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igital camera5 힘빼고 인물로 간 편안한 미러리스, 소니 NEX F3 소니의 NEX는 전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미러리스 카메라 시리즈입니다. 보급형인 NEX 3 계열과 중급형인 5 계열, 고급형인 7까지 소니는 제법 풍족한 라인업을 자랑하죠. 그런데 소니의 미러리스 시장 점유율은 다른 기업과 좀 다른 모습을 모이고 있습니다. 소니는 중-고급형 미러리스 시장에서 NEX 5/7 계열로 꽤나 압도적인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전체 미러리스 가운데 1대는 NEX 5 계열이라고 할 정도로 성공적이었던 5 시리즈와 DLSR 급의 성능과 기능을 갖춘 7 시리즈는 상당히 인기있는 제품군이었죠. 하지만 보급형 미러리스 시장에서는 그리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지 못합니다. 이는 NEX 3 계열이 가지는 매력이 상위 모델에 비해 못하기 때문이라 볼 수 있겠죠. 기왕 3 사느니 5 사겠다.. #카메라#녹음기 2012. 5. 24. NEX-C3, 소니의 2011년 미러리스 DSLR 시장 정복을 위한 출사표 소니의 NEX 시리즈는 미러리스 DSLR 시장에서 포써드 방식으로 먼저 치고 나온 올림푸스와 파나소닉을 압도할 정도로 대단한 성공을 거둔 제품입니다. 경쟁사 제품과 달리 센서 크기를 줄이지 않고도 소형화를 이뤄냈다는 점이 많은 이들에게 어필했죠. 저 또한 늑돌 2세 탄생과 더불어 감도 좋은 카메라를 찾는 중 가장 가벼운 NEX5를 사서 갖고 다니고 있습니다. 이렇게 미러리스 시장에서 무려 40%에 달하는 점유율을 달성한 소니는 후속 기종에 대해 계속 입을 다물고 있었습니다. 추가로 출시할 렌즈나 넥스를 위한 외장 플래시에 대한 요구도 있었지만 역시 조용했습니다...만, 이번에 발표했습니다. 재미있게도 먼저 선을 보인 것은 고급 모델이 아닌 보급형인 NEX3를 잇는 NEX-C3입니다. 여기서 C는 Came.. #카메라#녹음기 2011. 6. 29. 캠코더 안 부러운 삼성 VLUU WB550의 HD 동영상 촬영 비법, 그리고 마무리 am삼성 디지털 이미징의 디지털 카메라인 VLUU WB550 리뷰도 벌써 마지막 편이 되었다. 이번 편에는 WB550의 대표적인 기능 가운데 하나인 HD 동영상 촬영 기능과 촬영한 동영상을 쉽게 편집하는 이야기, 그리고 VLUU WB550에 대해 전체적으로 장단점을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한다. ■ HD란? HD란 High Definition의 약자로 디지털 TV가 세상에 나오면서 같이 알려진 용어인데, 어느새 너도 나도 HD 규격을 지원한다고 난리들이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이 규격 또한 여러가지다. 많이 쓰이는 것만 추려보면, - 720p : 1280×720의 해상도로 프로그레시브 방식 - 1080i : 1920×1080의 해상도로 인터레이스 방식 - 1080p : 1920×1080의 해상도로 .. #카메라#녹음기 2009. 5. 21. 삼성 VLUU WB550으로 쉽게 사진찍는 다섯가지 비법 삼성 디지털 이미징의 컴팩트 카메라인 VLUU WB550을 쓰게 된지도 벌써 3주가 다 되어간다. 제품의 겉 모습이나 가지고 있는 기능상의 주요 특징은 지난 리뷰 두편에 걸쳐서 설명을 드렸으니 오늘은 보다 실질적인 이야기, 사진 잘 찍는 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도록 한다. 사실 늑돌이는 그다지 사진을 잘 찍는 편이 아니지만 똑딱이라는 애칭으로도 불리는 컴팩트 카메라는 꽤 오랫동안 써왔다. 그래서 이번 편에서는 사진에 대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특히 WB550이라는 기종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보고자 한다(카메라를 오래 다뤄보신 분들에게는 대부분 아는 내용일 수도 있으니 양해바란다). 1. 스마트 오토 모드를 활용하라 지난 리뷰에도 설명했지만 WB550에는 초보자를 위한 편의 기능이 잔뜩 들어가 .. #카메라#녹음기 2009. 5. 10. 삼성 VLUU WB550 리뷰 - 2부. 광각과 줌만 있는 것이 아니다 늑돌이가 삼성 디지털 카메라를 제대로 써보는 것은 이번 WB550 리뷰를 통하는 것이 처음이다. 삼성 디지털 이미징의 디지털 카메라 개발 역사가 아직 짧았고 그동안 나왔던 제품들은 그동안 늑돌이의 마음에 들만한 카메라가 별로 없었기 때문인데, 덕분에 다른 이들처럼 일본제 카메라를 쓰고 있었다. 하지만 WB500이 그것도 우리나라 회사에서 나왔을 때 늑돌이는 작은 충격을 받았다. 이런 특징을 가진 카메라가 한국에서 만들어질 것라고는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무튼 그 몇달이 지나고 지금은 그 후속기종인 WB550의 리뷰를 쓰고 있다. DSLR처럼 높은 제원을 바란다면 좀 모자란 성능이라 볼 수 있고 휴대성을 바란다면 다소 두껍다고 생각할 수 있는, 어떻게 보면 어정쩡한 제품일수도 있지만 작은 크기에 많은.. #카메라#녹음기 2009. 4. 3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