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픈소스2 삼성전자, 오픈소스 반도체 RISC-V 소프트웨어 에코시스템(RISE) 운영 이사회 참여 여러분은 혹시 RISC-V를 알고 계신지 모르겠습니다. 리스크 파이브라 읽는 RISC-V는 반도체 설계자산(IP, Intellectual Property)으로, 로열티없이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 표준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Instruction Set Architecture; ISA)입니다. 이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 줄여서 ISA 가운데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PC나 서버에서 쓰이는 x86 아키텍처, 그리고 스마트폰에서 많이 쓰이는 ARM 아키텍처 등이 있습니다만, 이들은 대부분 다른 회사가 함부로 쓸 수 없죠. 하지만 RISC-V는 특정 기업이 소유권을 갖지 않기에 자유롭게 이용 가능합니다. 그것도 로열티 비용없이 말이죠. 덕분에 그 영향력이 조금씩 확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주인이 없는.. #CPU#GPU#RAM 2023. 6. 1. MeeGo, 인텔 무어스타운의 구원투수 이동통신 관련 분야를 다루는 MWC 2010 행사에서 조금 낯선 이름, 인텔이 보인 것은 MeeGo라는 OS의 발표 때문이다. 이미 2009년 협력 관계를 천명한 바 있는 노키아의 Maemo와 인텔의 Moblin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미고(MeeGo)는 모블린의 코어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사용자 경험, 마이모의 Qt UI 툴킷으로 구성되어 있는 리눅스 기반의 오픈소스 OS다. 이 MeeGo에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가진 이유는 갈수록 흔해지는(?) 모바일 OS라는 이유 때문이 아니라 그 참가자인 노키아와 인텔 때문이다. 휴대폰과 스마트폰 시장에서 1위를 구가하는 노키아와 PC와 서버 프로세서 시장에서 사실상 독점적인 위치에 있는 인텔의 만남은 사람들의 주목을 끌기에는 충분했다. 아쉬운 쪽은 인텔 특히 이 결합의.. #작은PC 2010. 2. 20. 이전 1 다음 반응형