오#헤드폰#이어폰 2011. 10. 22. MP3는 살아있다, 삼성 YP-R2 개봉기 스마트폰의 유행으로 기존의 많은 디지털 기기 시장이 축소되었다. 그 가운데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MP3 플레이어 시장. 기기 하나만 들고다니는 것도 귀찮은 이들에게 MP3를 들을 수 있는 스마트폰의 등장은 MP3 플레이어를 책상 서랍 안에 집어넣게 해버렸다. 그러나 MP3 플레이어의 쓸모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스마트폰과는 달리 제품 값만 내고 나면 가입비나 월 사용료 같은 건 내지 않아도 되며 데이터 통신이나 음성 통화 같은데는 신경쓰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크기와 무게도 줄어들 수 있는 등 장점이 있기 때문에 여전히 MP3 플레이어 시장은 존재한다. 그런 와중에 삼성전자에서 YP-R2를 내놓았다. 지금부터 살펴보자. 2011/10/17 - MP3는 살아있다, 삼성 YP-R2 개봉기 2.. #오디오#헤드폰#이어폰 2011. 10. 17. 갤럭시 노트로 그림을 그릴 수 있을까? 이번 IFA 2011 행사에서 삼성전자가 발표한 제품 가운데 가장 의외의 인기를 얻었던 제품은 단연 갤럭시 노트라 할 수 있겠습니다. 갤럭시탭 7.7과 웨이브3는 어느 정도 예상한 대로 나온 반면, 갤럭시 노트라는 5.2인치라는 큰 화면 뿐만 아니라 펜이라는 익숙하면서도 새로운 기술을 스마트폰에 도입했기 때문이죠. 알려진 바로는 이 펜은 보통 펜이 아니라 디지타이저 분야에서 1인자라 할 수 있는 와콤(WACOM) 기술이 도입된 펜으로, 현재 도입할 수 있는 기술 가운데에는 가장 최선의 선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 전문가도 인정하는 와콤의 기술인데 갤럭시 노트에 도입된다면, 말 그대로 전자수첩이나 전자메모가 구현되는 셈이죠. 특히 디지털 시대에도 키보드가 아니라 여전히 펜을 사랑하는 분들에게는 기쁜 ..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9. 17. IFA 2011에서 만난 쿼티 스마트폰들 - 갤럭시와 엑스페리아 과학적인 한글을 자랑하는 대한민국에서는 쿼티 키패드를 가진 스마트폰이 매우 드문 편입니다. 스마트폰 붐을 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봐도 블랙베리 제품군과 모토쿼티, 옵티머스Q, 엑스페리아 X10 미니 프로 정도가 국내에서 구할만한 쿼티 키패드 스마트폰입니다. 이는 앞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쿼티 키패드를 채용하면서 휴대성 저하 문제를 감안하고라도 알파벳 문화권에서는 그 편의성 향상이 눈에 띌 정도지만 과학적인 한글을 가진 우리나라에서는 훨씬 더 간단한 키패드로도 충분히 우리 말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2011/09/14 - IFA 2011에서 만난 모토로라의 쿼티바 스마트폰들 하지만 스마트폰 시대를 맞이하여 한글 뿐만 아니라 이메일이나 인터넷 주소 입력시에는 어쩔 수 없이 알파벳에 특수기호까지 넣어야 하기..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9. 6. 드디어 나온 삼성 갤럭시S2 현장 리뷰 - 성능편 갤럭시S2가 오늘(4월 28일) 미디어데이를 갖고 드디어 사람들에게 선보였습니다. 1.2GHz, 그것도 듀얼코어 프로세서를 채용한 갤럭시S2에 대해 이미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실텐데요, 라지온에서 조금 빠르게 현장에서 리뷰해 봅니다. 오늘은 현장에서 살펴본 갤럭시S2의 성능을 간단하게나마 이야기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제원 갤럭시S2의 제원에 대해서 가장 인상깊은 부분은 역시 1.2GHz Exynos 듀얼 코어 AP가 들어갔다는 것이겠죠. SK텔레콤과 KT의 경우에는 HSPA+가 LG유플러스의 경우에는 rev.B가 탑재되어 각각 최대 21Mbps, 9.3Mbps로 데이터 전송속도가 올라갔다는 것도 중요한 부분입니다만 역시 당장 와닿는 건 역시 프로세서의 성능이 아닐까 합니다. 현재 대한민국에는 LG..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4. 28. 넥서스S 한국 출시 2개월, 그 의미와 전망 넥서스S가 우리나라에 정식으로 출시된지도 이제 벌써 2개월이 다 되어간다. 구글의 의뢰에 따라 삼성전자가 제조한 넥서스S는 우리나라에 SK텔레콤과 KT로 출시되면서 한국인들에게 최초로 안드로이드 2.3, 진저브레드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 스마트폰이기도 하다. 1GHz 허밍버드 프로세서에 4인치의 슈퍼 AMOLED 터치스크린과 16GB의 넉넉한 내장 메모리를 가진 넥서스S. 이 제품을 그저 단순한 하나의 스마트폰 기계로 보면 요즘처럼 듀얼 코어 스마트폰이 나오는 있는 상황에서 그다지 대단할 것이 없다고 생각할 수 있도 있겠지만 여러가지 면에서 이 넥서스S가 가지는 의미는 결코 적지 않다. 구글 순정 안드로이드 폰의 위력을 보여주다 넥서스S를 써본 이들이라면 대부분 느끼는 것이 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4. 22. 3D TV, 어떤 방식이 좋을까? 요즘 가전제품들 가운데 유난히 신문에 많이 나오는 이야기가 있다. 바로 LG전자와 삼성전자의 3D TV 방식에 대한 논란이다. 세계 1위 TV 제조업체인 삼성전자는 양쪽의 셔터가 깜빡이며 화면을 보여줌으로써 3D를 구현하는 셔터글래스 방식을, 역시 세계 3위의 TV 제조업체인 LG전자는 편광 필름을 TV에 입히고 편광 안경을 통해 양쪽 눈에 다른 영상을 보여줘 3D를 구현하는 FPR 방식의 3D TV를 출시하고 있다. 장단점이 뚜렷한 두가지 3D 방식 우선 삼성전자의 셔터글래스 방식은 작년에 3D TV를 본격적으로 출시하면서 대중에게 알려졌다. 이 방식은 안경에 달린 셔터가 주기적으로 열리고 닫힐 때마다 TV쪽에서 서로 다른 한 화면 분의 데이터를 교대로 보여줌으로써 3D를 구현한다. 화면이 가진 데이터..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1. 4. 20. 넥서스S, 그 성능도 레퍼런스 급일까? 넥서스S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레퍼런스 폰(GED; Google Experience Device)으로 가장 먼저 새로운 버전의 안드로이드가 적용된다. 그리고 구글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한 최소한의 애플리케이션들만 들어가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사나 제조사의 애플리케이션은 빠져 있다는 특징도 있다. 위 두가지 사항은 넥서스S가 GED로서 가지는 특징이자 매력이기도 한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서 갖춰야 하는 기본기에 가장 충실하다고 봐도 좋겠다. 여기에 4인치의 슈퍼 AMOLED 화면과 커브드 디스플레이의 곡선이 보여주는 독특한 디자인 또한 넥서스S를 그저 레퍼런스 스마트폰이 아닌, 나름의 매력을 가진 제품으로 보이게 한다. 그런데 넥서스S를 성능 면에서는 바라보면 어떨까? 넥서스S가 GED로 나왔다는 것은 구글이..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4. 14. 넥서스S로 만나는 진저브레드의 9가지 진화 넥서스S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레퍼런스 스마트폰(GED)이라는 점이 가장 유명하지만 그로 인해 생기는 혜택 가운데 중요한 것이 있다. 바로 안드로이드 최신 버전이 가장 먼저 올라간다는 점. 이는 최초의 GED였던 넥서스 원에서도 마찬가지였고 현재의 넥서스S에도 똑같이 적용되는 부분이다. 특히 국내에 발매된 넥서스S는 대한민국 최초로 진저브레드를 탑재하고 나온 스마트폰이기도 하다. 진저브레드(Gingerbread)란? 진저브레드는 말 그대로 생강빵이라는 말이다. 대표적인 컴퓨터 그래픽 애니메이션인 슈렉의 고정 캐릭터로 활약한 바 있는 생강빵은 미국인들이 즐겨먹는 간식이기도 하다. 하지만 안드로이드에서는 Froyo(Frozen Yogurt)에 이어 등장하는 버전 2.3의 코드 명으로 유명하다. 바로 그 안드로..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4. 7. 넥서스S로 고화질 동영상을 감상하려면 이른 바 구글 레퍼런스 폰 또는 GED(Google Experience Device)라 불리는 넥서스S는 기존에 우리나라에 나온 다른 스마트폰들과는 여러가지 면에서 다르다. 특히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 기본으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 물론 제조사나 이동통신사의 애플리케이션이 전혀 없다시피한 이런 '가벼운' 면이 넥서스S의 매력이기도 하지만 없어서 아쉬운 것들도 있게 마련이다. 가장 아쉬운 건 바로 동영상 플레이어. 원래 삼성전자의 스마트폰들은 동영상 재생에 있어서는 업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자랑했다. 이는 모바일 기기에서 다양한 형식의 동영상 파일을 다루는데 있어서 다른 스마트폰 제조사보다 더 많은 노하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넥서스S는 구글의 주문 제작..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3. 30.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2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