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페이스북3 페이스북 홈, 안드로이드 런처 전쟁을 불러일으킬까? 지난 4일, 페이스북이 페이스북 홈을 발표했습니다. 오랜 기간동안 많은 이들로부터 페이스북을 기반으로 한 폰이나 OS가 나온다는 등 다양한 소문이 있었지만 공개된 페이스북 홈은 정작 그 예상과는 동떨어져 있는 존재였습니다. 페이스북 홈 = 런처? 그날 발표된 페이스북 홈은 기술적인 측면에서 볼 때 그리 새로울 것은 없는 존재였습니다. 굳이 정의하자면 홈 런처와 위젯의 결합이죠. 잠금 화면이나 배경 화면으로 자신과 관련된 피드를 보여주는 커버피드는 위젯을 연상시키고 페이스북 메시지와 휴대폰 문자를 통합한 챗헤드는 이 분야의 선구자인 블랙베리를 연상시킵니다. 앱 시작관리자는 전형적인 홈 런처의 기능과 비슷하죠. 모든 곳에 페이스북의 여러가지 기능들이 잘 녹아있긴 합니다만, 혁신적이고 발전적인 기술이라고 보기..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3. 4. 8. 페이스북을 백업하는 씨게이트 백업 플러스 한때 하드디스크는 빠르게 성장하는 광디스크나 플래시 메모리에 의해 시장에서 사라질 것이라고 예상한 이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2012년 현재에도 하드디스크는 여전히 디지털 기기의 주요 저장매체로 활약하고 있는게 현실이죠. 비록 모바일 기기에서는 플래시 메모리에 대부분의 시장을 빼앗긴 상태입니다만 가격대 용량비에서는 훨씬 우수하기 때문에 대용량이 필요한 곳이나 움직일 필요가 없는 고정형 기기에는 여전히 하드디스크가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확실한 건 예전만큼의 위세를 떨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겠죠. 이 하드디스크 분야에서 빼놓을 수 없는 씨게이트는 이러한 대세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가지 시도를 해왔습니다. 대표적인 것으로 SSD와 HDD를 섞어 놓은 HSSD를 표방하는 모멘터스 XT 시리.. #주변기기/#메모리#저장장치#보안 2012. 6. 29. LG U+의 와글, SNS 후발주자로 달리는 중 트위터나 페이스북, 싸이월드 미니홈피나 미투데이 등 세상에는 정말 다양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가 있습니다. 오히려 너무 종류가 많다고나 할까요? 제 경우에는 SNS를 열심히 쓰는 편은 아니지만 그 가운데에서는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SNS가 나와도 이미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쓰기에 바빠서 처음에만 조금 써보고 곧 안 쓰게 되더군요. 그런데 이번에 새로 나온 SNS인 와글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와글와글'이라는 시끄러움을 나타내는 의성어에서 딴 듯한 제목으로 가상의 공간에서 열심히 떠들자~ 정도의 의미를 담고 있지 않나 하는 이 서비스는 특이하게도 이동통신사인 LG유플러스에서 만들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우리가 이미 쓰고 있는 트위터 쪽에 ..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1. 6.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