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LAYPC5 차세대 넷북 플랫폼, 파인트레일이 남긴 과제 지난 1월 7일부터 11일까지 열렸던 CES 2010 행사에서 선보인 많은 제품들 가운데에는 새롭게 진화한 파인트레일 플랫폼을 탑재한 넷북들을 빼놓을 수 없다. 넷북은 아수스 EeePC 시리즈를 통해 처음 선보인 뒤 많은 사용자들의 열광 속에서 기존 노트북 시장에 안착했다. 특히 에이서 같은 업체는 넷북에서의 성공을 기반으로 세계 PC 시장 1위를 넘볼 만큼 성장했으며 PC 시장에서만큼은 고전했던 삼성전자 또한 넷북의 판매 호조로 세계 10위권에 진입하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지난 12월 21일, 드디어 두번째 넷북 플랫폼인 파인트레일이 등장했다. 파인트레일 플랫폼은 아톰 N450 프로세서와 NM10 익스프레스 칩셋으로 구성되며 CPU 칩 안에 그래픽 엔진과 메모리 컨트롤러까지 함께 들어가 성능 향상, 소.. #작은PC/#노트북PC 2010. 1. 18. SSD의 모자란 용량, 그 해결책은? 플래시 메모리로 하드디스크를 대신하겠다는 SSD(Solid State Drive)가 대중들에게 선보인지도 꽤 오랜 시간이 지났다. 모터나 헤드와 같은 기계적인 구동 부분이 없기 때문에 소음이 없고 발열도 적은데다 하드디스크보다 더 소형화가 가능하고 속도도 더 빠른(중고급형 이상 제품의 경우) SSD는 일부 사용자들에게는 꿈의 저장장치로 받아들여질 만큼 많은 관심을 받았지만 현실에서는 아직 몇몇 얼리어답터나 기업에서 고속 구현을 위해 채용되거나 4~32GB 정도의 소용량으로 휴대기기에 장착되는 제한적인 용도로만 쓰이고 있다. 한마디로 아직 대중화와는 먼 길을 걷고 있는 셈이다. 왜 그렇게 되었을까? 그리고 정말 SSD가 대중화되려면 어떻게 해야될까? 문제는 용량 이처럼 SSD가 하드디스크에 비해서 가지는 .. #주변기기/#메모리#저장장치#보안 2009. 12. 18. XP에서 윈도우7로 갈아탈 때 PC 업그레이드는 이렇게 지난 10월 22일, 전세계적으로 열린 화려한 런칭 행사와 함께 윈도우7이 여러분 앞에 선보였다. 별로 사랑받지 못했던 윈도 비스타와는 달리 윈도우7은 베타 버전 시절부터 많은 관심을 모으고 좋은 평가를 받아왔던 만큼 정식판이 출시되자 그동안 OS 업그레이드를 미뤄왔던 수많은 윈도XP 사용자들이 OS 업그레이드를 준비하고 있다. 이렇게 새 OS를 맞이하려 하는 기존 윈도XP 사용자들의 PC에게는 무엇이 필요할까? 1. 메모리 메모리는 다다익선, 단 4GB를 넘어가면 64비트 OS로 가시길 윈도우7이 가벼워졌다고는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윈도 비스타와 비교해서이다. 윈도XP보다는 여전히 무겁다. 윈도XP에서는 1GB의 메모리면 일반적인 작업을 다 처리할 수 있었지지만 윈도우7에서는 2GB 정도는 설치해 주..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09. 11. 11. 노트북이 갈수록 예뻐지는 이유 요즘 나오는 PC 관련 제품에서 유난히 강조되는 분야가 있다. 성능도 아니고 기능도 아니고 확장성도 아니다. 그것은 바로 뒤~~좌인. 디자인이다. 예전에 컴퓨터란 일을 하는 도구였다. 개인의 입장에서 쓰기 보다는 업무용으로 활용되는 쓰임새가 대부분이었고 컴퓨터 관련 작업이 취미인 이들 말고는 집에 컴퓨터를 들여놓고 개인이 쓸 일은 별로 없었다. 이는 인터넷이 전면적으로 보급되기 전까지 그대로 고착되던 상황이었다. 전원 스위치의 위치는 중요하다. 덕분에 옛날 컴퓨터의 겉모습이란 오직 기능만을 중시하는게 대부분이었다. 케이스는 튼튼하면 되고, 전원 버튼은 발가락으로 잘 켜고 끌 수 있으면 그만이었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고 있다. 컴퓨터 세계에도 기능만이 아닌 아름다움을 생각한 제품들이 하나둘 등장하고 있는 .. #작은PC 2009. 7. 22. 끝나지 않은 유선시대 - 전력선 인터넷 iPLC SD8501 언제부턴가 회사나 집에 유선라우터나 공유기대신 무선공유기가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게 되었다. 무선은 간편하고 쓰기 쉬웠기 때문에 대부분의 노트북은 무선랜 어댑터를 내장하고 나왔고 이는 스마트폰이나 아이팟터치 등 더 작은 휴대기기에서도 마찬가지 상황이었다. 아니, 오히려 휴대기기에서의 무선랜은 그 활용도가 더 컸다. 하지만 그렇다고 유선망의 쓰임새가 없어진 것은 아니다. 위치나 전파 상태 등에 따라 통신 품질의 변화가 있는 무선망과는 달리 유선망은 훨씬 안정적인 통신을 보여준다. 하지만 유선망은 선을 설치해야 한다는 어려움 때문에 조금씩 일반 사용자들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었다. 오늘 소개할 것이 바로 그 유선망 설치의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줄여주는 존재로 그 이름은 전력선 인터넷이다. 이 전력선 인.. #주변기기/#통신#GPS#연결 2009. 5.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