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K텔레콤44 SK텔레콤이 꿈꾸는 미래, 티움을 다녀오다. 역사가 오래된 성공한 기업에는 본사나 관련 건물에 그 기업에 관련된 전시관이 있곤 한다. 가까운 일본에만 가봐도 많은 기업홍보관이나 전시장이 있는데 일방적인 홍보 위주가 아닌 신기함과 다양한 재미를 제공해 주는 곳도 종종 보인다. 우리나라에도 SK텔레콤이 연 티움(T.um)이라는 전시장이 있다. 특히 티움은 단순한 전시장이라기 보다는 체험을 위주로 한 곳이라는 점에서 다른 기업홍보관과 다르다. 일방적인 주입식이라기 보다는 직접 써보면서 느낄 수 있게 준비된 티움이 과연 어떤 곳인지, 지난주 금요일에 다녀온 경험을 바탕으로 티움의 모습과 느낌을 여러분께 전해드리고자 한다. 티움은 SK텔레콤 본사에 자리잡고 있으며 1층과 2층의 약 5천평에 해당하는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1층에는 스타벅스가 자리잡고 있는데.. #행사#매장#인터뷰 2008. 11. 20. 3사 연합 스마트폰, T옴니아는 과연 성공할 것인가? 지난 11월 3일, 삼성전자 최지성 사장, SKT 김신배 사장, 마이크로소프트 스티브 발머 최고경영자(CEO)는 서울 신라호텔에서 T*OMNIA(SCH-M490)의 신제품 발표회를 가졌습니다. 그동안 국내에서 스마트폰은 저조한 실적으로 그다지 재미를 보지 못했습니다. 덕분에 시장에 뛰어들었던 수많은 기업들 가운데 많은 수가 사라졌고 남은 건 이제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대기업 뿐입니다. 그나마도 출시된 제품들을 보면 이동통신사와의 알력 때문에 제원에서 필요한 부분이 빠져서 나오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무선랜으로, 이동통신사 측에서는 자사의 데이터 통신 요금 매출을 위해 아예 빼거나 제한을 걸었던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근래에는 변화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HTC 등 외국 기업을 통해..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08. 11. 5. 생활 속의 무선 네이트 - 네이트 생활인 리뷰 SK텔레콤의 무선 네이트 서비스는 휴대폰을 위한 것이라는 이야기는 말할 필요도 없이 당연한 것이다. 그런 만큼 언제나 가지고 다니며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떤 디지털 기기도 따라갈 수 없을 만큼 생활에 밀착된 서비스일 것이다. 안방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TV도, 사무실 책상에서 버티고 있는 PC도, 매일 아침 배달되는 신문도 휴대폰만큼 사람들과 가까이 있지는 못하다. 오늘 소개해드릴 서비스가 바로 그런 생활 밀착형 서비스인 네이트 생활인이다. 네이트 서비스 리뷰 때마다 이야기하는 것이지만 데이터 세이프나 데이터 퍼펙트 같은 데이터 요금 정액제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면 통화료가 따로 나가게 되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우울한 고지서에 울지 말고 미리 주의하자. 네이트 생활인 서비스는 메인 메뉴에서 운세|..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08. 9. 10. 휴대폰으로 외국어를 공부하자! - 멜론 EBS 어학 우리나라는 갈수록 격렬한 경쟁 사회로 바뀌어가고 있다. 예전에는 고등학교 때도 일부 학생들만 다니던 게 학원이었는데, 요즘은 초등학생 가운데 많은 수가 다니고 있으며 취직시 학업 성적보다 토익이나 토플 성적이 더 중요시된 것도 오래 전 일이다. 이 가운데 외국어를 말하는 어학은 상당히 중요했다. 땅과 인구는 적고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의 강대국들에 둘러싸여 있는데다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이니 따로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교육방송 채널인 EBS에서는 다양한 어학 프로그램을 마련, 국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외국어를 공부하는 방법도 책만 보는 것이 아니라 더 좋은 학습효과를 위해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다. 영상 강좌나 음성 강좌의 경우 집에서 TV를 보거나 라디오로..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08. 8. 27. 이제 문자도 PC에서! - NATE 문자매니저 리뷰 이제 휴대폰의 문자 메시지는 직접적인 전화 통화와 더불어 휴대폰에서의 가장 자주 쓰는 기능이 되었다. 특히 전화 통화라는 그 본연의 목적 외에 문자 메시지의 높은 활용 빈도는 한글이 얼마나 과학적으로 잘 만들어져있는가의 반영이기도 했다. 휴대폰에서의 문자 메시지의 활용이 실생활에 끼치는 영향은 매우 다양하다. 가난한 학생들이 통화료를 절약하기 위한 수단이며 연필보다는 키보드를 더 많이 접하는 신세대에게 걸맞는 입력 방식이기도 하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저장하기 힘든 음성 통화보다는 기록이 남기 쉽다는 측면에서 업무 용도로 많이 쓰이기도 한다. 그러나 문자 메시지의 활용에는 한계를 보이는 부분이 많다. 특히 휴대폰이라는 제약이 많은 기기에서만 문자 메시지를 관리해야 하므로 기기를 바꾸면 받아둔 문자 메시지..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08. 8. 20. 휴대폰 위의 메신저 - 모바일 네이트온 리뷰 고정된 채팅 사이트가 아닌 작은 메시징 프로그램을 통해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보편화되면서 우리나라에 보급되기 시작한 인터넷 메시징 프로그램은 인스턴트 메신저라는 이름으로 그동안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출현해왔다. ICQ 나 AIM 등 해외에서 주로 쓰이는 것부터 다음 터치, 파란 U2, 버디버디, 야후! 메신저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있지만 그동안 우리나라 시장을 지배해 온 것은 소프트웨어 업계의 공룡인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든 MSN 메신저(또는 윈도 라이브 메신저)였다. 단순한 구조와 쉬운 사용 방법의 장점과 함께 위윈도 기본 탑재라는 엄청난 장점은 말 그대로 그때까지의 우리나라 메신저 시장을 평정하다시피 했다. 그러나 그런 무너지지 않을 것 같아 보이던 MSN 메신저의 거성을 여지없이 깨버린 것이 바로 S..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08. 8. 13. SK텔레콤, 업로드 4배 빨라진 HSUPA 모뎀 국내 최초 출시 국내 이동통신업계 1위 사업자인 SK텔레콤에서 국내 최초로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용 모뎀을 출시한다고 합니다. 이 제품의 모델 이름은 T-LOGIN 'CHU-720i'라고 하며 HSUPA는 WCDMA 네트웍을 기반으로 기존 HSDPA에 비해서 데이터 업로드 속도가 최대 1.45Mbps, 즉 4배까지 빨라진 게 특징입니다. 현재 이 제품으로 1.45Mbps까지의 고속 업로드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은 지난 6월에 구축된 부산 일부(해운대, 수영구)지역이며, 향후 2008년 초에 서울 포함 수도권 지역에서 최대 5.76Mbps 속도가 가능한 HSUPA 네트워크를 상용화할 계획이며 2009년까지 전국 84개시로도 상용망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하는군요. 기존 T LOGI.. #주변기기/#통신#GPS#연결 2007. 10. 11. SK텔레콤, 'T'에 대한 집착 우리나라 최대의 이동통신업체인 SK텔레콤은 여러가지 브랜드를 만들기로 유명한 곳입니다. NATE, TTL, June, Ting, TU, 마지막으로 이번에 새로 런칭한다는 'T'(그외 다른 브랜드도 많습니다만, 일반인 상대로 주로 홍보한 것들은 저 정도인 거 같습니다). 예, 저렇게 만든 브랜드의 이름 중에 'T' 자로 시작되는 것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T 라는 글자에 뭔가 한이라도 맺힌 걸까요. 모 신용카드사가 'M'자에 열광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더작은모바일 2006. 10. 2.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