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RAM4 삼성, 미디어텍과 LPDDR5X D램 동작 검증! 갤럭시 S25에 미디어텍 AP가 정말 들어갈까? 삼성전자가 미디어텍과 함께 LPDDR5X D램의 업계 최고 속도인 10.7Gbps 동작 검증을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삼성전자는 대만의 유명한 반도체 설계 기업인 미디어텍(MediaTek)에서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인 최신 플래그십 모바일AP인 디멘시티(Dimensity) 9400에 삼성전자의 LPDDR5X 기반 16GB 패키지를 탑재하고 제품 검증을 완료했습니다.삼성전자가 지난 4월 개발한 10.7Gbps LPDDR5X는 이전 세대 대비 동작 속도와 소비 전력을 25% 이상 개선한 제품입니다. 삼성전자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미디어텍의 차세대 고성능 프로세서인 디멘시티에 삼성전자의 고성능 10.7Gbps LPDDR5X를 탑재해 업계 최초로 동작 검증에 성공했다. 앞으로 사용자는 최신 칩셋을 탑재한 기기를.. #주변기기/#메모리#저장장치#보안 2024. 7. 16. 삼성전자 업계 최고속 10.7Gbps LPDDR5X D램 개발 삼성전자가 10.7Gbps LPDDR5X D램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이 제품은 업계 최고 동작속도인 10.7Gbps를 달성했으며 12나노급 LPDDR D램 가운데 가장 작은 칩으로 구현되었습니다.전 세대 대비 각각 성능 25%, 용량 30% 이상 향상되었고 모바일 D램 단일 패키지로 최대 32기가바이트(GB)를 지원합니다. 삼성전자는 제품의 저전력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성능과 속도에 따라 전력을 조절하는 전력 가변 최적화 기술*과 저전력 동작 구간 확대 기술** 등을 적용하여 소비전력을 25% 개선했습니다. 이번 LPDDR5X D램 제품은 저전력∙고성능 메모리 솔루션으로 온디바이스 AI 시대에 최적화되었으며, 모바일 분야를 넘어 다음에는 AI PC, AI 가속기, 서버, 전장 등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 #주변기기/#메모리#저장장치#보안 2024. 4. 17. 36GB HBM3E 12H D램 업계 최초로 개발한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36GB 용량의 HBM3E 12H D램을 업계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이번에 개발한 36GB HBM3E 12H D램은 24Gb D램 칩을 TSV(Through-Silicon Via; 실리콘 관통 전극) 기술로 12단까지 적층한 제품으로, 업계 최대 용량인 36GB HBM3E 12H를 구현했습니다. 초당 최대 1,280GB의 대역폭과 현존 최대 용량인 36GB을 제공해 성능과 용량 모두 전작인 HBM3(4세대 HBM) 8H(8단 적층) 제품 대비 50% 이상 개선된 HBM3E 12H는 Advanced TC NCF(Thermal Compression Non Conductive Film; 열압착 비전도성 접착 필름) 기술로 12H 제품을 8H 제품과 동일한 높이로 구현, HBM 패키지 규격을 만족시켰.. #주변기기/#메모리#저장장치#보안 2024. 2. 27. SK하이닉스, 가장 빠른 LPDDR5T 디램 세계 첫 상용화 SK하이닉스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LPDDR5T DRAM을 처음으로 상용화합니다. SK하이닉스는 9.6Gbps의 전송속도를 자랑하는 현존 최고속 모바일용 D램인 LPDDR5T(Low Power Double Data Rate 5 Turbo)의 16GB 패키지를 오늘(11월 13일)부터 고객사에 공급합니다. LPDDR5T는 무엇? LPDDR5T는 Low Power Double Data Rate 5 Turbo의 약자입니다. LPDDR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용 제품에 들어가는 D램 규격인데 휴대기기에 쓰기 좋도록 전력 소모 최소화를 위해 저전압 동작 특성을 갖고 있어 일반 제품군인 DDR 앞에 에 LP(Low Power)가 붙습니다. 최신 표준은 LPDDR 7세대(5X)로 1-2-3-4-4X-5-5X 순.. #CPU#GPU#RAM 2023. 11.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