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slt3 소니 알파 10년의 결실, A99 II로 카메라 판을 뒤집을까? 지금이야 소니가 카메라 산업에서 상당한 입지를 갖고 있지만 10년 전, 처음 미놀타를 인수했을 때만 해도 지금같은 상황을 상상했던 사람은 없었습니다. 미놀타 인수 후 소니는 미놀타가 가진 유무형의 자산을 물려받아 알파 마운트 규격의 알파100을 시작으로 다양한 카메라를 내놓았고 특히 DSLT(Digital Single Lens Translucent) 방식을 채택하면서 소니는 말 그대로 소니만의 길을 걷습니다. 물론 그 길이 쉬웠던 것은 아닙니다. 회심의 역작 A99는 어느새 쓰는 사람만 쓰는 카메라가 되었고 플래그십 DSLR 시장은 여전히 캐논과 니콘의 차지였습니다. 물론 소니라고 가만히 있던 것은 아닙니다. 세계 최고의 카메라 센서 기술과 전자회사의 강점을 살려 E-Mount 기반의 미러리스 시장을 개.. #카메라#녹음기 2016. 11. 23. 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 소니가 NEX를 알파 시리즈로 통합한 데에는 미러리스와 DSLR(DSLT)을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지 않냐는 의도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기왕이면 작은 크기에 좋은 화질로 찍을 수 있다면, 그것도 소니가 독점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면 굳이 미러리스를 상징하는 NEX라는 껍질을 벗고도 충분히 경쟁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게 소니의 생각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소니는 센서부터 렌즈, 소형화에 필수적인 정밀 전자 기술까지 모두 갖고 있는 보기 드문 회사이니 말이다. 2013/10/23 - 풀프레임 미러리스 A7/A7R에 담긴 소니의 야망 그렇게 NEX를 벗어던진 첫번째 미러리스가 바로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인 A7 시리즈였다는 것은 매우 상징적인 일이다. 소니로서는 무척 다행히도 A7 시리즈는 제법 성공적인 라인.. #카메라#녹음기 2014. 5. 21. NEX-C3, 소니의 2011년 미러리스 DSLR 시장 정복을 위한 출사표 소니의 NEX 시리즈는 미러리스 DSLR 시장에서 포써드 방식으로 먼저 치고 나온 올림푸스와 파나소닉을 압도할 정도로 대단한 성공을 거둔 제품입니다. 경쟁사 제품과 달리 센서 크기를 줄이지 않고도 소형화를 이뤄냈다는 점이 많은 이들에게 어필했죠. 저 또한 늑돌 2세 탄생과 더불어 감도 좋은 카메라를 찾는 중 가장 가벼운 NEX5를 사서 갖고 다니고 있습니다. 이렇게 미러리스 시장에서 무려 40%에 달하는 점유율을 달성한 소니는 후속 기종에 대해 계속 입을 다물고 있었습니다. 추가로 출시할 렌즈나 넥스를 위한 외장 플래시에 대한 요구도 있었지만 역시 조용했습니다...만, 이번에 발표했습니다. 재미있게도 먼저 선을 보인 것은 고급 모델이 아닌 보급형인 NEX3를 잇는 NEX-C3입니다. 여기서 C는 Came.. #카메라#녹음기 2011. 6.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