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활용4 엠피온 라이브 센스, TPEG 내비게이션과 DSRC 하이패스의 결합 엠피온 라이브 센스 리뷰 두번째 시간으로 오늘은 엠피온 라이브 센스를 직접 써보면서 느낀 점을 적어보고자 한다. 내비게이션에 하이패스를 내장하고 YTN TPEG과 DSRC까지 가진 엠피온 라이브 센스, 그 독특한 존재의 이야기를 바로 시작해 보자. 2010/07/05 - TPEG과 DSRC로 실시간 내비게이션이 된다! 엠피온 라이브 센스 리뷰 - 1부. 겉 엠피온 스마트 맵 어떤 내비게이션이든지 기본이 되는 것은 역시 맵 데이터의 품질일 것이다. 엠피온 라이브 센스에 탑재된 엠피온 스마트 맵은 기존에 아틀란 맵의 발전형으로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상당히 쓸만한 수준이었다. 목적지 검색도 잘 되는 편이고 길도 빠르게 잘 찾아주는 편. 가장 마음에는 드는 부분은 X-Ray 기술이었다. 일반적인 자동차 내비게이션.. #자동차#드론#로봇#탈것 2010. 7. 23. 전자사전같은 PC, UMID의 엠북 M1 리뷰 - 2부. 속 오늘은 유엠아이디의 엠북 리뷰 두번째 시간이다. 겉을 위주로 살펴봤던 지난 편과는 달리 겉에서 볼 수 없는 속 부분을 다뤄보는 시간이다. 특히 CPU 1.1GHz 모델과 CPU 1.33GHz인 M1-434KWA 모델의 성능과 배터리 지속시간을 비교한 내용도 있으니 궁금하신 분은 꼭 보시기 바란다.■ 화면과 터치스크린엠북의 화면은 와이브레인 B1이나 빌립 S5에서 채용한 것과 같은 1024x600 해상도의 터치스크린 액정으로 삼성전자의 제품이다. 화질 면에서는 좋은 편. 하지만 엠북에는 광터치 마우스나 터치패드, 포인팅 스틱 같은 별도의 포인팅 디바이스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작업을 키보드가 아니면 터치스크린으로 작업해야 하는데 4.8인치의 1024x600이라는 고해상도 덕분에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결.. #작은PC 2009. 3. 6. 이것이 MID! 빌립 S5 리뷰 - 4부. 활용편 유경테크놀로지스의 첫번째 MID, 빌립 S5의 리뷰 4번째 이야기이다. 지난 리뷰까지는 주로 제품의 하드웨어나 성능에 관한 부분이었다면 이번에는 실제로 써보면서 겪는 직접 활용하는 이야기이다. 어쩌면 가장 중요한 부분일 수도 있는 이번 리뷰가 뒤로 미뤄지게 된 까닭은 빌립 S5에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기다려왔기 때문이다. 차라리 다른 제품들처럼 설정 프로그램과 최소한의 기본 소프트웨어만 제공하면 리뷰를 진행하는 것이 훨씬 더 빨랐지만 그렇지 않은 S5인지라 되도록이면 소프트웨어의 완성판(적어도 그에 가까운)을 가지고 리뷰하고 싶었다. 아무튼 시간이 흘러 이번 예약판매 출시를 위한 버전의 소프트웨어들이 올라왔고, 이들을 기준으로 이번 시간을 꾸려나가 보겠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1. 화면과 터.. #작은PC 2009. 3. 3. 넷북, 본전을 뽑는 세가지 방법 인텔이 처음 주창한 넷북에 호응하여 수많은 PC 제조사가 다양한 제품을 발매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적지 않은 수가 국내 시장에 나오고 있다는 것은 이곳 라지온에 들러주시는 분들이라면 많이들 아실 거라 생각합니다. 지난 글에서 이야기했듯이 비록 넷북이 아직 다른 제품군과 완전히 독립된 정체성을 찾지는 못해 보급형 미니노트북으로 많은 이들에게 소개되었고, 실제로 그렇게 쓰이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하지만 넷북이라는 제품군이 무엇인지 알고, 그 쓰임새도 미리 확인한다면 이미 쓰고 계신 분들은 물론 살까말까 고민하시는 분들께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그래서 오늘은 넷북을 어떤 쓰임새로 활용할 수 있을까에 대해 세가지로 정리해 봤습니다. 넷북은 인터넷이다. 넷북이란 말 자체가 net+book의 합성어인 만큼 네.. #작은PC/#노트북PC 2008. 9. 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