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Xiaomi18 푸는 법 알려주는 샤오미 스마트 루빅스 큐브(Rubik's Cube) 여러분도 한번쯤 루빅스 큐브(Rubik's Cube)에 도전해 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헝가리의 대학교수였던 루비크 에르뇌(Rubik Ernő)가 만든 것으로 서로 총 3x3x3개의 블록으로 나눠진 정육면체를 이리 돌리고 저리 돌려서 각 면의 색상을 하나로 맞추는 일종의 3차원 퍼즐이죠. 한때 빨리 푸는 시간을 재는 세계 대회를 열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런 루빅스 큐브에 샤오미가 손을 대면 어떨까요? 샤오미에서 스마트 루빅스 큐브(Smart Rubik's Cube)라는 제품이 나와 소개해 드립니다.바로 이 제품입니다. 이렇게 봐서는 별 거 아닌 듯 합니다. 그냥 MI 로고 박힌 루빅스 큐브의 수많은 유사 제품들 가운데 하나처럼 보이는데, 안은 그렇지 않다네요. 6축 센서와 교환 가능한 코인 배.. #게임#VR#교육 2019. 12. 3. 갤럭시핏, 싸지만 비싼 삼성 표 피트니스 밴드 그동안 삼성전자 웨어러블 부문의 브랜드 이름은 참으로 변화가 많았습니다. 피트니스를 당담하는 이른 바 핏(fit) 시리즈도 예외는 아니었죠. 첫번째 핏이랄 수 있는 갤럭시 기어핏은 단순한 RTOS 기반에 커브드 OLED를 박아넣은 제품이었습니다. 같은 시기 이것저것 많이 집어넣어 나온 갤럭시 기어에 비해 피트니스 중심의 단순함으로 집중했던 제품이죠. 후속작에서 갤럭시를 떼고 나온 기어핏2와 기어핏2 프로는 기어 시리즈처럼 타이젠을 OS로 넣고 보다 다기능을 목표로 했습니다. 2016/06/03 - 삼성 기어핏2(Gear Fit 2), GPS 내장한 고성능 피트니스 밴드로 돌아오다2016/06/03 - 삼성 기어핏2(Gear Fit 2), 기어핏1과 비교한 인포그래프 공개 그 후속으로 기어를 떼버리고 이번.. #더작은모바일/#웨어러블#헬스케어#IoT 2019. 10. 2. 판을 엎으러 왔다! 샤오미 포코폰 F1 포코폰(POCOPHONE)은 샤오미(Xiaomi)가 인도를 시작으로 런칭한 새로운 브랜드입니다. 여기서 포코(poco)는 이탈리아어 또는 스페인어로 little, few, not much 등의 뜻을 갖고 있습니다. 포코 글로벌의 제품 총괄인 제이 마니(Jai Mani)는 poco가 작은 희망으로 비롯된 큰 꿈을 꾼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하네요. 보신 김에 유튜브 LAZION tv 채널도 구독해 주시면 더 좋은 영상이 올라오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아직 우리나라에는 낯선 포코폰이지만 이 브랜드로 처음 내놓은 포코폰 F1[각주:1]은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바로 탁월한 가격대 성능비 때문이죠. 좀 더 특별한 가성비 포코폰 F1 따지고보면 중국 회사인 샤오미가 가성비를 내세운 건 하루 이틀 일이 아닙니..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8. 10. 29. 샤오미, 5만원대 어린이용 스마트워치 Mi Bunny Kids 출시 샤오미가 어린이용 스마트워치를 내놓았습니다. 이름은 Mi Bunny Kids라 하는군요. XIAOMI의 Mi에 마스코트인 토끼 캐릭터를 조합한 상표명인 듯 합니다. 그런데 이 제품이 주목받는 가장 큰 이유는 샤오미답게 저렴한 가격과 함께 쓸만한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이죠. 사실 중국산 스마트워치 가운데에는 이보다 싼 제품도 무척 많습니다. 이 샤오미의 키즈워치 미 버니 키즈는 LED 도트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를 채용하여 단가를 낮춘 반면, 자체적으로 통화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GPS와 GLONASS를 지원하여 위치 정보 또한 확보하고 있습니다. 요금 역시 중국의 경우, 별다른 요금제 가입 필요없이 통화는 분당 0.1위안(18원 미만), 무선데이터는 MB당 0.1위안의 요금으로 괜찮.. #더작은모바일/#웨어러블#헬스케어#IoT 2016. 5. 2. 샤오미의 사물인터넷(IoT) 시장 도전의 의미, 그리고 숨겨진 위험 요즈음 IT 분야에 관심있는 분들 가운데 2010년 창립된 중국 기업 샤오미(小米/Xiaomi)를 모르는 경우는 아마도 거의 없다고 봐도 좋을 것이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MIUI를 자사의 OS로 삼아 우수한 가격대 성능비와 애플 스타일의 디자인을 내세운 Mi 시리즈의 스마트폰으로 화제를 모은 샤오미는 조금씩 제품군과 판매량을 늘리면서 어느새 세계 시장에서 무시할 수 없는 위치에 올랐다. 시장조사기관인 Trendforce에 따르면 2015년 2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5.9%로 5.8%의 LG전자를 제치고 당당하게 4위를 차지한 것. 하지만 샤오미를 이 글에서 다루는 이유는 스마트폰 때문이 아니다. MI 시리즈 만큼 주목받고 있지는 않지만 샤오미는 IoT(Internet of Things; 사.. #더작은모바일/#웨어러블#헬스케어#IoT 2015. 8. 19. 라지온 선정 2014년 모바일 이슈 : 기업 편 지난 글에 이어 이번에도 2014년에 모바일 분야에서 일어난 이야기를 정리해 보자. 지난 번의 주제가 디바이스, 즉, 제품이었다면 이번의 주제는 이를 판매하거나 관련 플랫폼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글의 분량상 제조사 중심으로 정리하였음에 양해를 바란다. 2014/12/22 - 라지온 선정 2014년 모바일 이슈 : 디바이스 편 계속되는 애플과 삼성의 대결 많은 이들이 인정하듯 애플은 아이폰과 아이패드로 시장을 선도했으며 전세계의 스마트폰과 태블릿 시장을 지금의 모습으로 만드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삼성전자는 애플의 장점을 빠르게 흡수하고 자사의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기술과 함께 당시에는 아직 미약하던 구글의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결합한 갤럭시 시리즈를 출시하여 세계 스마트폰과 휴대폰 시장.. #더작은모바일 2015. 1. 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