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enchmark22 갤럭시 노트, 해외판과 국내판 성능 차이는 어떨까? 이번에 발표된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는 해외판과 국내판의 차이점이 몇가지 있습니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바로 LTE 가능 여부가 있겠는데요, LTE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는 퀄컴의 스냅드래곤 S3 프로세서를 써야 하기 때문에 해외판에 들어갔던 삼성전자의 엑시노스 4210 1.4GHz 듀얼코어 프로세서를 쓸 수 없었습니다. 이는 아마도 국내 이동통신사가 LTE되는 제품을 요구했고 삼성전자는 그에 따라 제품을 출시한 것으로 보입니다만. 문제는 스냅드래곤 S3와 엑시노스는 서로 다른 프로세서이고 클럭주파수와는 별개로 성능 차이가 난다는 점이 되겠죠. 특히 엑시노스 4210의 내부 아키텍처가 좀 더 진보한 Coretex A9이기 때문에 클럭대비 성능은 엑시노스가 낫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반면에..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12. 1. 작고 가벼워진 갤럭시 탭 8.9 LTE, 10.1에서 달라진 점은? 갤럭시탭 8.9 LTE가 발표되었습니다. 갤럭시탭 7인치 모델과 10.1인치에 이어 공개된 이 모델은 전작들에 비하면 비교적 조용히 출시된 셈이죠. 그도 그럴 것이 이미 해외에는 출시된지 오래고 크기는 작지만 디자인도 10.1과 비슷합니다. 우리나라에도 KT의 스마트 홈패드라는 WiFi 버전이 나왔으니 이미 좀 김이 샌 셈입니다. 2011/10/30 - 쉬운 스마트로 간다 - KT 스마트홈 패드 그럼에도 불구하고 갤럭시탭 8.9 LTE의 존재가 무시할만한 건 아닙니다. 지금부터 살펴보죠. 갤럭시탭 8.9 LTE는 이번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까지 이통3사 모두를 통해 출시됩니다. 특히 아직 LTE를 시작하지 않은 KT도 포함된 것은 조만간 시작한다는 것이겠죠. 화면 해상도는 같지만 크기가 8.9..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1. 11. 30. 옵티머스 LTE의 성능을 보다 옵티머스 LTE는 LG전자의 첫번째 듀얼코어 LTE 스마트폰입니다. 현재 LTE 스마트폰은 모두 퀄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인 스냅드래곤 S3 계열과 통신용 칩인 MDM9200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이는 아직 다양한 AP들과는 LTE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죠. 덕분에 국내에 나온 모든 LTE 스마트폰이 같은 AP와 모뎀 칩을 갖고 있어 이론적으로는 같은 성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덕분에 갤럭시 시리즈를 통해 잘 나가던 삼성전자의 엑시노스 계열이나 새로 치고 올라오는 TI의 OMAP4 계열, 엔비디아의 테그라 계열들이 국내 LTE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힘을 못 쓰고 스냅드래곤만의 잔치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된 이상 듀얼코어 아키텍처의 스냅드래곤 S3에 대한 성능을 한번 점검해보는..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11. 10. HTC의 qHD 듀얼코어 스마트폰, 센세이션 리뷰 - 성능과 멀티미디어 편 HTC에서 새롭게 내놓은 스마트폰인 센세이션은 듀얼코어 프로세서를 채택한 HTC 최초의 스마트폰입니다. 전통적으로 스냅드래곤 등 퀄컴의 프로세서만을 이용한 HTC니 만큼 테그라2나 OMAP 4 시리즈 등 다른 듀얼코어 프로세서가 나왔다 해도 HTC는 퀄컴의 스냅드래곤 후속기종을 기다린 셈인데요, 센세이션에는 퀄컴 최초의 듀얼코어 프로세서인 스냅드래곤 MSM8260 1.2GHz가 탑재되었습니다. 이전의 스냅드래곤과 마찬가지로 스콜피온 아키텍처지만 그래픽은 대폭 강화되어 Adreno 220이 올라갔죠. 이번 편에서는 이를 탑재한 센세이션의 성능과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루는 능력을 살펴보겠습니다. 2011/06/18 - HTC의 qHD 듀얼코어 스마트폰, 센세이션 리뷰 - 애플리케이션/종합 편 2..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6. 16. 넥서스S, 그 성능도 레퍼런스 급일까? 넥서스S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레퍼런스 폰(GED; Google Experience Device)으로 가장 먼저 새로운 버전의 안드로이드가 적용된다. 그리고 구글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한 최소한의 애플리케이션들만 들어가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사나 제조사의 애플리케이션은 빠져 있다는 특징도 있다. 위 두가지 사항은 넥서스S가 GED로서 가지는 특징이자 매력이기도 한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서 갖춰야 하는 기본기에 가장 충실하다고 봐도 좋겠다. 여기에 4인치의 슈퍼 AMOLED 화면과 커브드 디스플레이의 곡선이 보여주는 독특한 디자인 또한 넥서스S를 그저 레퍼런스 스마트폰이 아닌, 나름의 매력을 가진 제품으로 보이게 한다. 그런데 넥서스S를 성능 면에서는 바라보면 어떨까? 넥서스S가 GED로 나왔다는 것은 구글이..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4. 14. 소니 카메라와 TV를 품에 안은 엑스페리아 아크 리뷰 2부 가장 소니다운 스마트폰이라 불리는 엑스페리아 아크 리뷰 두번째 시간이다. 첫번째 리뷰에서 아직 말하지 못한 아크만의 장점들과 함께 아쉬운 부분까지 모두 한방으로 정리해 보도록 한다. 2011/04/06 - 소니에릭슨 엑스페리아 아크 리뷰 - 1부. 디자인과 디스플레이, 소니 스타일을 만나다 Exmor R for mobile, 폰 카메라의 새 이정표가 되다 소니가 만드는 디지털 카메라와 핸디캠에 들어간 인기있는 센서인 바로 Exmor R이 Exmor R for mobile이라는 이름으로 아크에도 채용되었다. 엑스모어 알은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가 가지는 작은 센서라는 약점을 기술로 넘어선 방식으로 한층 더 높은 감도를 자랑한다. 폰 카메라의 쓰임새는 가운데 빠질 수 없는 것으로 사람을 찍는 게 될 것이다...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4. 13. 모토로라 아트릭스 리뷰 2부 - qHD 디스플레이와 폭풍 벤치마크 모토토라의 듀얼코어 스마트폰 아트릭스의 두번째 리뷰 시간이다. 오늘은 아트릭스가 가진 스마트폰 가운데 유일한 특징, qHD 해상도의 디스플레이와 아트릭스의 성능을 다양한 벤치마크을 통해서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다. 2011/03/04 - 모토로라 아트릭스 발표회 - 아트릭스, 스마트폰 그 이상이 되다 2011/03/22 - 아트릭스 하나로 통한다 - 듀얼코어 스마트폰 아트릭스 리뷰 1부. 디자인과 기본 아트릭스의 qHD 해상도 아시겠지만 아트릭스에는 qHD(540x960) 해상도가 채택된 최초의 스마트폰이다. qHD란 Quarter HD의 약자로, 1920x1080의 1/4 해상도라는 뜻이다. 덕분에 기존에 많은 안드로이드폰들이 채택했던 WVGA(480x800) 해상도에 비해 35% 더 미려해졌..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3. 23. 아트릭스 하나로 통한다 - 듀얼코어 스마트폰 아트릭스 리뷰 1부. 디자인과 기본 모토로라는 누가 뭐래도 휴대폰의 명가다. 일반 휴대폰 시대에는 스타택과 레이저, 그리고 스마트폰 시대에도 드로이드(국내 출시명 모토쿼티 MOTOQRTY)라는 히트작을 낸 바 있다. 그리고 모토로라 스마트폰의 2세대로서 화려하게 등장한 것이 바로 오늘 소개해 드리는 아트릭스다. 2011/03/23 - 모토로라 아트릭스 리뷰 2부 - qHD 디스플레이와 폭풍 벤치마크 이미 시연회 소식을 통해 소개해드린 바 있는 아트릭스는 제조사인 모토로라 뿐만 아니라 구글이 만든 안드로이드 플랫폼 전체에 있어서 여러가지 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 스마트폰이다. 2011/03/04 - 모토로라 아트릭스, 스마트폰 그 이상이 되다 우선 엔비디아의 듀얼코어 테그라2를 탑재하여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고 있으며 4인치 디스플레이에 안..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3. 22. MID의 자존심, 빌립 N5 리뷰 - 2부. 속 유경테크놀로지스의 MID인 빌립 N5의 참으로 늦어진 리뷰, 두번째 시간이다. 2010/07/31 - 디자인의 MID, 빌립 N5 리뷰 - 1부. 겉 ■ 입력 도구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빌립 N5는 기본적으로는 유경테크놀로지스 최초의 MID인 빌립 S5의 발전형이라고 봐도 좋을 정도다.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은 물론, 윈도 기반 제품으로 마우스와 키보드를 기본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있어야 편하게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키보드와 함께 광터치 마우스와 마우스 버튼 두개를 제품 양 끝에 배치하였다. 광터치 마우스에서 클릭이 안 되서 아쉽긴 하지만 양손으로 들고 쓸 때는 무척 편안하다. 지하철 등에서 서있는 상태에서 원하는 내용을 보고자 할 때 특히 좋다. 책상 같은 곳에 내려놓고 쓸 때도 숙달된 다음에.. #작은PC 2011. 1. 5. 이것이 MID! 빌립 S5 리뷰 - 2부. 성능 오늘은 빌립 S5 리뷰 두번째 편, 성능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이다. 빌립 S5의 머리를 담당하는 것은 바로 인텔의 아톰 Z520 1.33GHz다. 보통 넷북 제품군에 쓰이는 아톰 N 시리즈와는 다른 종류로, 클럭대비 속도는 비슷하지만 보다 저전력에다가 더 작게 만들어져 있다. 이 CPU 아톰 Z520의 짝은 폴스보(Poulsbo)라고도 불리우는 US15W 칩셋이다. 아톰 Z 시리즈는 이 US15W 칩셋과 결함함으로서 작지만 당당하게 PC로서 기능해 나간다. 이 칩셋 또한 넷북 제품군에 쓰이는 945GSE 칩셋보다 훨씬 작고 저전력화되어있다. 하지만 이들의 조합이 만들어 내는 성능은 사실 그다지 좋은 편은 못 된다. 아톰 프로세서는 기본적으로 같은 인텔의 코어 시리즈는 물론 셀러론이나 펜티엄 시리즈에 비.. #작은PC 2009. 2. 1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