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D2 IPS와 AMOLED, 모바일 디스플레이로 비교해보면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성공으로 모바일 기기에서 디스플레이의 중요성은 갈수록 더해지고 있습니다.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화면의 크기, 시야각, 미려함이 모두 중요한데 각 제조사에서는 이들 디스플레이의 특징을 제품 홍보 전면에 내세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제품 뒤에 붙는 ~HD, ~AMOLED 등이나 화면 크기를 그대로 제품 모델 명에 넣어버리는게 그 예입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이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첨병에는 국내의 두개 기업이 전면에 서 있습니다. 바로 LG 디스플레이와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죠. 이른 바 레티나(Retina) 디스플레이로 유명한 IPS 방식의 패널 가운데 가장 유명한 업체는 LG 디스플레이고 AMOLED로 가장 유명한 업체는 SMD 입니다. 그리고 가장 최신 디스플레이 기술을 도입한 옵티머.. #TV#디스플레이#프로젝터 2012. 6. 1. hTC,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AMOLED에서 SLCD로 전환? 현재 많은 인기를 얻는 삼성전자의 AMOLED 화면을 채용한 hTC의 스마트폰 제품군의 디스플레이가 물량 부족으로 인해 소니의 TFT LCD인 SLCD로 전환한다는 소식입니다. hTC 스마트폰 제품군 가운데 AMOLED를 채용한 제품에는 디자이어, 인크레더블이 있고 구글 브랜드로 대신 생산하는 넥서스 원이 있는데요, 삼성 모바일 디스플레이가 생산하는 AMOLED의 공급 부족으로 인해 이들에 대해 일부 물량을 소니의 SLCD로 전환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즉, 같은 제품에서도 일부는 AMOLED, 일부는 SLCD 디스플레이를 달고 나온다는 뜻입니다. 이미 넥서스 원의 경우 국내 판매를 진행하고 있는 KT에서 1차 판매분 4천대 이후의 제품에는 AMOLED 대신 SLCD가 들어간다고 밝힌 바..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0. 6.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