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BS4 포켓몬고(PokeMon GO)를 바라보는 네가지 포인트 포켓몬 고(Pokemon GO)가 말 그대로 대박을 냈다. 벌써 나온지 20년이 넘은 포켓몬스터 프랜차이즈가 세월을 뛰어넘어 스마트폰과 AR(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을 만나 대성공을 거둔 것. 포켓몬고는 지난 7월 6일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미국 등에서 출시된 이후 4일만에 1400만달러를 벌어들였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상업적인 면에서도 좋은 실적을 올리고 있다. 성공 요인 : 콘텐츠와 기술의 만남 포켓몬스터 자체가 시작부터 게임을 중심으로 한 콘텐츠였던 만큼 그동안 AR 등 새로운 기술과의 접목 시도 또한 없었던 것은 아니다. AR이나 LBS 분야 또한 이 기술을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조합한 콘텐츠가 없었던 것 또한 아니다. 하지만 포켓몬 고 만큼 성공적이고 주목받은 타..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6. 7. 14. 김기사 2.0, 내비게이션에서 플랫폼으로 올라설 수 있을까? 티맵이 포문을 연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시장은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이 나오면서 기존의 전문 내비게이션 단말기 시장을 축소시킬 정도로 성장했습니다. 처음에는 통신사가 자사 고객들의 충성도 확보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발전을 주도했었지만 실질적인 무료 내비게이션 서비스들이 나오면서 또 한번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 록앤올의 김기사가 있었습니다. 김기사는 광고를 실은 무료 내비게이션으로 등장하여 급성장을 거듭, 1위인 티맵 내비게이션을 이길 정도로 많은 이용자를 확보했습니다. 그리고 그 김기사가 2.0을 가지고 돌아왔습니다. 플랫폼으로 가는 김기사 2.0 김기사 2.0은 카카오톡이 그랬던 것처럼 특정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일종의 플랫폼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는 버전입니다. 전작..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3. 4. 6. 삽질의 끝은 어디인가, GOLD in CITY 리뷰 골드인씨티 리뷰 두번째 시간이다. 첫번째 삽질로 마쳤던 지난 편에 이어 오늘은 골드인씨티의 나머지 특징과 이용하면서 느꼈던 점들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2011/05/16 - 포스퀘어에 도전하다, 삽질하는 GOLD in CITY 리뷰 삽질의 결과 삽질은 골드인씨티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요소다. 포스퀘어에서는 체크인, 아임인에서는 발도장과도 비슷한 개념인데, 골드인씨티에서는 제목 대로 황금이 도시 안에 묻혀있고 이를 파낸다는 의미에서 삽질을 하는 것. 다른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팁이나 사진을 함께 올려놓을 수 있다. 삽질을 할 때 SNS를 연동시켜 놓으면 같은 내용이 해당 SNS로 전송되어 동시에 뜨게 된다. 물론 자신의 위치를 다른 이에게 공개하고 싶지 않다면 감출 수도 있다. 삽질을 하게 되면 우선 포..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1. 5. 26. 포스퀘어에 도전하다, 삽질하는 GOLD in CITY 리뷰 포스퀘어(4square)의 성공 이후, 국내에서도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가 등장했습니다. 스마트폰의 특성상 GPS로 위치를 확인하고 3G나 무선랜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일은 무척 쉬운 일이죠. 거기에다 포스퀘어는 다양한 깃발 등의 재미 요소까지도 제공했습니다. 덕분에 국내에 아이폰과 스마트폰이 퍼진 초반에 포스퀘어의 열풍은 대단했죠. 오늘 소개해 드릴 골드인씨티 또한 그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차기 대권을 노리고 나타난 서비스입니다. 과연 어떤 녀석인지 지금부터 살펴보죠. 골드 인 씨티(GOLD in CITY)란? 말 그대로 도시(city) 안에서 황금(gold)을 캐는 서비스... 까지는 아니고, 기존의 위치 기반 서비스들의 문제점들을 재미와..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1. 5.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