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기기/#통신#GPS#연결

끝나지 않은 유선시대 - 전력선 인터넷 iPLC SD8501

늑돌이 2009. 5. 29.
반응형
언제부턴가 회사나 집에 유선라우터나 공유기대신 무선공유기가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게 되었다. 무선은 간편하고 쓰기 쉬웠기 때문에 대부분의 노트북은 무선랜 어댑터를 내장하고 나왔고 이는 스마트폰이나 아이팟터치 등 더 작은 휴대기기에서도 마찬가지 상황이었다. 아니, 오히려 휴대기기에서의 무선랜은 그 활용도가 더 컸다.

하지만 그렇다고 유선망의 쓰임새가 없어진 것은 아니다. 위치나 전파 상태 등에 따라 통신 품질의 변화가 있는 무선망과는 달리 유선망은 훨씬 안정적인 통신을 보여준다. 하지만 유선망은 선을 설치해야 한다는 어려움 때문에 조금씩 일반 사용자들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었다.

오늘 소개할 것이 바로 그 유선망 설치의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줄여주는 존재로 그 이름은 전력선 인터넷이다.

이 전력선 인터넷(정확히 말하면 인터넷 전력선 통신이라고 해야하지만 시중에 많이 불리는 용어로 통일했다)에 대해 들어보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간단하게 설명하면 우리나라 대부분의 집에 있는 전기 배선을 네트웍용 통신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같은 배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곳이라면 전기 플러그 단자를 통해 어디서든 네트웍 이용이 가능하다.


이것은 상자. 전력선 인터넷은 iPLC, 즉 Internet PowerLine Communication이라고도 부른다.


상자 내부는 무척 단순하다. 시계 방향으로 본체와 간단한 설치 설명서, 유선랜 케이블, 프로그램과 설명서를 담은 CD가 있다.


본체는 이런 모습. 일반적인 네트웍 장비를 생각하면 된다.


전력선 인터넷 장비인 만큼 전기 플러그가 있다. 물론 유선랜과 연결 가능한 단자도 준비되어 있다.


크기는 이 정도로 보면 된다. 소형 노트북 전원 어댑터 정도라고 할까?


모델 번호는 SD8501인 제품의 설치는 무척 간단하다. Powerline - Ethernet Bridge라고 써있는 대로 전력선과 유선랜을 연결시켜주는 존재인 만큼 그 사이에 위치하면 된다.
문제는 이 기기가 하나만 있으면 절대 쓸 수 없다는 점. 공유기와 연결시켜줄 녀석 하나와 네트웍을 이용할 장비와 연결할 녀석마다 하나씩 있어야 한다. 즉,

[공유기] -  [SD8501] - [콘센트] - [전력선] - [콘센트] - [SD8501] - [PC/노트북 등]

이런 식으로 연결해야 한다. 만일 장치가 하나 더 늘어나면 SD8501도 한대 더 있어야 한다.

이렇게 설명하니 복잡해 보이지만 간단하게 설명하면, 인터넷 공유기의 유선랜 단자에 케이블을 하나 꽂고 SD8501을 그 케이블을 연결한 다음 전기 플러그에 꽂는다. 그 다음에 인터넷을 쓸 장비가 있는 곳에 다른 SD8501을 꽂고 그 케이블을 PC나 노트북 등에 연결하면 끝이다. 더 이상 아무런 설정이 필요없고 정말 간단하다.


실제로 전기 플러그에 연결하면 이런 모습이 된다(보기 편하게 거꾸로 찍어놓았다). 유선이니만큼 보안도 걱정이 될 수 있는데 연결시 기본적으로 56비트 암호화가 적용되어 데이터가 전송된다.
같은 방식으로 이 제품을 브릿지로 활용하여 AP와 AP 사이를 연결하거나 다른 장소에서 유선망을 빠르게 구축(전기 배선만 있으면)하는 쓰임새도 찾을 수 있다.


업체에서는 큰 건물보다는 작은 규모의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쓰기를 권하고 있다. 같은 전기 계량기로 묶인 곳에서 네트웍의 공유가 가능하며 최대 16대까지 연결 가능하다. 벽에 있는 플러그가 아닌 멀티탭 등을 통해서도 연결은 가능하나 그럴 경우 속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피하라고 한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제품의 설치 작업에는 별도의 프로그램이나 드라이버가 꼭 필요하진 않지만 CD에는 설명서 파일과 함께 전력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들어가 있으니 설치하는게 좋다.


전력선 인터넷 브릿지인 SD8501이 세개 이상 되면 유용할 프로그램으로 각 장치별로 암호를 건다거나 장치의 이상에 대한 진단을 해줄 수 있다.



자, 그럼 이 제품을 실제로 연결하여 사용했을 때 속도는 얼마나 나올까? 간단한 시험을 해보았다.

시험에 사용한 것은 현재 개인적으로 쓰고 있는 유선 속도 100Mbps의 유무선 공유기로, 여기에 유선으로 연결된 두 PC 사이의 파일 전송 속도를 비교했다. SD8501은 당연히 벽의 플러그에 바로 연결했다. 장소는 늑돌이가 사는 약 20년된 아파트다.

파일 전송 시험은 두가지다.

1. 전체 크기 221,020,213 바이트의 103개 파일로 파일 하나당 평균 2.05MB 전송하기
2. 694,974,464 바이트의 1개 파일 전송하기

비교적 적은 용량의 파일 여러개를 복사한 1번과 큰 파일 한개을 복사한 2번을 3회 이상 시험하여 평균을 내어 비교했다.

1번 시험
- 유무선 공유기 바로 연결 : 37.47Mbps
- 전력선 인터넷 사용 : 9.27Mbps

2번 시험
- 유무선 공유기 바로 연결 : 42.47Mbps
- 전력선 인터넷 사용 : 8.97Mbps

의외로 기대보다 속도가 실망스럽게 나왔다. 바로 연결하여 쓸 때에 비교하면 1/4~1/5 수준이니 말이다.

글쓴이가 살고 있는 아파트가 오래 되어 전기 배선마저 너무 오래되었기 때문일까? 업체 측에 따르면 조건이 좋으면 25Mbps 이상도 가능하다고 하는데 그 1/3에 해당하는 속도 밖에 나오지 않았다. 품질 좋은 전선이 깔린 새 아파트라면 더 나은 속도가 나올지도 모르겠다.

이 밖에도 인터넷 속도 평가 사이트를 이용하여 유무선 공유기 바로 연결시와 전력선 인터넷 사용시의 속도를 비교했지만 늑돌이가 이용하는 인터넷의 최대 속도가 8~9Mbps 수준이라 두 경우의 차이가 거의 없어 결과는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전력선 인터넷 브릿지인 iPLC 85M SD8501의 이모저모에 대해서 알아봤다. 이제 슬슬 정리해보자.
이 제품의 장점은 명확하다.
  • 무선 공유기가 없다.
  • 벽이 많거나 해서 무선랜의 신호가 잘 닿지 않는 환경에 있다.
  • AP와 AP를 연결할 필요가 있지만 배선을 따로 하고 싶지 않다.
  • 프린터, 게임기 등과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장치에 유선랜 단자만 있지만 유선망 자체는 설치할 수 없거나 힘들다.

이런 경우 마냥 선을 깔지 않고 이미 벽에 들어가 있는 전기 배선만으로 네트웍을 구성할 수 있다. 한번이라도 각 장비를 연결하기 위해이더넷 케이블을 열심히 깔아본 사람이라면 알 수 있겠지만 이 부분은 무시 못할 장점이다. 하지만,
  • 본 1대에 연결할 장치마다 4만원대의 전력선 인터넷 브릿지를 더 구입해야 한다.
  • 신호만 잘 잡을 수 있다면 802.11n 무선랜 공유기를 이용하는게 전송 속도가 더 빠르다.

위와 같은 부분은 분명히 단점이다. 특히 무선랜 관련기기가 많이 싸진 요즈음에는 더더욱 그렇다.


하지만 전력선 인터넷 브릿지인 iPLC 85M SD8501이라는 제품에 있어서 그 쓰임새에 따른 장단점이라는게 워낙 명확하기 때문에 자신이 처한 상황에 맞게 고르는 것이 가장 좋을 듯 하다.
비록 만능은 아니라해도 유선랜을 써야 하는 상황에서 정작 그 배선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상황에 딱 어울리는 수단. 그것이 바로 전력선 인터넷일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