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녹음기

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

늑돌이 2014. 5. 21.

목차

반응형
소니가 NEX를 알파 시리즈로 통합한 데에는 미러리스와 DSLR(DSLT)을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지 않냐는 의도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기왕이면 작은 크기에 좋은 화질로 찍을 수 있다면, 그것도 소니가 독점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면 굳이 미러리스를 상징하는 NEX라는 껍질을 벗고도 충분히 경쟁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게 소니의 생각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소니는 센서부터 렌즈, 소형화에 필수적인 정밀 전자 기술까지 모두 갖고 있는 보기 드문 회사이니 말이다.


그렇게 NEX를 벗어던진 첫번째 미러리스가 바로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인 A7 시리즈였다는 것은 매우 상징적인 일이다. 소니로서는 무척 다행히도 A7 시리즈는 제법 성공적인 라인업으로 자리잡았으며 판매와 상관없이 상징적인 면에서도 소니야말로 미러리스 카메라의 선도자라는 걸 다시 한번 각인시킨 사건이었다. 그 뒷면으로 소니가 미러리스와 DSLR/DSLT의 경계를 흐리게 하려는 시도를 진행하는 중이었다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지만.

어찌되었든 바디왕국 소니라는 이름답게 A7과 A7R의 할부가 끝나기도 전에 A7 계열의 최신작이 등장했다. 그 이름은 A7S.

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


겉으로는 크게 달라진 바가 없지만

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


센서가 바뀌었다는 사실 때문에 큰 변화가 생겼다.

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


화소수는 절반 가까이 줄인 대신 감도를 엄청나게 올린 것.

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


결과적으로 농담같은 ISO 수치를 자랑한다. 물론 실사용은 102400까지고 위 수치는 확장 감도를 포함한 것이지만 그래도 대단한 건 대단한 거다. 결과적으로 A7S는 엄청난 수준의 고감도 성능을 달성했다.

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


당연히 저조도 상황에서의 AF도 좋아졌다.

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


이번에 함께 강화된 부분이 바로 영상 촬영이다. 다양한 프로필을 지원하고

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


비록 비싼 확장 킷이 필요하긴 하지만 3840x2160의 4K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이 킷이 없어도 720/120p 영상이나 1080/60p 영상을 50Mbps에 달하는 비트레이트로 최신 XAVC S 코덱으로 찍을 수 있다.

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


무압축으로 4K 클린 HDMI output이 가능하다고 한다. 글쓴이는 이쪽은 장비를 본 적도 없지만.

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


가격은 본체 기준으로 2,599,900원. 미국 판매 가격이 1699달러로 알려져 있는데 요즘 환율로는 정말 자비없는 가격이다.


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


이 날 공개된 제품에는 A77 II도 있다. A7S가 너무 임팩트가 강해서 A77 II는 짧게 넘어간다.

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

화소수는 동일하지만 더 좋아진 센서를 바탕으로 AF가 강력한 제품이다. AF 관련해서 A7S에서는 저조도에서 좋아졌다는 말 밖에 없는데 이 제품은 확실히 좋아진 듯. 초당 12장으로 약 5초간 연사 가능하기 때문에 동체추적도 잘 된다.

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


인상적인 3방향 틸트 LCD.

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


가격은 본체 기준 149만 8천원, 미국 판매 가격은 1199달러. 세금을 계산해도 역시 자비없다.


화소를 줄이고 고감도를 얻은 소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A7S


근래에 나온 소니 카메라가 추구하는 방향이 이번에 발표한 A7S와 A77 II에 잘 모여있다. 고감도와 빠른 AF.
다행인지 불행인지 한몸에 이 두가지를 구현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분야에서 꽤 좋은 결과물을 내는 모델이 아닐까 한다. 특히 화소수를 포기하고 고감도를 선택한 A7S의 시도가 과연 어떤 평가를 받을지 궁금하다.




반응형

댓글

늑돌이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