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즈7 MAXX를 스마트하게 만드는 오즈 앱 많은 이들이 MAXX의 가장 큰 특징으로 스냅드래곤을 비롯한 막강한 '스펙'을 말하지만 실제로 맥스를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그렇지만은 않다. 사람이란 쉽게 익숙해지는 존재인지라 스냅드래곤의 막강한 성능에 놀라는 것은 잠깐이고 어느새 공기같이 당연한 것으로 여기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오늘 소개해드릴 오즈 앱은 맥스를 사용하면서 늘 가깝게 느끼게 되는 존재라는 점이 다르다. 어떤 면에서 오즈 앱은 전화 통화나 문자 등 기본 기능 다음으로 많이 쓰게 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오즈 앱이 유용한 면이 많은 점 또한 사실이다. 이쯤에서 눈치채셨겠지만 맥스가 스마트폰과 비교되는 이유가 바로 오늘의 주제인 오즈 앱(OZ App) 때문이다. 오즈 앱은 아이폰이나 옴니아 등의 스마트폰에서 보던 앱들과 마찬가..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0. 4. 3. MAXX와 OZ App으로 즐겨보는 Daum tv팟 작년 하반기부터 우리나라는 스마트폰 열풍에 휩싸이고 있다. 스마트폰은 기본 기능 말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할 뿐만 아니라 쉽게 무선망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성이 무척 뛰어나기 때문이다. 특히 인터넷 시대에 걸맞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많아지고 데이터 요금 정액제가 확산됨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의 활용성은 더욱 중요시되었다.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말해두자. 우리나라에서 진작부터 무선 네트워크와 어플리케이션을 중요시 했던 이동통신사가 있다. 그것은 바로 OZ 라는 브랜드로 유명한 LG텔레콤(현재는 3사 합병으로 통합LG텔레콤이라 불린다)이다. 월 6000원에 무려 1GB라는, 지금 봐도 파격적인 무선 데이터 요금제를 제공함으로써 당시 나왔던 OZ 서비스를 지원하는 LG텔레콤 휴대폰들의 무..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0. 3. 9. OZ 알짜정액요금제, 이렇게 진화하면 어떨까? 지난번 글을 통해 OZ 알짜정액요금제에 대한 대략적인 소개를 마쳤다. 이번 편은 이 요금제가 정말 쓸만한 좋은 것인지 살펴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2009/12/10 - 실속과 절약, OZ 알짜정액요금제 구경하기 이 분야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다 아시겠지만 OZ 알짜정액요금제와 비슷한 것이 다른 이동통신사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다. SK텔레콤에서는 데이터존프리135, KT의 경우 쇼데이터완전자유라고 불리고 있는 요금제가 바로 그들이다. 1개월 기준 SK텔레콤의 경우 13500원, KT의 경우 10000원인 이들 서비스는 설정된 페이지 안에서 무선데이터요금을 추가로 받지 않고 콘텐츠는 정보이용료없이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하다. 다만 이 페이지를 벗어났을 때는 SK텔레콤의 경우 100MB, KT의 경우 10..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09. 12. 21. 실속과 절약, OZ 알짜정액요금제 구경하기 3사 가운데 일찌감치 가장 바람직한 휴대폰용 무선 데이터 요금제를 마련하고 운영해왔던 LG텔레콤의 OZ 브랜드에 대해서는 이미 알만한 분들은 다 알고 계실 거다. 아이폰과 함께 시작된 스마트폰 열풍이 불기 한참 전부터 LG텔레콤은 홀로 사용자가 납득할만한 가격으로 무선 데이터 시장을 키워왔다. 여기에는 6000원에 무려 1GB의 데이터를 쓸 수 있는 OZ 무한자유요금제가 가장 대표격이겠지만, 오늘 여러분께 소개해드릴 것은 여기서 조금 더 확장된 OZ 알짜정액요금제다. 그게 과연 무엇인지 지금부터 알아보자. OZ 알짜정액요금제란? OZ 알짜정액요금제는 위 요금표에서 볼 수 있듯이 무한자유요금제에서 조금 더 확장된 형태다. 무한자유요금제의 특징을 그대로 가진 상태에서 30만원 상당의 벨, 필링, 게임, 애니..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09. 12. 10. OZ 옴니아 - 우월한 요금제와 강한 스마트폰이 만났다! 아이폰이 전세계에 불러일으킨 스마트폰 열풍에 맞춰 국내에서도 경쟁력있는 스마트폰들이 하나둘 선보이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가 개발한 두 번째 옴니아, 옴니아2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이미 SK텔레콤 용의 T옴니아2는 출시되었고 KT 또한 이른바 SHOW 옴니아를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 이야기할 주인공은바로 LG텔레콤의 OZ 옴니아, 정확히 말하면 SPH-M7350이다. 그리고 늑돌이는 이 OZ 옴니아가 다른 옴니아 형제보다 좀 더 특별한 존재라고 말하고 싶다. 왜 그럴까 궁금하지 않으신가? OZ 오즈는 오즈의 마법사라는 동화책에서 나온 말이기도 하지만 LG텔레콤이 지난 2008년에 시작한 무선데이터 서비스 브랜드이기도 하다. 무선데이터 서비스를 쓰는데 있어서 가격대성능비로 가장 합리적이고..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09. 11. 20. LG텔레콤 OZ - 이동통신 시장의 틀을 깨다 이곳에 오시는 분들 가운데에는 LG텔레콤의 OZ 서비스에 대해서 들어본 분들이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월 6000원 정액으로 웹서핑 및 기존 ez-i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량에 상관없이 무제한으로 쓸 수 있는 이 서비스는 LH-2300(터치웹 또는 아르고폰으로도 알려져 있죠)과 캔유 801EX라는 OZ 전용 폰과 함께 출시, 한달 남짓한 기간에 무려 10만명 이상의 가입자를 모으는 등 큰 화제를 모으고 있죠. 하지만 OZ의 탄생이 가지는 뜻은 단순히 또 한가지의 '무선 데이터 정액 요금제'라는 것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데이터 요금을 높게 잡아놓는 바람에 일반적인 이용자들로 하여금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멀리 하게끔 했던 기존 이동통신 시장의 '틀'을 깨는 과감한 행위였던 거죠. 이미 이동통신 시장에서 .. #더작은모바일 2008. 5. 16. LG텔레콤, 스마트폰 SPH-M4650에서도 OZ 서비스 지원 예정 LG텔레콤에서 월 6000원으로 웹의 풀브라우징, 이메일 푸시 등 다양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OZ 서비스가 스마트폰인 삼성전자의 SPH-M4650(이하 M4650)에도 곧 도입된다는 소식입니다. 지난 5월 6일에 열렸던 LG텔레콤과의 OZ 서비스 관련 블로거 간담회에서 LG텔레콤 측은 기존에 출시되어 스마트폰 매니아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은 M4650에서 OZ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기존 M4650 사용자 또한 펌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통해 OZ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하니 더욱 기쁜 일입니다. 다만 스마트폰인 만큼 일반 휴대폰에 비해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량의 데이터 전송량이 생길 수 있는 부분이 있어 이에 대해 고민 중이라..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08. 5.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