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5g5 당연한게 이제야? SK텔레콤, 5G폰에서 LTE 요금제 허용-그 반대도 가능 그동안 5G폰에서 LTE 요금제를 쓸 수 없었던 규제가 이제야 풀리나 봅니다. SK텔레콤은 오늘 11월 23일부터 5G/LTE 단말기 상관없이 원하는 요금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을 풀었습니다. 5G폰으로 5G 요금제 뿐만 아니라 LTE 요금제도 얼마든지 골라서 쓸 수 있게 된 것이죠. 반대로 LTE폰 또한 원한다면 5G 요금제를 쓸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존에는 5G 스마트폰으로 LTE 요금제를 쓰려면 몇 단계 절차에 따라 유심 기기변경을 하거나, 통신사에서 나온 제품이 아닌 자급제 5G 단말기를 사야했습니다. 이제는 안 그래도 되는 것이죠. 5G/LTE 요금제 이용, 어떻게 바뀌나? 이번 정책 변경 이후로는 5G/LTE 단말 종류에 관계없이 5G/LTE 요금제 이용이 가능합니다. LTE 단말 이용자..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23. 11. 23. 미디어텍, 중저가 5G SoC 디멘시티 6000(Dimensity 6000) 시리즈 발표 대만의 글로벌 팹리스 반도체 기업인 미디어텍(MediaTek)에서 중저가 5G 스마트폰을 위한 디멘시티 6000(Dimensity 6000) 시리즈를 발표했습니다. 그동안 디멘시티 7000~9000 시리즈로 5G 스마트폰 SoC 시장에서 큰 성과를 보였던 미디어텍이 중저가 5G 제품군들을 위한 디멘시티 6000 시리즈를 내놓았습니다. 그 가운데에서도 첫번째로 나오는 Dimensity 6100+ SoC는 뛰어난 전력 효율과 고화질 화면 출력과 높은 프레임 속도, AI 기반 카메라 기술, 저전력 소비, 안정적인 Sub-6 5G 연결 등의 고급 수준의 기능을 합리적인 가격대에 제공합니다. 디멘시티 6100+의 주요 특징 이번 디멘시티 6000 시리즈 발표와 함께 가장 먼저 출시되는 디멘시티 6100+의 특징들.. #CPU#GPU#RAM 2023. 7. 11. 2020년, 모바일 디바이스 트렌드 7대 예측 이제 올해도 거의 지나가고 있습니다만 완전히 끝나기 전에 이제 2020년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싶다는 생각에 키보드를 누르기 시작했습니다. 2020년에 바뀔 부분이야 산더미같이 많겠지만 그 가운데에서도 라지온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분야에 대해서만 이야기해볼까 생각합니다. 보시는 분들에 따라 어쩌면 뻔한 이야기일수도, 어쩌면 말도 안 되는 이야기일 수도 있겠지만 일단 시작합니다. 1. 휘어라! 폴더블 2019년에 모바일 디바이스 역사에 있어서 갤럭시 폴드의 등장은 적지 않은 의미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휴대성에 있어서 획기적인 개선을 가져올 수 있지만, 아직 이르지 않을까 했던 폴더블(foldable) 스크린을 가진 스마트폰을 삼성전자는 상용화하는데 사실상 성공했으니 말이죠. 실제 판매량도 50만대 수준이니.. #더작은모바일 2019. 12. 30. 실시간 TV와 VR을 동시에 보는 EBS의 오션킹 - 연기된 오션킹 방영이 2020년 3월 26일 오후 8시에 진행됩니다. - 오션킹 방영이 연기되었습니다. EBS 측에 따르면 기술보완 및 콘텐츠 질 향상을 위해서 라고 합니다. 추후 방송 일정이 잡히는대로 이곳에도 알려드리겠습니다. --------------------------- 요즘은 펭수의 소속사로 유명하지만 EBS는 말 그대로 교육방송으로 언제나 조용히 우리나라의 교육의 한 축을 담당하며 배움을 원하는 많은 이들에게 꾸준하게 도움을 주고 있는 곳이죠. 그런데 이번 크리스마스를 맞아 12월 24일 오후 8시, EBS1을 통해 제법 눈에 띄는 프로그램을 방송합니다. 그 이름은 바로 오션킹(Ocean King)입니다. 뭔가 한국적인 영어 이름 짓기이긴 한데, 수십억년 전 바다 속 각양각색의 생명체들는.. #게임#VR#교육 2019. 12. 23. 스냅드래곤 865를 쓴 첫번째 스마트폰은 ZTE Axon 10s pro 최근 퀄컴은 스냅드래곤 865 프로세서를 발표했습니다. 비록 기대했던 것처럼 5G 모뎀과 통합된 원칩 프로세서로 만들어진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능과 새로운 기능, 무엇보다도 퀄컴의 스냅드래곤 X55 5G Modem-RF 시스템과 결합하여 최고 수준의 5G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많은 차기 플래그십 스마트폰들에 탑재가 예정된 제품이죠. 우리에게 친숙한 삼성전자의 차기작인 갤럭시 S11이나 LG전자의 차기작 또한 스냅드래곤 865를 채택하는 것이 당연시 될 정도입니다. 기린을 사용하는 화웨이가 예외적이지만 그 밖의 안드로이드 진영 플래그십 5G 스마트폰 대부분은 스냅드래곤 865를 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정작 스냅드래곤 865를 쓴 첫번째 스마트폰은 다른 곳에서 나오는 ..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9. 12.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