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녹음기

떠오르는 액션캠, 세가지 트렌드로 살펴보니

늑돌이 2015. 6. 11.
반응형

일반적으로 액션캠(ActionCam)이라 부르는 제품군은 다양한 종류가 산재하는 카메라 분야에서도 제법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제품이다. 보통 카메라가 화질에 우선 순위를 두는 것과는 다르게 액션캠은 철저하게 이동하며 찍는다는데 중점을 둔 제품이다. 이들은 그 쓰임새에 걸맞게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여 크기와 무게를 줄이고 광각의 단렌즈를 채용, 최소한의 조작 도구로 촬영 및 기능 전반을 제어하며 무선 통신 모듈이나 GPS를 내장하기도 한다.

액션캠의 대명사라 할 수 있는 Go Pro 사의 제품들은 이런 액션캠의 특징을 스스로 만들어 나가며 시장을 성장시켜 나갔다. 내충격성과 방수와 방진 기능, 부착을 위한 다양한 연결 도구 등 풍부한 액세서리를 준비하여 액션캠 시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단단한 토대를 만들었다. 화질 면에서도 2005년에 나온 첫번째 Go Pro HERO 제품은 35mm 필름을 이용하도록 나왔지만 2007년에는 디지털 방식의 신제품을 내보냈으며 2010년에는 풀HD급 화질을, 2013년에는 4K급 화질로 촬영하는 제품을 거쳐 현재는 최신 HERO4를 내놓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고 프로에 이어 기존 영상 촬영 시장의 강자인 소니나 파나소닉은 물론이고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만들던 업체들도 액션캠 시장에 하나 둘 참여 중이다.

그 결과가 바로 액션캠 분야의 급격한 성장이다. 시장조시기관 퓨처소스에 따르면 세계 액션캠 시장은 2011년 145만대에서 2016년 515만대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국내 시장 역시 소니의 자체 조사 자료에 따르면 2012년 6천대에서 2014년 기준으로 3만2천대 수준으로 급성장하는 중이다.

이렇게 잘 나가고 있는 액션캠 시장 또한 기존의 플레이어에 이어 새로운 콘셉트를 갖고 도전하는 경쟁자들의 충돌은 빠질 수 없는 부분이다. 2015년, 이들이 만들어내는 신제품들을 통해 발견할 수 있는 액션캠의 주요 트렌드는 과연 어떤 것일까?


화질은 높이고 가격은 낮추고

카메라하면 당연히 화질은 빼놓을 수 없다. 길게 설명할 필요없이 액션캠 시장은 플래그십 모델의 경우 4K 시대로 접어든 상태지만 4K 해상도를 충분히 활용하기에는 아직 많이 부족한 편이다. 다만 고화질로 갈수록 액션캠 전문업체보다는 촬영에 대한 노하우를 많이 갖고 있는 전통적인 영상 장비 업체들이 더 유리해지는 부분도 있다는 것은 흥미로운 부분이다. 예를 들어 소니의 액션캠은 흔들림을 보정해주는 OIS를 지원하고 있다.

다만 경쟁사가 늘어나고 있어 제품의 평균 가격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 이미 시중에 고화질의 소니 센서가 공개되어 있는지라 모바일 분야에서 활약하던 기업들이 대거 들어오고 있는 중이다. HTC나 샤오미 같은 기업이 대표적인 예로 후자의 경우 7만원 갓 넘는 가격으로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다.


합체와 연동

액션캠하면 생각나는 것 가운데 빠질 수 없는 존재가 바로 드론일 것이다. 이미 한국 방송 콘텐츠 가운데 상당 수가 액션캠과 드론의 합작을 통해 다양한 앵글을 통해 전에는 보지 못했던 영상을 만들어 내고 있다. 


초기 단계에는 드론과 액션캠이 별개로 만들어지는 쪽이었다면 근래에는 드론과 액션캠을 아예 한꺼번에 패키지화하려는 경향이 생기고 있다. 우선 Go Pro가 올해 중 드론과 액션캠을 결합한 형태로 제품을 내놓을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드론 제조사 쪽도 마찬가지라서 액션캠을 자체적으로 내장하여 드론을 내놓고 있는 회사도 있다.


또 한가지 흐름은 바로 연동. 기본적으로 액션캠의 특성상 본체는 작아야 하기 때문에 모든 조작을 본체에서 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여차하면 원격 조작이 필요한 경우도 적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액션캠이 자체적인 무선 조작 도구를 제공하거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디바이스들과 연동하게 되어있다. 이렇게 연동되는 디바이스들은 촬영한 영상의 후처리에 활용되는 경우도 있다. 별도로 중거리 이상의 무선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액세서리도 있다.


뭐든 다 찍어


원래 액션캠이 기존의 카메라처럼 실사와 최대한 비슷하게 찍는 영상을 지향하는 것은 아니었다. 그보다는 촬영시 최대한 많은 내용을 기록하고자 했기 때문에 영상의 왜곡이 일어나는 수준이 될 정도의 초광각 렌즈를 환영할 정도였다. 오히려 이런 특징은 기존의 영상 콘텐츠와는 다른 느낌을 준다는 측면에서 신선하다고 평가받기도 했다. 여러개의 액션캠을 동시에 조작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액션캠의 존재 이유를 생각해 보면 특별한 환경이 아니면 도입하기 힘든 시스템이다.



근래에는 이러한 특징을 더 강화해서 주변을 한번에 찍어버리는 액션캠을 만들어내고 있다. 코닥 SP360은 내장된 8.25mm 렌즈를 통해 영상을 찍은 후 조작에 따라 Globe, 360도 파노라마, 반지(ring) 등 다양한 관점의 화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바닥에 내려놓고 찍으면 카메라 한대만으로 주변 전부를 한방에 감시하는 CCTV 역할을 할 정도. 




현재 아직 개발 중인 bubl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190도까지 촬영 가능한 4개의 렌즈를 하나의 본체에 심고 영상 처리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말 그대로 사방을 다 커버하는 영상을 만들어내는 제품도 나왔다.

이들의 출현은 ‘늘 가지고 다니면서 모든 걸 영상으로 기록하겠다’는 액션캠의 테마가 극대화된 것으로 봐도 좋을 것이다. VR 디바이스용 콘텐츠 제작에도 쓸모 있다.



액션캠, 해결할 문제는?


지금까지 승승장구하는 액션캠 분야를 살펴봤지만 이들에게 약점이 없는 건 아니다. 우선 영상 촬영이나 GPS 수신, 무선 통신과 같은 다양한 작업을 행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배터리 지속시간 문제가 있고 원거리에서 액션캠을 보다 쉽게 제어하기 위한 방안도 더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단순한 구조인 만큼 찍은 영상을 후처리하고 편집하는 과정이 빠르고 매끄럽게 진행되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도 개선되고 있는 중이다. 카메라 본체의 크기와 무게 또한 아예 부담이 없을 정도는 아니기 때문에 여전히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발전 속도로 볼 때 조만간 액션캠과 그 후속 제품들은 지금처럼 특정 이벤트를 찍기위한 역할 뿐만 아니라 생활 전반에 걸쳐 자연스럽게 사람과 함께 다니며 기록하는 Life Logger로도 활용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일상의 진정한 ‘ACTION’을 담는 카메라가 되는 셈이다.


kt 에코노베이션에 기고한 글을 고쳐서 올렸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