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우루스6 샤프 자우루스에서 우분투 리눅스를! 샤프의 리눅스 기반 PDA인 자우루스 시리즈에서 리눅스 패키지 가운데 가장 유명한 우분투 리눅스를 돌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존에 안드로이드를 자우루스에 포팅한 것으로 유명한 Omegamoon이라는 사람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이 작업은 우분투 7.10을 자우루스 SL-C3x00 시리즈에서 구동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 버전 0.1로 작업된 Frisky-Firedrake for the Zaurus, 즉 자우루스용 우분투 7.10은 최소화된 루트 파일 시스템이 압축된 상태로 약 80MB 정도입니다. 요즘은 주로 윈도 모바일 기반으로 스마트폰을 만드는 샤프의 예전 명작이었던 자우루스는 VGA 해상도의 스위블 스크린에 리눅스를 탑재한 제품으로 PDA에 가까운 존재이긴 합니다만 독립적인 리눅스 ..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08. 5. 9. 샤프 자우루스 SL5500 사용기 - 3. 활용 및 결론 오늘은 세번째, 마지막 편입니다. 스스로 Personal Mobile Tool이라 칭하는 자우루스를 실제로 사용하는 면은 어떨까요? 일단 일반적인 PDA라 할 수 있는 팜과 포켓PC 기종들과 비교하면 많은 부분 떨어진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1. 자우루스 초기 셋팅 보통의 사용자가 자우루스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 싱크 설정 - 필수 응용프로그램 설치 - 스왑 설정 - 네트웍 관련 설정 - 백업 뭐, 이렇게 보면 간단하게 보이지만 별로 그렇지 않습니다. 싱크 설정과 응용프로그램 설치야 어떻게든 초보자도 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꼭 설치해야 할 필수 응용프로그램에 터미널 프로그램이 있다는 것입니다. 유닉스의 기초 명령어를 아십니까? 유닉스용 스크린에디터 v..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03. 3. 24. 샤프 자우루스 SL5500 사용기 - 2. 소프트웨어 오늘은 두번째 편입니다. 자우루스 SL-5500은 하드웨어로는 상당히 좋은 수준을 갖추었습니다. CPU로 엑스스케일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 외에는 최신의 PDA들과 비교해봐도 전혀 떨어지지 않죠. 그럼 소프트웨어는 어떨까요? 그런데 여기서 잠깐, 자우루스 하단부에는 'Personal Mobile Tool'이라는 글귀가 양각되어 있습니다. PDA가 아닙니다. '개인용 모바일 공구'라는 의미 정도일텐데. 이런 식으로 표현한 것은 바로 소프트웨어 때문입니다. 살펴보시죠. 자우루스에 기본으로 깔려있는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2.37K R3 버전의 롬입니다. - OS : Embedix Plus PDA 1.0 (임베디드리눅스, 커널 버전 2.4.6-rmk1-np2-embedix) - GUI : Qtopia for..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03. 3. 5. 샤프 자우루스 SL5500 사용기 - 1. 하드웨어 일단 간단히 스펙을 적죠. 자세한 건 맨 아래 쓰여질 관련 사이트를 보시길. - CPU : StrongArm 206MHz - ROM : 32MB - RAM : 64MB - OS : Embedix(Linux Embeded Version) - LCD크기/해상도/컬러 : 3.5인치/240x320/65536색 - 확장슬롯 : CF/SD - 배터리 : 950mA - 한글화 : 팜팜테크 이 정도입니다. 스펙에서 OS만 빼면 아이팩 등의 일반적인 포켓PC PDA와 비슷합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한가지, 램의 용량인데요. 사실상 사용가능한 메모리는 램 전체 용량인 64MB가 아닌 32MB입니다. 32MB는 프로그램저장영역으로, 32MB는 실행공간으로 사용합니다. 물론 이 제약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03. 2. 28. 샤프 자우루스 SL5500 사용기 - 0. 시작 셀빅XG를 첫번째 PDA로 사용하던 늑돌이가 다른 PDA로 넘어갔습니다. 나름대로 만족하고 썼던 셀빅이지만 그래도 새로운 PDA로 간 이유는. 하나. 뭔가 데이타를 입력하기 힘들다. 뭐 일반적인 PDA가 다 그렇죠. 스타일러스와 터치스크린만 가지고 입력하는 것은 아무래도 힘든 일입니다. 둘. 이왕이면 MP3도 들을 수 있으면 좋겠다. 셀빅도 확장모듈 달면 되긴 하지만. 싼 MP3플레이어 값인 10만원을 더 들이긴 싫었고, 모듈달면 전화모듈을 떼야 하니 전화기 따로 들고다녀야 하는 것도 마음에 안 들고. 셋. 사실 이게 가장 큰 거겠지만. 업글병입니다. 기계 욕심이죠. 컬러도 쓰고 싶고, 해상도도 좀 높으면 좋겠고, 메모리도 컸으면 좋겠고. 그래서 이것저것 뒤져보다 결정한 것은 바로 샤프의 자우루스 SL5..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03. 2. 17. 샤프 자우루스 OZ 깔았다 돌아오기 설 연휴를 사용해서 OZ를 한번 깔아보자... 해서 일단 백업 받아놓고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OZ란 Open Zaurus의 줄임말로, 플래쉬롬으로 되어 있는 샤프의 정식롬을 대체할 수 있는 공개프로젝트로 진행되는 자우루스용 롬입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원래 자우루스 리뷰를 먼저 했어야 하건만. 이 글 먼저 올립니다. 쩝.) 자우루스는 리눅스가 들어간 PDA입니다. 내장 키보드와 어울려 매우 재미있는 기계인 놈입니다. 자세한 리뷰는 나중에 올립죠. 아무튼 리눅스 덕분에 이용자들의 소프트웨어적인 개조가 참 쉬운 기종입니다. 덕분에 탄생한 것중 하나가 Open Zaurus 입니다. 뭐. 기본설치는 아주 쉽게 되더군요. oz 3.1 rc2를 깔았습니다. 일단 네트웍도 설정 제대로 하고 나서 이것저것 만져보..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03. 2.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