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더작은모바일657 예상을 넘어선 삼성 기어 S2, 그 세가지 핵심을 살펴보면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고 있는 IFA 2015 행사에서 삼성전자가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기어 S2를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물은 지금까지의 기어 시리즈에서 큰 걸음으로 한단계 넘어섰다고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니, 타사의 경쟁 제품들 대부분을 포함해도 마찬가지일 겁니다. 뭐가 그런지, 정말 그런지 지금 그 핵심 요소를 세가지로 정리해서 살펴볼까 합니다. 디자인, 실용과 결합하다 그동안 삼성 기어 시리즈는 첫 제품부터 기어 S까지 모두 아름다움보다는 기능에 충실했던 제품이라고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최종 제품인 기어 S는 커브드 글래스를 이용했지만 3G 통신을 내장한 탓인지 꽤나 크고 두꺼운 모양이 나오게 되었죠. 하지만 이번 삼성 기어 S2는 겉의 아름다움이라는 측면에서도 이제는 내세.. #더작은모바일/#웨어러블#헬스케어#IoT 2015. 9. 4. 삼성 페이가 편의와 안전 두마리 토끼를 잡는 방법 갤럭시 S6 발표와 함께 화려하게 소개되었던 삼성 페이 서비스가 대한민국에서 8월 20일에 정식 런칭했다. 미국의 벤처 기업 루프페이(LoopPay)를 인수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강한 삼성 페이 서비스는 지난 8월 13일의 삼성 언팩 행사에서 갤럭시 노트5와 갤럭시 S6 엣지+와 거의 동등한 비중을 가질 정도로 삼성전자가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서비스다. 삼성 페이의 가장 큰 특징은 역시 기존 마그네틱 방식의 신용카드 단말기에서도 아무 문제없이 이용 가능하다는 편의성일 것이다. 이는 삼성전자를 좋아하건 안 좋아하건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정하는 큰 장점이다. 타사의 서비스들은 대부분 NFC 기반 단말기로만 결제가 가능하지만 이런 단말기는 아직 많이 보급되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삼성 페이 역시 돈이 오고 가는..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5. 8. 31. 샤오미의 사물인터넷(IoT) 시장 도전의 의미, 그리고 숨겨진 위험 요즈음 IT 분야에 관심있는 분들 가운데 2010년 창립된 중국 기업 샤오미(小米/Xiaomi)를 모르는 경우는 아마도 거의 없다고 봐도 좋을 것이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MIUI를 자사의 OS로 삼아 우수한 가격대 성능비와 애플 스타일의 디자인을 내세운 Mi 시리즈의 스마트폰으로 화제를 모은 샤오미는 조금씩 제품군과 판매량을 늘리면서 어느새 세계 시장에서 무시할 수 없는 위치에 올랐다. 시장조사기관인 Trendforce에 따르면 2015년 2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5.9%로 5.8%의 LG전자를 제치고 당당하게 4위를 차지한 것. 하지만 샤오미를 이 글에서 다루는 이유는 스마트폰 때문이 아니다. MI 시리즈 만큼 주목받고 있지는 않지만 샤오미는 IoT(Internet of Things; 사.. #더작은모바일/#웨어러블#헬스케어#IoT 2015. 8. 19. 언팩으로 본 갤럭시 노트5와 갤럭시 S6 엣지+, 기대와 우려 삼성전자의 양대 플래그십 모델 가운데 하나인 갤럭시 노트5, 그리고 새로운 모델인 갤럭시 S6 엣지+를 미국 뉴욕에서 열린 삼성 언팩 행사를 통해 공개했습니다. 아시다시피 갤럭시 노트 시리즈는 삼성전자의 패블릿 제품군을 상징하는 모델이자, 어떤 분들은 갤럭시 S가 아닌 갤럭시 노트를 유일한 플래그십 모델로 볼 정도로 사랑받는 제품입니다. 갤럭시 S6 엣지+는 갤럭시 S6 엣지의 패블릿 버전이죠. 자세한 내용은 위에 공개된 언팩 실황 영상을 보시면 될 듯 하네요. 아직 국내용 정식 보도자료가 없으니 삼성 투모로우의 글도 보시고요. 하지만 이거 다 보실 시간 없는 분들 위해 짧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기대 우선 갤럭시 노트5나 갤럭시 S6 엣지+나 모두 예상만큼 나왔다는 생각입니다. 갤럭시 S6와 엣지에서 가..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5. 8. 14. 소비자를 노리는 IoT(사물인터넷) 상품이 추구하는 3가지 핵심 여전히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는 현실과는 거리가 먼, 뜬 구름 잡는 일처럼 여겨지겠지만 이른 바 ‘차세대’의 패권을 노리는 몇몇 기업들에게는 눈을 부릅뜨고 도전해야 하는 시장이다. 물론 실제로 팔 수 있는 서비스와 제품을 만들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인데, 그 가운데에서도 세가지 방향으로 일반 소비자를 노리고 있는 IoT 관련 제품의 종류와 특징을 살펴보자. #1. 건강을 노린다 IoT가 다루는 분야 가운데 극히 일부분에 해당하긴 하지만 그나마 이 분야에서 가장 대중화된 디바이스일지도 모르겠다. 이미 2006년부터 애플의 iPod과 함께 시장에 투입된 NIKE+는 본격적인 IoT 디바이스라 부르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대중적인 관심과 함께 시장에서도.. #더작은모바일/#웨어러블#헬스케어#IoT 2015. 7. 21. LG U+가 홈IoT로 보여준 사물인터넷 세상, 과연 어떤 모습일까? 그동안 라지온에서도 몇번 소개해드렸지만 모든 디바이스들이 인터넷과 접속한다는 의미인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많은 업체들이 차세대의 먹을거리로 군침을 삼키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 가운데에서도 이동통신사들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은데요, 그 이유는 우선 수백~수천만 단위의 고객을 확보하고 있는데다가 사물인터넷에서 빠질 수 없는 망(network)을 구성하고 유지보수하는데 깊은 노하우를 갖고 있기 때문이겠죠. LG U+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6월 29일, LG U+는 IoT@home이라는 브랜드로 홈IoT(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작을 본격적으로 발표했습니다. 왜 '본격적'이냐 하면 이전에도 가스락과 맘카2라는 IoT 디바이스를 출시했기 때문이죠. 이번에 발표한 새로운 IoT 디바이.. #더작은모바일/#웨어러블#헬스케어#IoT 2015. 6. 29. 블루투스 LE, 사물인터넷(IoT) 시대의 다리가 되다 이제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를 구현하는 상용 디바이스들이 각종 미디어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스마트워치 류의 디바이스나 위치 기반 서비스 등 다양한 쓰임새로 활용할 수 있는 비콘들, 그리고 미아방지용 팔찌까지 다양한 제품들이 신문이나 온라인 뉴스의 한구석을 차지하고 있죠. 그런데 이들 대부분의 공통점이 한가지 있습니다. 바로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 LE; 이하 BLE)를 이용한다는 것이죠. 스마트워치만 봐도 많은 이들이 기다리던 애플 워치는 물론이고 삼성의 웨어러블 전략을 이끌고 있는 기어 시리즈, LG의 G워치를 비롯한 안드로이드 웨어 기반 제품들이 있습니다. 피트니스 분야에서는 스포츠 트래커로 웨어.. #더작은모바일/#웨어러블#헬스케어#IoT 2015. 6. 26. LG의 네번째 G, G4 총평 LG G4에 대해 그동안 몇편의 글로 이야기를 풀어왔죠. 제조사 측에서 의뢰한 주제가 주로 카메라인지라 폭넓게 살펴보진 못한게 아쉬웠는데 오늘은 전체적으로 훑어보면서 G4에 대해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디자인이랑 카메라 이야기는 앞에서 했으니 최대한 줄였습니다. 2015/05/13 - 디자인으로 살펴보는 LG G42015/05/24 - 야경으로 보는 LG G4의 카메라2015/05/31 - LG G4의 카메라에서 달라진 세가지 하드웨어 - 최고는 아니지만 개성은 살아있다 우선 카메라는 꽤 잘 나왔습니다. F1.8의 밝은 렌즈와 OIS 2.0, 수동 기능과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 바로 촬영으로 들어갈 수 있는 퀵샷 등은 G4를 대표하는 키워드로 카메라를 꼽는데 전혀 문제가 없게 했죠. 다만 기능을 잘 살릴 ..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5. 6. 3. LG G4의 카메라에서 달라진 세가지 지난 리뷰에서는 LG G4의 카메라를 야경 촬영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봤습니다. 빛이 모자란 어둠 속에서의 촬영 결과물을 통해 확실히 나아진 감도와 수동 촬영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죠. 이번 편에서는 보다 총체적인 측면에서 G4의 카메라를 보기로 합니다. 세가지로 정리해 봤네요. 강해진 광학 능력 예, 카메라는 누가 뭐래도 광학 장비에 속하죠. 아무리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카메라의 렌즈가 손톱만하고 센서는 더 작다고 해도 근본적으로 카메라는 빛을 받아들여 사진으로 만드는 도구니 이를 빼고 이야기할 수는 없습니다. G4와 함께 수없이 언급된 F1.8의 밝은 렌즈는 그런 측면에서 무척 환영할만한 부분입니다. 센서 크기도 1/2.6인치로 전작에 비해 커졌죠. 밝은 렌즈와 폰카메라치고는 비교적 큰 편인 센서 크기는 ..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5. 5. 31. 웨어러블의 날개를 단 이머전의 햅틱 기술, 날아오를까? 진동 피드백으로도 많이 알려진 햅틱 기술에 대한 선도 개발업체인 이머전(immersion)이 1년만에 다시 블로거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라지온도 초대받아 다녀왔지요. 거의 1년 만입니다. 2014/05/07 - 이머전, 햅틱(haptic) 기술의 현 주소를 보다 이머전은 1993년에 설립되어 미국 등 많은 나라에서 1,900개 이상의 특허 기술을 보유 또는 출원 중입니다. 이 회사의 기술은 게임 컨트롤러, 휴대폰, 웨어러블 기기, 자동차 인터페이스 등 15억대 이상의 소비자 제품에 적용되어 있을 정도로 햅틱 분야에 있어서는 말 그대로 대세에 해당하는 회사죠. 플레이스테이션 등 게임 패드에 들어간 기술이 이머전 것이라는 이야기는 게임 좋아하시는 분들도 조금은 아실 듯. 그런데 올해 간담회의 제목이 범상치 .. #더작은모바일/#웨어러블#헬스케어#IoT 2015. 5. 29. 야경으로 보는 LG G4의 카메라 LG전자가 G4 출시와 함께 지겹도록 강조한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카메라죠. LG전자는 G4 홍보에 있어서 카메라 파트에 목숨을 걸었다싶을 정도로 관련 정보에 대해 일찍부터 풀어놓고 알려왔습니다. 실제로 LG전자는 G4 이전에도 G2에서 OIS를 국내 스마트폰 최초로 도입하고 G3에는 Laser AF로 초고속 AF 기능을 제공했죠. G4는 이들의 전통을 그대로 갖고 왔고 더 발전시켰습니다. G4의 카메라 관련 제원에서 일단 눈에 띄는 특징은 역시 F1.8의 밝은 렌즈, 그리고 3축으로 강화된 OIS가 있네요. 1/2.6인치라는 스마트폰 카메라로는 준수한 크기의 이미지 센서도 기억은 해둬야죠. 그 가운데에서도 LG전자는 특히 밝다는 걸 특히 강조하고 있습니다. 렌즈가 밝다는 걸 잘 보려면 어떡해야 할까요..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5. 5. 24. 디자인으로 살펴보는 LG G4 LG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G4가 발표되고 어떤 분들은 좋아하고 어떤 분들은 아쉬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G4의 전부가 밝혀진 것은 아닌 만큼, 환호도 실망도 단언을 내리기에는 아직은 이르지 않을까요? 오늘부터 라지온에서 G4를 살펴봅니다. 이번 글의 주제는 디자인입니다. 주제는 다릅니다만, 간단하게 상자 개봉기도 겸해볼까 합니다. 보시면 알겠지만 주제와 겹치는 부분도 있지요. 모 이통사의 로고. 이러저러한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리뷰를 통해 차근차근 살펴보지요. 상자를 열겠습니다. G4의 가죽 자켓(...)이 눈 앞을 가득 채웁니다. 보통 스마트폰은 상자를 열 때 뒷면보다는 앞면을 보여주는데, G4는 다짜고짜 자기 등짝을 들이밉니다. 등짝이 자신있나 봅니다. 더 보기 전에 부속을..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5. 5. 13.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