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atchOn4 와치온이 만난 삼성 기어2, 그리고 VOD 보기 와치온(WatchON) 2.0에 관핸 두번째 글인 이번 포스트의 주제는 크게 두가지다. 하나는 기어2, 그리고 또 하나는 와치온의 VOD. 자, 시작해 보자. 2014/06/17 - 갤럭시 S5 타고 돌아온 와치온 2.0, 무엇이 달라졌나? 1. 웨어러블 리모콘? 기어2와 와치온 많은 화제를 모으며 갤럭시 S5와 함께 선보인 삼성전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기어2에는 재미있는 LED가 하나 더 추가되었다. 바로 적외선 신호를 발사하는 IrDA LED다. 바로 여기가 기어2의 IrDA LED가 자리잡고 있는 곳이다. 직접 손목에 찼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몸의 바깥쪽에 자리잡고 있는데, 사진에는 잘 안 보이지만 바로 카메라 옆으로 조그만 구멍이 따로 있다. 그게 바로 IrDA LED를 발사하는 구멍이다..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4. 6. 25. 갤럭시 S5 타고 돌아온 와치온 2.0, 무엇이 달라졌나? 혹시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과 태블릿에 들어간 와치온(WatchON) 서비스에 대해서 알고 계신지 모르겠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TV를 보다 편리하게 활용하도록 삼성전자가 만든 서비스라고 말하면 좋을 것 같다. 그동안 삼성전자는 태블릿인 갤럭시 탭과 갤럭시 노트 시리즈에서 꾸준하게 IrLED를 탑재했고 갤럭시 S4부터는 스마트폰에도 적용하기 시작하는 등 TV의 제어에 많은 신경을 써왔고 그 결과물이 와치온인 셈이다. 이 와치온은 초기에는 이를 이용한 단순 리모콘 앱에서 다양한 영상 콘텐츠의 정보 검색 및 감상도 가능하는 서비스로 진화해 왔다. 2014/02/11 - WatchON, 갤럭시와 TV를 어떻게 이어주나? 2014/02/08 - 삼성 갤럭시와 TV를 결합시키는 ..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4. 6. 17. WatchON, 갤럭시와 TV를 어떻게 이어주나? IrDA가 스마트폰에도 탑재되기 시작하면서 스마트폰이 TV 리모콘을 대시하는 일이 그리 낯설지 않게 되었다. 하지만 단순히 IrDA LED를 탑재한다고 모든게 끝나는 건 아니니 관련 앱이 기본 설치되어야 한다. 타사에도 그에 해당하는 앱이 있지만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에는 왓치온이 준비되어 있다. 지난 글에서 이 WatchON이 무엇인지, 과연 어떤 역할을 하는 존재인지 살펴봤다. 이번 편은 직접 써보는 이야기를 할 차례다. 다만 이 글에서 살펴보는 WatchON은 태블릿 버전임을 감안하시길 바란다. 1. 설정은 편한가? 처음에는 지역과 이용하는 방송을, 다음에는 TV 종류를 정해주면 된다. 셋톱박스를 쓰고 있다면 그쪽으로 가야 되고. 삼성 계정을 써야 제대로 와치온을 이용한다는 점은 삼성의 다른 서비스.. #소프트웨어#앱#서비스 2014. 2. 11. 삼성 갤럭시와 TV를 결합시키는 WatchON은 무엇일까? 세상은 지금 디스플레이에 둘러싸여있다. TV 한대에 온 가족, 아니 깊은 산골에는 온 마을 사람들이 옹기종기 모여 시청하던 것과는 달리 2013년의 대한민국에서는 한 사람 앞에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가 놓여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된 것에는 스마트폰을 필두로 한 모바일 혁명이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사람들의 손에 하나의 스크린이 가게 되니 바라볼 화면의 숫자는 엄청나게 많아진 셈이다. 덕분에 우리는 어떤 스크린을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을지 고민하기도 한다. 물론 영상을 감상한다는 측면에 있어서는 여전히 TV가 중심이 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동의 자유나 채널(또는 콘텐츠) 선택권의 문제 때문에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여러가지 스크린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쓰는 방.. #작은PC/#태블릿#e북리더 2014. 2.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