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G전자가 작년에 내놓은 이어폰 가운데 개인적으로 참 괜찮은 제품으로 꼽는 두 모델 가운데 하나가 바로 HBS-800이다. HBS-700과 730 이후 APT-X에 노이즈 캔슬링 기능까지 모두 갖고 나온 이 제품은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으로 편의성과 함께 무난한 음질을 즐길 수 있었던 블루투스 이어셋이었다.
이 넥밴드 형의 블루투스 이어셋은 TONE+ 시리즈로 불리며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고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인기를 얻어 전세계적으로 200만대 이상 팔아치운 베스트셀러로 성장했다. 그리고 이번에 HBS-750이 나왔다. 과연 무엇이 달라졌을까?
자, HBS-750이다. 디자인 자체는 700이나 730보다는 800에 가까워졌다. HBS 시리즈의 전매특허랄 수 있는 형상기억합금이 들어간 넥밴드 부분은 여전히 큰 강점이고 목에 걸었을 때 부담이 없는 느낌 또한 마찬가지. 배터리와 블루투스 모듈 때문에 무게가 어느 정도 생길 수 밖에 없는 블루투스 이어셋임에도 불구하고 쓰고 다니는데 부담이 없다는 부분이야말로 HBS 넥밴드 시리즈를 베스트셀러로 올려놓은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색상은 모두 다섯종. 위는 LG전자의 보도자료인데 이번 모델의 가장 큰 변화일지도 모른다.
730에서 제품의 위에 있었던 버튼들이 모두 옆으로 갔기 때문에 상단이 깔끔해지는 효과를 낳았다. 개인적으로는 이번 디자인이 더 낫게 느껴진다.
왼쪽부터 차례로 통화/종료 버튼, 마이크, 볼륨 내리고 올리는 버튼이 각각 있다. 볼륨 내리고 올리는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Bass Boost(기본)-Normal-Treble Boost 음장으로 차례로 전환된다.
전원 버튼은 800과 마찬가지로 제품의 충전단자 옆인 안쪽으로 이동했다. 안쪽에서도 더 깊숙히 들어가는지라 800을 쓸 때에도 다소 불편한 자리이긴 했는데 그대로 유지되었다. 자주 안 쓰면야 상관없지만. 참고로 730은 제품 바깥쪽에 전원 스위치가 있다.
제품의 오른쪽에는 재생/정지 버튼이 있다.
상위 모델이랄 수 있는 HBS-800 끝 부분과의 비교. 제조 단가 면에서 750처럼 만드는게 더 쌌을지도 모르겠지만. 아무튼 다르다. 그렇다고 사용성에서 그렇게까지 차이나는 점은 아니다.
여분으로 주어진 이어패드. 기본으로 달려있는 것까지 합쳐서 총 세 종류가 주어지는 셈이다. 이 밖에도 이어폰 줄 고정용 링 여분, 그리고 설명서와 충전용 USB 케이블이 준비되어 있다.
가장 중요한 음질 면에서는 전반적으로 합격 수준이라고 볼 수 있겠다. 블루투스 3.0과 고음질의 APT-X 코덱을 지원하고 있으며 유선 이어폰과 비교할 수준은 아니지만 이 가격대의 블루투스 헤드셋으로는 경쟁력있는 음질이다.
글쓴이가 근래에 쓰고 있던 HBS-800과 비교하면 저음부에서의 풍부함이 부족한 편이지만 조금 더 깔끔하고 맑은 느낌의 소리를 들려주고 있다. 다만 가격대의 한계인지 고음부를 쓰는 악기가 나오는 음악에서 잘 받아주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래도 받아들여줄만한 수준.
전화 통화 음질이나 마이크 감도도 충분한 수준. 제품이 완전히 새로 나온 것이 아닌 HBS-730의 위치를 대신하는 후속 기종인지라 안정적인 품질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730과의 차이는 디자인과 진동을 켜고 끌 수 있는 기능이 들어간 것. 그리고 내부적인 개선이 있었을 거라는 생각도 하지만 구체적으로 알려진 것은 없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전작과 마찬가지로 긴 배터리 시간은 장점이다.
무게는 37g으로 32g의 HBS-800이나 HBS-730에 비해 무거워졌다. 1
역시 전작과 마찬가지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쓰는 경우라면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LG BT Reader+라는 앱을 이용, 문자 메시지 등을 이어폰을 통해 말소리로 전달받을 수 있다.
문제는 없나?
이 넥밴드 방식의 TONE+ 제품군은 그동안 국내 시장에서 꾸준하게 1위를 지켜왔던 블루투스 이어셋인 만큼 이번 750도 적지 않은 사랑을 받을 것이라고 쉽게 예상할 수 있다. 부담없는 착용성과 무난한 음질은 여전히 장점이며 새로 추가된 색상은 더 많은 소비자를 유혹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이 넥밴드 HBS 시리즈에 고쳐야 할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우선 AS.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이 TONE+ 시리즈는 LG전자가 직접 만드는 것이 아니라 국내 기업인 블루콤으로부터 ODM으로 납품받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AS는 본사 서비스 센터가 아닌 다른 곳에서 처리된다. 즉 LG전자 서비스 센터에 찾아가서 제품의 수리를 맡겨도 아주 단순한 문제가 아닌 한 실제 작업을 할 곳으로 제품이 가야 하기 때문에 당일 못 받고 꽤 오래 걸릴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그나마 예전에는 LG전자 서비스센터에서는 아예 안 되고 테크데이타라는 기업을 통해서만 가능했던 상황에 비해 나아진 상태다. 판매량을 봐서라도 LG전자 서비스 센터에서도 바로 이 TONE+ 제품군의 AS가 가능하도록 개선해야 할 것이다. 2
두번째는 방수가 안된다는 점이다.
블루투스 이어셋인 만큼 언제나 피부 가까운 곳에 붙어있는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방수/방진 기능이 준비되어 있지 않다. 특히 땀흘리며 운동하며 음악을 듣는 분들에게 방수가 안 되는 부분은 큰 문제다. 덕분에 HBS 시리즈를 아는 분들에게 이번 750을 730의 옆그레이드라고 평가받고 있다. 수영까지는 그렇다쳐도 일반적인 운동시에 흘리는 땀이나 자연적으로 맞게 되는 약간의 물기에 대한 방비가 되는 모델을 어서 내놓는게 좋을 것이다. 3
이 넥밴드 형의 블루투스 이어셋은 TONE+ 시리즈로 불리며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고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인기를 얻어 전세계적으로 200만대 이상 팔아치운 베스트셀러로 성장했다. 그리고 이번에 HBS-750이 나왔다. 과연 무엇이 달라졌을까?
자, HBS-750이다. 디자인 자체는 700이나 730보다는 800에 가까워졌다. HBS 시리즈의 전매특허랄 수 있는 형상기억합금이 들어간 넥밴드 부분은 여전히 큰 강점이고 목에 걸었을 때 부담이 없는 느낌 또한 마찬가지. 배터리와 블루투스 모듈 때문에 무게가 어느 정도 생길 수 밖에 없는 블루투스 이어셋임에도 불구하고 쓰고 다니는데 부담이 없다는 부분이야말로 HBS 넥밴드 시리즈를 베스트셀러로 올려놓은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730에서 제품의 위에 있었던 버튼들이 모두 옆으로 갔기 때문에 상단이 깔끔해지는 효과를 낳았다. 개인적으로는 이번 디자인이 더 낫게 느껴진다.
왼쪽부터 차례로 통화/종료 버튼, 마이크, 볼륨 내리고 올리는 버튼이 각각 있다. 볼륨 내리고 올리는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Bass Boost(기본)-Normal-Treble Boost 음장으로 차례로 전환된다.
전원 버튼은 800과 마찬가지로 제품의 충전단자 옆인 안쪽으로 이동했다. 안쪽에서도 더 깊숙히 들어가는지라 800을 쓸 때에도 다소 불편한 자리이긴 했는데 그대로 유지되었다. 자주 안 쓰면야 상관없지만. 참고로 730은 제품 바깥쪽에 전원 스위치가 있다.
제품의 오른쪽에는 재생/정지 버튼이 있다.
상위 모델이랄 수 있는 HBS-800 끝 부분과의 비교. 제조 단가 면에서 750처럼 만드는게 더 쌌을지도 모르겠지만. 아무튼 다르다. 그렇다고 사용성에서 그렇게까지 차이나는 점은 아니다.
여분으로 주어진 이어패드. 기본으로 달려있는 것까지 합쳐서 총 세 종류가 주어지는 셈이다. 이 밖에도 이어폰 줄 고정용 링 여분, 그리고 설명서와 충전용 USB 케이블이 준비되어 있다.
아마도 다이나믹 드라이버가 들어갔을텐데, 정확한 규격은 알 수 없다. LG전자 측에 문의해 놓은 상황이니 내용이 더 밝혀지면 추가해 놓겠다.
가장 중요한 음질 면에서는 전반적으로 합격 수준이라고 볼 수 있겠다. 블루투스 3.0과 고음질의 APT-X 코덱을 지원하고 있으며 유선 이어폰과 비교할 수준은 아니지만 이 가격대의 블루투스 헤드셋으로는 경쟁력있는 음질이다.
HBS-800
글쓴이가 근래에 쓰고 있던 HBS-800과 비교하면 저음부에서의 풍부함이 부족한 편이지만 조금 더 깔끔하고 맑은 느낌의 소리를 들려주고 있다. 다만 가격대의 한계인지 고음부를 쓰는 악기가 나오는 음악에서 잘 받아주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래도 받아들여줄만한 수준.
전화 통화 음질이나 마이크 감도도 충분한 수준. 제품이 완전히 새로 나온 것이 아닌 HBS-730의 위치를 대신하는 후속 기종인지라 안정적인 품질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730과의 차이는 디자인과 진동을 켜고 끌 수 있는 기능이 들어간 것. 그리고 내부적인 개선이 있었을 거라는 생각도 하지만 구체적으로 알려진 것은 없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전작과 마찬가지로 긴 배터리 시간은 장점이다.
무게는 37g으로 32g의 HBS-800이나 HBS-730에 비해 무거워졌다. 1
역시 전작과 마찬가지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쓰는 경우라면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LG BT Reader+라는 앱을 이용, 문자 메시지 등을 이어폰을 통해 말소리로 전달받을 수 있다.
문제는 없나?
이 넥밴드 방식의 TONE+ 제품군은 그동안 국내 시장에서 꾸준하게 1위를 지켜왔던 블루투스 이어셋인 만큼 이번 750도 적지 않은 사랑을 받을 것이라고 쉽게 예상할 수 있다. 부담없는 착용성과 무난한 음질은 여전히 장점이며 새로 추가된 색상은 더 많은 소비자를 유혹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이 넥밴드 HBS 시리즈에 고쳐야 할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우선 AS.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이 TONE+ 시리즈는 LG전자가 직접 만드는 것이 아니라 국내 기업인 블루콤으로부터 ODM으로 납품받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AS는 본사 서비스 센터가 아닌 다른 곳에서 처리된다. 즉 LG전자 서비스 센터에 찾아가서 제품의 수리를 맡겨도 아주 단순한 문제가 아닌 한 실제 작업을 할 곳으로 제품이 가야 하기 때문에 당일 못 받고 꽤 오래 걸릴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그나마 예전에는 LG전자 서비스센터에서는 아예 안 되고 테크데이타라는 기업을 통해서만 가능했던 상황에 비해 나아진 상태다. 판매량을 봐서라도 LG전자 서비스 센터에서도 바로 이 TONE+ 제품군의 AS가 가능하도록 개선해야 할 것이다. 2
두번째는 방수가 안된다는 점이다.
블루투스 이어셋인 만큼 언제나 피부 가까운 곳에 붙어있는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방수/방진 기능이 준비되어 있지 않다. 특히 땀흘리며 운동하며 음악을 듣는 분들에게 방수가 안 되는 부분은 큰 문제다. 덕분에 HBS 시리즈를 아는 분들에게 이번 750을 730의 옆그레이드라고 평가받고 있다. 수영까지는 그렇다쳐도 일반적인 운동시에 흘리는 땀이나 자연적으로 맞게 되는 약간의 물기에 대한 방비가 되는 모델을 어서 내놓는게 좋을 것이다. 3
LG전자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았습니다.
반응형
'#오디오#헤드폰#이어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의 프리미엄 블루투스 헤드셋 레벨 오버(EO-AG900) 직접 들어보니 (0) | 2014.10.12 |
---|---|
편안하고 아름다운 블루투스 핸즈프리, Jawbone ERA (7) | 2014.07.07 |
편안한 음악 감상을 위한 편안한 블루투스 헤드셋 LG HBS-800 (0) | 2013.12.31 |
BA와 DD를 모두 포용한 오디오테크니카의 새로운 이어폰 ATH-IM 시리즈 들어보니 (0) | 2013.12.13 |
덴마크 대사관저에서 만나본 블루투스의 명가 Jabra의 SOLEMATE 휴대용 스피커 3종 (0) | 2013.1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