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넷스토리지2 이제는 인터넷이 하드인 시대 - 나우콤 2ndrive 서비스 맛보기 우리나라가 IT 강국이라는 이야기는 이제 개그 소재로 쓰이는 정도가 되었지만 적어도 인터넷 보급율에 있어서는 전세계에서도 상당히 높은 편에 속한다. 덕분에 예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서비스들이 가능해졌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 구글 닥스나 씽크프리 라이브 같은 프로그램의 별도 설치가 필요없이 웹서핑만으로 가능한 웹 오피스들이다. 그리고 대중에게 친숙하다는 측면에서 더 앞서가는 것으로, 이른 바 웹하드로 대별되는 웹 스토리지 서비스도 빼놓을 수 없다. 오늘 소개해드릴 서비스가 바로 웹스토리지 서비스의 최첨단에 서있는 나우콤의 세컨드라이브다. 세컨드라이브가 기존의 웹하드 서비스와 다른 점은 '드라이브'라는 이름에서 알아챌 수 있는데, 바로 윈도 탐색기에서 하나의 하드디스크처럼 인식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물.. #인터넷#IT#미디어 2010. 3. 18. SSD의 모자란 용량, 그 해결책은? 플래시 메모리로 하드디스크를 대신하겠다는 SSD(Solid State Drive)가 대중들에게 선보인지도 꽤 오랜 시간이 지났다. 모터나 헤드와 같은 기계적인 구동 부분이 없기 때문에 소음이 없고 발열도 적은데다 하드디스크보다 더 소형화가 가능하고 속도도 더 빠른(중고급형 이상 제품의 경우) SSD는 일부 사용자들에게는 꿈의 저장장치로 받아들여질 만큼 많은 관심을 받았지만 현실에서는 아직 몇몇 얼리어답터나 기업에서 고속 구현을 위해 채용되거나 4~32GB 정도의 소용량으로 휴대기기에 장착되는 제한적인 용도로만 쓰이고 있다. 한마디로 아직 대중화와는 먼 길을 걷고 있는 셈이다. 왜 그렇게 되었을까? 그리고 정말 SSD가 대중화되려면 어떻게 해야될까? 문제는 용량 이처럼 SSD가 하드디스크에 비해서 가지는 .. #주변기기/#메모리#저장장치#보안 2009. 12.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