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AM4 삼성전자 업계 최고속 10.7Gbps LPDDR5X D램 개발 삼성전자가 10.7Gbps LPDDR5X D램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이 제품은 업계 최고 동작속도인 10.7Gbps를 달성했으며 12나노급 LPDDR D램 가운데 가장 작은 칩으로 구현되었습니다.전 세대 대비 각각 성능 25%, 용량 30% 이상 향상되었고 모바일 D램 단일 패키지로 최대 32기가바이트(GB)를 지원합니다. 삼성전자는 제품의 저전력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성능과 속도에 따라 전력을 조절하는 전력 가변 최적화 기술*과 저전력 동작 구간 확대 기술** 등을 적용하여 소비전력을 25% 개선했습니다. 이번 LPDDR5X D램 제품은 저전력∙고성능 메모리 솔루션으로 온디바이스 AI 시대에 최적화되었으며, 모바일 분야를 넘어 다음에는 AI PC, AI 가속기, 서버, 전장 등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 #주변기기/#메모리#저장장치#보안 2024. 4. 17. SK하이닉스, 가장 빠른 LPDDR5T 디램 세계 첫 상용화 SK하이닉스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LPDDR5T DRAM을 처음으로 상용화합니다. SK하이닉스는 9.6Gbps의 전송속도를 자랑하는 현존 최고속 모바일용 D램인 LPDDR5T(Low Power Double Data Rate 5 Turbo)의 16GB 패키지를 오늘(11월 13일)부터 고객사에 공급합니다. LPDDR5T는 무엇? LPDDR5T는 Low Power Double Data Rate 5 Turbo의 약자입니다. LPDDR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용 제품에 들어가는 D램 규격인데 휴대기기에 쓰기 좋도록 전력 소모 최소화를 위해 저전압 동작 특성을 갖고 있어 일반 제품군인 DDR 앞에 에 LP(Low Power)가 붙습니다. 최신 표준은 LPDDR 7세대(5X)로 1-2-3-4-4X-5-5X 순.. #CPU#GPU#RAM 2023. 11. 13. 삼성전자, 고성능·저전력 32Gbps GDDR7 디램 업계 최초 개발 삼성전자하면 빼놓을 수 없는 메모리 반도체 부문에서 또 한가지 소식이 있습니다. 그래픽 카드에 주로 쓰이는 초고속 메모리인 GDDR(Graphics Double Data Rate) D램에서도 가장 첨단 제품인 32Gbps GDDR7 D램을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는 소식입니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개발한 32Gbps GDDR7 D램은 고성능·저전력 특성을 갖춘 16Gb 제품으로, 기존 대비 성능은 1.4배, 전력 효율은 20% 향상됐습니다. 특히 기존 NRZ* 방식보다 동일 신호 주기에 1.5배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인 PAM3** 신호 방식을 신규 적용, 데이터 입출력 핀 1개당 최대 32Gbps의 업계 최고 속도를 구현했습니다. 빨라진 전송속도 덕분에 32Gbps GDDR7 D램.. #CPU#GPU#RAM 2023. 7. 19. 스마트폰에 2GB RAM이 필요할까? 스마트폰의 기능과 성능이 향상되면서 그 제원에 대한 관심도 무척 뜨겁습니다. 특히 비슷한 등급의 제품이 많이 있는 안드로이드 계열에서 많이 드러나죠. 이는 비슷한 OS와 최적화 수준이라면 AP의 종류나 클럭 주파수, GPU에 따라 대부분 성능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AP의 경우, 싱글코어 시대에 1GHz를 돌파하고 듀얼코어를 넘어 이제는 쿼드코어 시대에 접어들고 있습니다.그런데 AP나 GPU 말고도 요즘 또 한가지 화제가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RAM(Random Access Memory)이죠. 지난 5월 4일 발표한 LG전자의 옵티머스 LTE2가 2GB RAM을 갖고 나온 것이 제법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죠. 그동안 싱글코어 스마트폰에는 256~512MB RAM, 듀얼코어 스마트폰..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2. 5.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