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4G LTE3 국내 이통 3사 LTE 망 보급 어디까지 왔나? 지난 2011년 7월, SK텔레콤과 LG U+에서 LTE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으로 4세대 이동통신 시대가 열렸습니다. KT는 2G 망 종료 과정에서의 기존 이용자들과의 마찰 때문에 늦어져서 이들보다 한참 느린 올해 1월 3일에야 시작했죠. 그러나 이용자 입장에서 보면 LTE 서비스가 '시작'한게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이용자가 LTE를 쓸 수 있는게 중요하죠. 그런 면에서 우리나라의 LTE 서비스는 아직까지는 그다지 좋은 점수를 얻고 있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쯤에서 점검해 봤습니다. 우리나라의 이동통신 3사의 LTE 망은 어디까지 보급되어 있을까요? 우선 우리나라 이동통신 시장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SK텔레콤부터 살펴봅니다. ■ SK텔레콤 4G LTE라는 이름으로..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2. 4. 12. Vega LTE M으로 보는 SKT LTE 속도, 그리고 성능은 어떨까? 베가 LTE 시리즈는 국내 LTE 스마트폰 시장에 살짝 늦게 등장하긴 했지만 완성도 면에서는 인정할만한 부분이 많다. 오늘은 베가 LTE 시리즈 가운데 SK텔레콤용으로 나온 두번째 모델인 베가 LTE M의 LTE 전송속도와 성능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자. SK텔레콤의 LTE 베가 LTE M(IM-A810S)는 SK텔레콤용 모델이다. WCDMA 방식의 3G 시장에서는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이동통신회사지만, LTE에서는 그만큼의 활약을 아직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는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 등의 이유가 얽혀있는 탓인데, 아무래도 기존 3G 망의 강자인 SK텔레콤보다는 LG유플러스가 사력을 다해 LTE 보급에 매진하고 있기 때문인 것이 가장 크다고 봐야 할 것이다. 그렇지만 SK텔레콤의 LTE 품질..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2. 3. 1. LTE, 보통 사람은 이해할 수 없는 세가지 화려한 수식어란 수식어는 다 달고 4세대 이동통신인 LTE가 출발한지도 벌써 4개월이 지났습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를 통해 벌써 80만이 넘는 사용자가 LTE로 넘어가고 LTE를 아직 도입하지 않은 KT는 LTE 서비스를 위한 대역을 확보하기 위해 2G 서비스를 조기 종료하려다 법원에 의해 중지당하기도 했습니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이통 3사는 모두 함께 손을 잡고 젖과 꿀이 흐르는 LTE 나라로 달려가고 있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통 사람들이 3G에서 LTE로 넘어가기에는 아직 이해가 안 되는 몇가지가 있습니다. 지금부터 살펴보죠. 1. 3G보다 기술은 좋아졌는데 요금제는 더 나빠져? 분명 3세대 이동통신인 WCDMA보다 기술은 좋아졌다고 하는데 이용 요금은 더 비싸졌습니다. 현재의 LTE는.. #더작은모바일/#스마트폰#PDA#PMP 2011. 12.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