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HW-M305W3 KT 스마트홈 패드로 즐겨보는 Olleh TV now 스마트홈 패드는 어디까지나 가정에서의 쓰임새를 전제로 만들어진 제품이다. 그러면 대부분의 가정에 꼭 갖춰져 있는 제품은 무엇이 있을까? 냉장고나 가스렌지 같은 주방가전 제품이야 스마트홈 패드로 대체할 수 없겠지만, 거실의 중심에 놓여있는 TV라면 어떨까? 스마트홈 패드, TV를 노리다 스마트홈 패드는 태블릿 PC이며, 태블릿 PC의 가장 큰 특징은 화면이 가장 넓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점이 될 것이다. 화면으로 보고 화면을 터치하면서 이용하게 만들어진 것이 스마트홈 패드다. 그렇게 화면이 중심인 만큼 영상을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물론 스마트홈 패드에는 DMB가 내장되어 있지만 굳이 DMB 정도를 이야기 하려고 이 글을 쓸 필요는 없을 것이다. Olleh TV now 유선 인터넷을 이용한 KT의.. #작은PC/#태블릿#e북리더 2012. 1. 12. KT 스마트홈 패드, 라이프자키와 해피패밀리 서비스를 살펴보면 KT 스마트홈 패드 리뷰 그 두번째 시간이다. 스마트홈 패드의 하드웨어는 사실 기존의 테그라2 기반의 갤럭시탭 10.1과 거의 비슷하다. 물론 같은 기능과 성능에 더 작게 나와 훨씬 편하지만. 2011/12/30 - 가정용 태블릿, KT 스마트홈 패드 기본기 살펴보면 스마트홈 패드를 다른 갤럭시탭과 다르게 만들어주는 것은 바로 그 안에 들어있는 콘텐츠라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스마트홈 패드의 간판이라 할 수 있는 두개의 앱을 먼저 소개한다. 우선 라이프자키. LifeJockey라는 단어는 다들 짐작하시겠지만 DJ의 Disc Jockey에서 따온 말이다. 라이프자키는 삶의 자키라는 뜻인데, 그만큼 다양한 콘텐츠가 모여있다. 우선 들어갈 때 이렇게 사용자의 얼굴을 분석하여 서비스에 반영한다. 현재는 연령 .. #작은PC/#태블릿#e북리더 2012. 1. 6. 가정용 태블릿, KT 스마트홈 패드 기본기 살펴보면 애플 아이패드의 등장과 함께 태블릿의 대중화가 시작되었지만 정작 보통의 소비자들에게 태블릿은 아직 먼 존재입니다. 미국만 해도 아이패드 중심으로만 시장이 이뤄지고 있을 뿐 아직 콘텐츠나 UI 면에서 다소 부족한 안드로이드 태블릿의 경우에는 큰 인기를 얻지 못하고 있죠. 그런 상황은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로, 태블릿의 본격적인 대중화는 내년으로 미뤄진 상태입니다. 그런 와중에 태블릿의 문제가 하드웨어보다는 콘텐츠에 있다고 판단하고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소비자들에게 다가간 제품이 있습니다. 바로 KT의 스마트홈 패드입니다. KT 스마트홈 패드 상자입니다. 보시다시피 그 정체는 삼성전자의 갤럭시탭 8.9 WiFi 버전입니다. 이미 우리나라에 갤럭시탭 10.1이 출시된 바 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죠. 갤럭.. #작은PC/#태블릿#e북리더 2011. 12. 3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